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7 05:20:45

스타2크래프트


파일:스타2크래프트 카페 베너 1.95_3.png
스타2크래프트
제작자 늙고병든젤나가
제작 일시 2022년 5월 24일[1]
플렛폼(모드/유즈맵 여부) 유즈맵
플레이어 수 4[2]
장르 밀리
최신 버전 1.95.7
홈페이지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맵 다운로드 파일:구글 드라이브 로고.svg
1. 개요2. 역사
2.1. v1.95
3. 구현현황
3.1. 시스템
3.1.1. 스타2 그래픽3.1.2. 오토마인(Automine)3.1.3. 제한적인 멀티커맨드(MultiCommand)3.1.4. 제한적인 건물부대생산(MultiTrain)3.1.5. 스타2건물건설(SmartBuild)3.1.6. 스마트캐스팅(SmartCast)3.1.7. 빠른 반응속도(Fastmotion)3.1.8. 개선된 패스파인더(Pathfinder)3.1.9. 스타2방어타입3.1.10. 스타2시야 시스템
3.2. 테란
3.2.1. 시스템
3.2.1.1. 자동수리
3.2.2. 유닛3.2.3. 건물
3.3. 프로토스
3.3.1. 시스템
3.3.1.1. 쉴드재생시스템
3.3.2. 유닛3.3.3. 건물
3.4. 저그
3.4.1. 시스템
3.4.1.1. 점막(크립)위 이동속도 증가
3.4.2. 유닛3.4.3. 건물
4. 불가능한 구현5. 플레이 영상 목록6. 여담


1. 개요




캡션


스타크래프트1에서 스타크래프트2를 EUD로 구현한 밀리형 유즈맵이다.
스타2의 편의기능을 EUD로 최대한 구현했고 저그의 변신수와 테란의 감지탑을 제외한 모든 유닛과 기술이 구현되어 있다.
"스타2크래프트의 제작 목적은
스타1유저에겐 신선하고 재밌는 기능을
스타2유저에겐 익숙하면서 새로운 향수를 자극하여
서로간의 화합을 목적으로 제작 하였습니다."
늙고병든젤나가

워낙 스타드래프트같이 이러한 밀리를 모드로 구현한 경우가 많아 모드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스타2크래프트는 엄연히 유즈맵이다.
제작자는 무엇보다 게임의 범용성을 중요시한다면서 따로 설치해야 되는 모드로 제작하지 않고 누구나 공방에서 플레이 할 수 있도록
유즈맵으로 제작했다고 한다.

2. 역사

2022년 5월쯤 부터 스타크래프트 1.5 라는 이름으로 배포를 시작했었다.
당시엔 스타2와 무관한 말 그대로 스타1과 스타2의 중간단계를 구현하고자 하였다.[3]
하지만 이후 방향성을 스타2 구현으로 변경되면서 최종적으로 "스타2크래프트"가 되었다.

===# v1.51 #===
초기엔 스커지가 자폭을 하면 애시드 스포어가 뭍거나, 파이어벳의 공격을 하는 전차같이 제작자가 새로 창작한 유닛들로
이루어져 스타2와는 거리가 멀었다.
또한 당시 제작자는 EUD를 처음 배우는 중이라 맵 최적화는 좋지 못하다.

===# v1.88 #===
스타2로 방향을 잡은 초기 버전으로 유닛들을 조금씩 스타2에 맞게 변경되어졌다.
하지만 대부분 임시 구현이라 사신이 언덕을 넘는것도 구현되어있지 않았다.
이후엔 사신 전용 비콘으로 언덕 위와 아래에 비콘 두개를 만들어서 제한적으로 운용이 가능하게 했었다.

===# v1.90 #===
이때부터 스타2의 편의기능이 하나씩 도입되었다.
특히 Automine이 도입되어서 시작할때 일꾼들이 자동으로 미네랄에 붙는다.
이 버전부터 각종족 BGM추가, 허리돌리기, 자동수리, 차원관문 등 스타2의 구색을 갖춘 기념적인 버전이라고 볼 수 있다.
제일 인기가 많았던 버전들이였다.

===# v1.92 #===
1.92버전은 전버전에서 구현했던 많은 신기능을 최적화하고 버그를 수정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때부터 전 병력 컨트롤 기능(스타2의 F2기능)같이 깨알같은 편의성도 패치되었다.

===# v1.93 #===
이 버전부터는 테란의 부속건물(에드온)이 스타2처럼 각각 호환이 되게 바뀌었다.
또한 저그 크립에서 이동속도가 빨라지는 것과 퀸을 해처리에서 생산이 가능해지고[4][5]
맹독충도 라바에서 뽑는게 아닌 저글링이 변태하여 제대로 구현되었다.

