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07:13:17

스페이스 투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경주월드/시설
, 스페이스 시티
,
,
,
,


파일:경주월드 로고(가로).sv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𝗦𝗣𝗔𝗖𝗘 𝗧𝗢𝗨𝗥 스페이스 투어 관련 틀
스페이스 투어
𝗦𝗣𝗔𝗖𝗘 𝗧𝗢𝗨𝗥
파일:스페이스 투어 입구.jpg
<colbgcolor=#CB8346><colcolor=#ffffff> 운영기간 2006년 11월~2015년
상태 운영중단
기종 Wild Mouse
위치 경주월드 스페이스 시티
제작사 (불명)
탑승 시간 1분 26초
추진 방식 Chain Lift Hill
낙하 횟수 5회 (추정)
탑승인원 2명
인버전 없음
실외 구간 없음
1. 개요2. 특징3. 폐장4. 여담

[clearfix]

1. 개요

어둠속의 질주...
환상의 우주 여행 체험! 지금 출발합니다.
스페이스 투어경주월드에 있었던 다크라이드 롤러코스터이자 와일드 마우스 코스터이다. 어떤 기종인지 모른다면 서울랜드에 있는 달나라 열차를 생각하면 된다.

첫 개장 당시의 이름은 '정글마우스'였으며, 2005년에 트랙을 중심으로 가벽을 세우고 테밍을 입히면서 2006년 11월부터 현재의 다크라이드 롤러코스터인 '스페이스 투어'로 재개장한 것이다. 리뉴얼 전의 기종에 대한 내용은 정글마우스 문서를 참고할 것.

2. 특징

▲ 탑승 영상의 일부가 포함된 영상 (2분 29초부터)[1]
스페이스 투어와 함께 스페이스 시티라는 테마구역도 동시에 개장하였다. 해당 테마 구역은 이 스페이스 투어를 중심으로 테밍되어 있었으며, 이름에서부터 알 수 있겠지만 우주 테마였다. 하지만 테마존 중 규모가 가장 작았으며 그만큼 어트랙션도 범퍼카와 스페이스 투어 2대밖에 없었다. 현재는 스페이스 투어가 폐장하면서 범퍼카가 스페이스 시티의 유일한 어트랙션이 되었다. 범퍼카도 나름 우주 테밍이 되어 있다.

기종 자체는 전세계에 수백대가 설치되어 있어 어느 놀이공원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와일드 마우스 기종이었다. 180도 헤어핀 턴을 통해 쏠림 현상(laterals)을 극대화시켜 탑승자를 이리저리 흔들고, 거친 움직임으로 열차가 마치 탈선할 듯한 스릴을 주는 기종이다. 기종 특성상 매우 덜컹거림에도 불구하고, 전 연령대가 즐길 수 있어서 주로 어린이들과 가족 단위의 고객들에게 인기가 많았다. 보통 패밀리 코스터로 스릴은 거의 없지만, 트랙 중 외부 구간과 조명이 아예 없어서 거의 내부가 조형물들조차 안 보일 정도로 완전히 깜깜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 어떻게 움직일지 모른다는 점에서 스릴을 느낄 수 있었다. 한마디로 혜성특급의 하위호환 정도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이름답게 우주를 여행한다는 테마를 가지고 있었고, 그만큼 테밍도 꽤 훌륭한 편이었다. 내부에는 행성들과 같은 조형물들이 설치되어 있었고, 스테이션이나 벽들도 우주선 테마로 도색되어 있었다.[2] 특이하게도 비클 역시 우주선 테마였고, 1인승 비클이었다. 단순한 코스를 가지고 있어 안전장치도 벨트 없이 안전바 하나였으며, 때문에 급류타기처럼 안전바 하나에 의지한다는 것에 공포감을 느낄 수도 있었다.

다크라이드 특성상 내부 촬영이 힘들고, 애초에 불을 키고 운행하는 게 아닌 이상 내부가 너무 어두워서 아무것도 안 보였고, 리뉴얼 전의 정글마우스 시절은 2000년대 중반에 리뉴얼되어 탑승영상이나 트랙 사진이 없어 코스를 유추하기 어렵다.

