최근 수정 시각 : 2023-10-06 22:20:57

신증유합

파일:29781ebdb3c8c6b983375347d3667a06.jpg파일:43f870a39500a60d41b7e8ffc20aa3dc.jpg

1. 소개2. 이본 및 소장처3. 원문
3.1. 출처

1. 소개

신증유합(新增類合)은 1576년(선조 9년) 유희춘이 기존의 유합을 증보·수정해 편찬한 한자 입문서다. 편찬 동기는 본래의 유합에는 빠져있는 필요 한자가 많고 책 안의 숭불억유[1] 사상이 있기 때문이라고 책 서문과 발문에 적혀있다. 그렇게 30년에 걸쳐 만들어진 신증유합은 임금에게 진상을 하고 널리 인쇄되어 배포되었다.

책 구성은 상권엔 數目(수목) 天文(천문) 衆色(중색) 地理(지리) 草卉(초훼) 樹木(수목) 果實(과실) 禾穀(화곡) 菜蔬(채소) 禽鳥(금조) 獸畜(수축) 鱗介(인개) 蟲豸(충치) 人倫(인륜) 都邑(도읍) 眷屬(권속) 身體(신체) 室屋(실옥) 鋪陳(포진) 金帛(금백) 資用(자용) 器械(기계) 食饌(식찬) 衣服(의복) 총 24항목 1,000자, 하권엔 心術(심술) 動止(동지) 事物(사물) 세 항목으로 2000자가 수록돼 총 3000자가 수록되었다. 이는 기존의 유합에 수록된 1,512자의 두배에 달하는 수치로 기존에 빠져있던 추상적인 개념의 한자를 많이 넣었다 한다.

국어사 연구에 있어서도 훈몽자회처럼 한자마다 한글 독음이 달려 있어 당시 국어 상황을 알 수 있는 좋은 사료가 되었다. 또 16세기 말 사라진 것으로 추정되는 ㅿ(반시옷)이 많이 남아있는데 이는 음가는 소실되었지만 형식적인 표기라 여겨지고 있다.

한국어문회에서는 배정한자들의 대표훈음을 정할 때 이 책을 비롯한 많은 옛 문헌을 참고했다.

2. 이본 및 소장처

이본 종류 연도 소장처
중간본(1576년판 계통의 목활자본) 16세기 서울대 일사문고 소장(권상 장19a 이전 결, 권 하 결):나손 김동욱 구장(일부 보사)
중간본(목판본) 16세기 성암문고(白鳥庫吉 구장)
일본 東洋文庫
일본 尊經閣文庫
중간본(이수륜가판) 1605(선조 38년) 계명대 도서관
중간본(해인사판) 1698년(숙종 24년) 고려대 도서관

3. 원문

신증유합
상권하권

3.1. 출처

국립 국어원 언어 정보 나눔터


[1] 불교를 숭상하고 유교를 배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