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협궤 철도 소속 기관차들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증기기관차 | ||||||
| 듀크 | 빅터 | 루크 | 밀리 | ||||
| 프로테우스 | 스머저 | 버트럼 | 아이보 휴 | ||||
| 유령 기관차 | |||||||
| 디젤기관차 | |||||||
| 프레드 | |||||||
| 전차 | |||||||
| 마크 V | |||||||
| 중앙 철도 기관차들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증기기관차 | ||||||
| 듀크 | 팔콘 | 스튜어트 | 스머저 | ||||
| 짐 | 팀 | 아틀라스 | 알프레드 | ||||
| 제리 | 존 | 제닝스 | 광산 기관차 | ||||
| 알버트 | |||||||
| <colcolor=#fff> 스머저 Smudger | ||
| | ||
| <colbgcolor=#669900> | ||
| 이름 | <colcolor=#000>발전기가 된 스머저 Smudger Turned Generator | |
| 기반 모델 | Fletcher Jennings Class Bb | |
| 성별 | 남자 | |
| 국적 | | |
| 차량번호 | MSR 2 | |
| 제작년도 | 1866년 | |
| 거주지 | 중앙 철도 | |
| 소속 | 중앙 철도 | |
| 창조자 | 브릿 알크로프트 데이비드 미튼 | |
| 데뷔 | 시즌 4 1화 듀크 | |
| 성우 | 장광 | |
1. 개요
내가 선로에서 몇 번을 떨어졌다고 누가 신경이나 쓴대?
Listen, Dukie. Who worries about a few spills!?
작중 유일한 대사.
스머저(Smudger)Listen, Dukie. Who worries about a few spills!?
작중 유일한 대사.
중앙 소도어 철도에서 일했던 1회성으로 등장한 기관차. 듀크의 회상에서만 등장한다.
2. 행적
4기 1화 듀크 편에서 듀크가 중앙 소도어 철도에 있을 때 팔콘(현 헨델 경)과 스튜어트(현 피터 샘)가 사고를 치자 들려준 이야기에서 등장.힘자랑을 하다가 자주 탈선되었는데, 듀크가 탈선 된 스머저에게 충고를 해주자 오히려 비웃지만 사장이 사고를 많이 치는 스머저를 차고 뒤의 발전기로 개조해버렸다.
| |
| 발전기가 된 스머저. |
중앙 소도어 철도가 폐쇄된 이후론 아무런 언급도 없는데, 폐차되거나 방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3. 여담
4. 원작 기관차 스탠리
| <colcolor=#fff> 스탠리 Stanley | ||
| | ||
| <colbgcolor=#FF3333> | ||
| 이름 | <colcolor=#000>스탠리 | |
| 기반 모델 | Baldwin Class 10-12-D | |
| 성별 | 남자 | |
| 국적 | | |
| 차량번호 | MSR 2 | |
| 제작년도 | 1917년 | |
| 거주지 | 중앙 철도 카스 니 하윈 | |
| 소속 | 중앙 철도 | |
| 창조자 | 윌버트 오드리 | |
| 데뷔 | 25권 오래된 기관차 듀크 | |
원작에서는 스탠리라는 다른 기관차로 등장한다.[3] 참고로 이름이 같은 TV판 캐릭터인 스탠리와는 전혀 관련이 없다.
원작의 스탠리는 1917년경 볼드윈 기관차 공장에 의해 제작되었고 제1차 세계대전 중 참호 철도에서 일하기 위해 프랑스로 파견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그는 1920년 중앙 소도어 철도에 매각되었고, 고용 되어졌다.[4]
그러나 회사에 온 스탠리의 평가는 상당히 안 좋아졌는데, 스탠리는 철로를 따라 거칠게 타는 경향이 있었고 종종 탈선했지만, 그는 이것이 별일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당시 사장은 이 습관을 고치려는 시도를 반복했으나 결국 실패했고, 그렇게 계속 반복이 되자, 결국 사장은 스탠리의 바퀴를 제거 하고 알레스데일의 엔진 창고 뒤에 있는 발전기 엔진으로 대체 되었다.[5] 후에 듀크는 나중에 스튜어트(현 피터샘)와 팔콘(현 헨델경)에게 스탠리의 몰락에 대해 얘기를 들려주자 그들은 유난히 며칠 동안 흥미로워 했다.
이후에는 스탠리는 나중에 매각되어 광산에서 물을 퍼내기 위해 카스니하윈으로 옮겨져서 1946년 12월까지 운용 되어졌지만, 사고로 물이 차오르게 되었고, 이 때문에 영업을 계속할 이유가 없었기 때문에 중앙 소도어 철도는 광산을 영구적으로 폐쇄했다.[6]
[1] 이유에 대해서는 아래에 서술할 원작의 스탠리도 분량이 적은데 굳이 모형 기관차 한대를 제작해서 한장면을 위해 만드는 것보다 요소를 재활용 해서 오리지널 캐릭터를 만드는게 좋다 판단한듯 하다.[2] 현실로 치자면 무기징역과 다름없는 감금에다가 증기기관차에서 발전기로 개조되었기에 인체 개조라고도 볼 수 있다.[3] 존재가 바꼈을 뿐, 캐릭터의 설정은 TV판에도 그대로다.[4] 여기서 스탠리의 이름은 그는 정치인 스탠리 볼드윈의 이름을 따서 철도 직원들에게 별명을 얻었다고 한다.[5] 스머저와 마찬가지로 기업 입장에서 상당히 민폐인 것이, 어디까지나 철도 운영을 위해 기관차를 데려왔는데, 그 기관차가 잦은 탈선 사고를 일으켰다. 이럴 경우에는 회사에 대한 신뢰도가 내려가거나 선로를 포함한 기타등등에서 수리비가 만만찮게 깨질수 있고, 이 때문에 스탠리를 다른곳에 매각하거나 해체해도 이상하지 않을 처분이었다.[6] 사고 이후에는 스탠리가 홍수에서 살아 남았는지, 아니면, 이 시점 이후 그의 운명이 어땠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정황상 광산에 매몰 되어버려졌으니 딱히 좋은 결말로 이어지지는 않는걸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