3. 폐장

2015년에 운영을 중단하였다. 현재 건물과 건물 내부의 트랙은 그대로 남아있는 것으로 보이나 화단 등으로 못 들어가도록 막아놓았다. 내부공간은 창고로 사용중인 듯.[3] 건물 외관은 운행 중인 시설이라 해도 놀랍지 않을 정도로 멀쩡하며, 화려한 디자인을 자랑하기 때문에 가끔씩 운행하는 줄 알고 입구를 찾아 서성거리는 사람들도 보인다.

운영 중단의 이유는 코스터의 노후화로 추정되는데 이는 처음부터 다크라이드로 설계된 코스터가 아니라 2005년에 껍데기를 씌워 테밍한 것이기 때문. 그래서 테밍의 퀄리티나 시설 자체는 분명히 아직 현역으로 굴리기에 충분해 보이나 내부 코스터의 안전진단이 발목을 잡은 듯하다. 당시 내부 사진만 봐도 심각하게 녹슨 레일을 볼 수 있다. 물론 최근 경주월드가 드라켄을 시작으로 온갖 절규머신을 짓는 행보를 보이고 있어서 결코 이 상태로 계속 내버려두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나름 인기시설이었고, 오래전에 설치되어 소리소문 없이 철거되어서 검색해도 정보가 거의 안 나오는 다른 다크라이드들과 달리, 스페이스 투어는 그나마 남은 정보가 꽤 있다.

나름 부지가 넓어서 서라벌관람차, 타가디스코가 있던 자리와 함께 신규 어트랙션 개발 부지로 항상 언급되는 곳이지만, 경주월드 측에서는 현재 스페이스 투어는 직원용 사무실과 휴게실, 창고로 사용 중이라 개발이 어렵다고 한다. 즉 다른 용도로 여전히 쓰이고 있다는 것. 구글 지도에는 '경주월드 다목적홀'이라 기재되어 있다.
파일:스페이스 투어.png
현재는 입구 앞에 흡연구역이 생기면서 아예 출입시도를 통제하고 있으며 옆의 창문을 통해 내부의 창고 공간을 볼 수 있다.

4. 여담

  • 정글마우스 시절에는 연한 청회색 트랙과 하얀 지지대를 사용했었으나 스페이스 투어로 리뉴얼되면서 회색으로 재도색되었다.
  • 과거 경주월드에는 스페이스 2000라는 비슷한 이름을 가진 또다른 롤러코스터가 존재했었다. 스페이스 투어는 와일드 마우스이고 스페이스 2000은 콕스크류 롤러코스터로 기종이 완전히 다르며, 스페이스 2000은 스페이스 시티 소속 어트랙션도 아니었다. 하지만 인지도는 스페이스 2000이 훨씬 높았기 때문에 현재 스페이스 투어를 검색하면 스페이스 2000에 대한 검색결과가 더 많이 나온다.
  • 기종 자체가 어두운 공간을 누비는 다크라이드인데다, 지방 놀이공원이라는 점 때문인지, 폐장 시기가 결코 이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내부 사진은 일부 남아있지만 탑승 영상은 전혀 남아있지 않다.
  • 지금은 없어진 대전 꿈돌이랜드에서도 '스페이스 어드벤처'라는 비슷한 기종이 있었는데, 차이점이라면 스페이스 투어와는 달리 비클이 1인승이 아닌 여느 롤러코스터처럼 똑같이 다인승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 에버랜드에도 동명의 기종이 있는데, 경주월드의 기종과는 달리 4D 애니메이션을 상영하는 시설로 전혀 다른 기종이다.
  • 운행 중단 이후 건물 내부 롤러코스터 트랙의 철거 여부는 여전히 알려지지 않았다.

[1] 해당 영상이 스페이스 투어의 모습이 담긴 거의 유일한 영상이다.[2] 테밍에 관한 일부 사진은 본 어트랙션의 테밍을 담당했던 것으로 보이는 블로거의 게시글로 확인할 수 있다.#[3] 뒤쪽으로 들어갈 수 있는 단체식당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