이처럼 임시로 구현했던 것들이 제대로 구현되면서 스타2 빌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한층 더 스타2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 v1.94 #===
스타2 빌드를 그대로 사용 할 수 있게 되면서 수치를 그대로 차용했던 전 버전과는 다르게 이때부터 스타2 전투양상에 맞게 밸런스가 패치되었다.[6]
그리고 1.94.3버전부터 외부 그래픽기술이 사용가능해지면서 제작자가 직접 제작한 스타2 그래픽으로 플레이가 가능해졌다.[7]
프로토스 -> 테란 -> 저그 순으로 그래픽이 업데이트 되었다.

추가로 스파게티 코드를 전부 재작성하여 많은 최적화와 버그 수정이 된 버전이였다.

2.1. v1.95

협동전 모드를 공식적으로 지원한다.[8]
1.95.8 버전부터는 밀리모드를 벗어나 스타1vs스타2, 협동전과 컴까기, 블러드, 컨트롤 등 다양한 모드를 지원한다.
그리고 밸런스패치, 그래픽 리메이크, 버그 수정등을 진행하고 있다.

점점 스타2 구현에 완벽해지다보니 스타2의 단점들 또한 이 맵에서 보이기 시작했었다.
그래서 이후 버전부터는 구현보다는 스타2의 어려운점을 쉽게 풀어나가고자 다양한 모드로 제작해 나가고 있다.

3. 구현현황

제작자는 스타1과 스타2의 엔진이 달라서 100% 스타2의 구도를 똑같이 구현할 수는 없는것을 인정하면서도 최대한 구도가 비슷하게
흐르는 방향으로 패치를 진행하고 있다.
아무래도 스타1은 1998년에 발매된 게임이고, EUD를 사용한다고 해도 스타2와는 달리 에디터의 자유도에는 뚜렷한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해당 맵은 개인 제작자가 혼자서 만든 것이기 때문에, 팀단위와 스타2 기반으로 제작된 스타1vs스타2모드와 같은 퀄리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 유즈맵은 진지한 경쟁보다는 가볍게 즐기길 권장한다.

다만 기본적인 빌드와 유닛 간 상성은 상당 부분 구현되어 있어, 스타1유저가 스타2에 입문하기 전에 맛보기로 즐기기에는 충분하다.
비록 스타1에디터의 한계가 있지만, 그 안에서 최대한 구현하려는 노력의 흔적들을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3.1. 시스템

3.1.1. 스타2 그래픽

파일:스타2크래프트_토스_그래픽.png 파일:스타2크래프트_테란_그래픽.png 파일:스타2크래프트_저그_그래픽.png
스타2크래프트 토스 그래픽 스타2크래프트 테란 그래픽 스타2크래프트 저그 그래픽

과거 GRP라고 불리던 외부 그래픽이 들어간 유즈맵이 K런처를 통해 지원하게 되었다.
프로토스/테란/저그 순으로 구현도가 높으며 제한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추가하고 있다.
그래픽들은 제작자가 스타2 갤럭시에디터에서 모델링 파일을 다운받아 3D프로그램에서 손수 커스텀하고 렌더링한 이미지들이다.

3.1.2. 오토마인(Automine)

파일:스타2크래프트_오토마인1.gif

일꾼이 자동으로 자원을 향해 채취하러 가는 시스템.
게임 처음 시작할때 자동으로 미네랄로 가는 것도 포함이다.
생산건물의 렐리를 미네랄과 가스로 지정하면 일꾼이 자동으로 채취하러간다. 아쉽게도 스타2처럼 선으로 표현되진 않는다.
생산 시스템이 다른 저그같은 경우는 드론만 개별적인 렐리를 가지고있어 자원에 한번 찍고 렐리를 바꿔도 드론만 그 자원으로 간다. 렐리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특히 저그는 더 수혜를 받은 점이다.

본 플러그인은 오픈소스이다.
제작자는 KP.

3.1.3. 제한적인 멀티커맨드(MultiCommand)

파일:스타2크래프트_멀티커맨드구현1.gif

스타1의 12기만 잡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한적으로 구현한 시스템이다.
EUD만으로는 완벽한 멀티커맨드를 구현하는것이 불가능해서 마우스 위치로 클릭만으로 12기 이상 병력을 컨트롤 할 수 있게 해준다.


사용방법 : [Alt키] + 좌/우클릭 = 화면 내 병력 공격/이동

3.1.4. 제한적인 건물부대생산(MultiTrain)

파일:스타2크래프트_건물부대생산.gif

아쉽게도 EUD만으로는 스타2처럼 건물 자체를 부대로 잡을 수는 없다.
그래서 제한적으로 구현했는데 건물 하나만을 잡고 컨트롤키를 누르고 병력을 생산하면 모든 건물에서 생산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여러 배럭이 있다면 배럭 한기만 잡고 컨트롤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로 마린을 뽑으면 모든 배럭에서 마린이 생산된다.
당연히 우클릭 렐리 포인트도 적용되서 일괄 렐리 지정이 가능하다.

3.1.5. 스타2건물건설(SmartBuild)

파일:스타2크래프트_스타2건물건설1.gif 파일:스타2크래프트_스타2건물건설3.gif


건물 짓는 방식도 스타2와 같은 시스템을 적용했다.
건물 건설 명령을 내릴 때 유닛을 무시하고 내릴 수 있으며 건설 지역 주변 아군 유닛들이 자동으로 비켜준다.
그리고 시야가 공유된 플레이어들은 건설 예정인 건물의 그래픽을 볼 수 있다.[9]
건설 명령 상태에서 추가로 건설 명령이 내려지면 예약된다. (최대 12번)


본 플러그인은 오픈소스이다.
제작자는 KP.

3.1.6. 스마트캐스팅(SmartCast)

파일:스타2크래프트_스마트캐스팅역장.gif

스마트캐스팅은 여러 개의 마법 유닛을 동시에 선택했을 때, 플레이어의 마우스 입력 한 번마다 오직 한 유닛만 지정된 기술을 시전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 기술 또한 완벽하게 적용하였다.

본 플러그인은 오픈소스이다.
제작자는 ADRDOH.

3.1.7. 빠른 반응속도(Fastmotion)

파일:스타2크래프트_반응성향상.gif

스타1 특유의 느린 모션을 제거하여 유저가 원하는 방향을 더 정확하고 빠르게 반응한다.
이를 통해 스타2의 허리돌리기(카이팅)이 가능해지며 특히 마린과 저글링이 큰 수혜를 입었다.

3.1.8. 개선된 패스파인더(Pathfinder)

유닛들이 언덕을 올라갈때 더 잘 뭉치고 명령 내린 방향을 잘찾는다.
그리고 더이상 드라군(추적자)를 포함한 모든 유닛은 껌을 밟지 않는다.

3.1.9. 스타2방어타입

더 정확한 데미지타입으로 구현
구분 일반형(추뎀X) 폭발형(중추뎀) 대폭발형(중추뎀) 진동형(경추뎀) 특수형(맹독충)
대형(중장갑) 100% 123.4% 115.6% 50% 18.7%
중형(무장갑) 100% 87.5% 62.5% 62.5% 18.7%
소형(경장갑) 100% 87.5% 62.5% 100% 50%
구조물(건물) 100% 123.4% 115.6% 50% 100%

스타2는 데미지 타입이 퍼센트 비율로 되어있지않고, 방어 타입에 따른 추가 대미지로 변경되었다.
여기서 구현된 대폭발형은 얼핏 퍼센트가 낮아보이지만 그 만큼 기본 데미지가 높다.
불멸자, 불곰, 시즈모드같이 소형과 대형의 데미지 차이가 큰 중추뎀 유닛들에게 적용하여 밸런스를 조정하였다.

3.1.10. 스타2시야 시스템

스타2의 시야 시스템은 스타1과 다르게 공격받으면 적의 실루엣만 보이고 적유닛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볼 수는 없고
심지어 시야를 확보하기 전까지는 공격할 수 없다.
스타2크래프트에서는 공격받으면 반격할 틈없이 바로 시야를 끄게 하여 유사하게 구현했다.



3.2. 테란

3.2.1. 시스템

3.2.1.1. 자동수리

3.2.2. 유닛

3.2.3. 건물


3.3. 프로토스

3.3.1. 시스템

3.3.1.1. 쉴드재생시스템

3.3.2. 유닛

3.3.3. 건물



3.4. 저그

3.4.1. 시스템

3.4.1.1. 점막(크립)위 이동속도 증가

3.4.2. 유닛

3.4.3. 건물



4. 불가능한 구현

  • 데스볼 제거
  • 쉴드의 방어타입적용
  • 완전한 멀티커맨드
  • 완전한 건물부대생산

5. 플레이 영상 목록

6. 여담


[1] 스에아 카페에 가장 처음 올린 날짜이다.[2] 1.95.8버전에서 다양한 모드를 위해 6인으로 제작중에 있다.[3] 당시 맵을 플레이해보면 테란 벙커가 보급고(서플라이)와 통합된 충격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출처 : https://cafe.naver.com/eudstarcraft2/3[4] 이전에는 스포닝풀에서 뽑아야했다(...).[5] 저그 건물은 직접 유닛을 생산할 수가 없다. 이유는 과거 스타크래프트 버그로 인해 저그 건물은 직접 생산을 할 수 없게 막아놨기 때문이다.[6] 예를들어 사용하기 어려운 저그의 후반 마법 유닛 살모사의 기술들은 조금씩 버프가 이루어져있다.[7] K런처를 사용해야만 그래픽이 적용된다. 물론, 없어도 플레이는 가능하다.[8] 상단 다운로드 링크에 있는 구글드라이브에 접속하면 해당 맵 파일이 존재한다.[9] 띄워진 테란 건물 착륙 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