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13:13:01

스나이퍼 엘리트 5/적


<colbgcolor=#000000> 파일:Sniper Elite 5 Logo.png
스나이퍼 엘리트 5 관련 문서
캠페인 | 등장인물 | (예거 저격수) | 무기 및 아이템 (소총 | 보조 무기 | 피스톨)

1. 목록
1.1. 보병1.2. 감적수1.3. 대전차병1.4. 서치라이트맨1.5. 정비병1.6. 헌병1.7. 통신병1.8. 장교1.9. 일본 해군1.10. 기관총 사수1.11. 장전수1.12. 숙련병1.13. 관측병1.14. 운전병1.15. 포좌1.16. 캐쥬얼1.17. 저격수1.18. 예거1.19. Pz.kpfw.VI Ausf.B1.20. Sd.Kfz.2221.21. 건보트


스나이퍼 엘리트 시리즈는 주적인 독일 국방군 외에도 다른 세력을 적으로 만날 수 있는데, 1편과 2편은 붉은 군대가 중후반의 주적을 담당했고, 3편과 4편은 이탈리아 왕국군이 독일 국방군과 함께 주적으로 등장했다. 이와 달리 본편에서는 다른 군이 본격적인 적으로 나오지는 않으나, 일본 해군 소속 장교인 요시카와가 '잔해와 폐허' 임무의 암살 목표로 등장한다. 즉, 이 작품은 시리즈 처음으로 일본군이 출현한다.

1. 목록

1.1. 보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보병(스나이퍼 엘리트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스나이퍼 엘리트 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감적수

조명탄을 추가로 소지하며, 조명탄으로 폭격을 요청한다. 조명탄을 노획해 사용하면 역으로 폭격을 가할 수 있다. 발견 시 먼저 처치해야 한다.

1.3. 대전차병

강력하고 큰 피해를 주는 대전차 로켓 발사기인 판처파우스트를 소지하고 다닌다.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발견 시 먼저 처치해야 한다. 전작처럼 탄두를 명중시켜 폭사시킬 수 있지만 이렇게 하면 판저파우스트 본체 습득이 불가능해진다.

1.4. 서치라이트맨

서치라이트로 적을 발견하면 포격을 한다. 발견 시 먼저 제거해야 한다. 서치라이트를 쏘면 폭사로 처리된다.

1.5. 정비병

기계 장비를 정비하거나 차량 혹은 함선 근처에서 정비하며 경계를 선다.

1.6. 헌병

가끔 경비 지역에 나온다.

1.7. 통신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통신병(스나이퍼 엘리트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스나이퍼 엘리트 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8. 장교

  • 일반 장교
  • 예거 장교
  • 정비 장교
  • 과학자
  • 감독관
  • 해군 장교
전투가 벌어지면 후방으로 숨은 뒤 호루라기를 불어 주변의 어그로를 끌고 병사들에게 지시를 내린다.

1.9. 일본 해군

일본 해군 장교들로 편성된 사절단으로 미션 8의 암살 대상 요시카와 신지를 비롯한 일본 해군에서 파견한 장교들이다.

1.10. 기관총 사수

기관총을 사용한다.

1.11. 장전수

기관총 사수의 부사수.

1.12. 숙련병

예거의 한 단계 등급이 낮은 정예병.

1.13. 관측병

전작처럼 저격수의 보조 역할을 한다.

1.14. 운전병

차량을 운전하는 병과.

1.15. 포좌

차량에 달린 기관총을 쏜다.

1.16. 캐쥬얼

가끔 내의만 입고 나오는 병종.

1.17. 저격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저격수(스나이퍼 엘리트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스나이퍼 엘리트 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8. 예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예거(스나이퍼 엘리트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스나이퍼 엘리트 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9. Pz.kpfw.VI Ausf.B

전작의 6호 전차 티거에 비해 괜히 중전차이자 서부전선 연합군 기갑부대의 최종 보스가 아니라는 듯이 상대하기 어려워졌다. 정면에서는 답이 없으니 뒤로 돌아가야 하는데, 약점은 후방의 엔진룸을 노려야 한다. 이 엔진룸 쪽에 그대로 가방 폭탄을 붙여 1차로 터뜨려 노출된 엔진에 판처파우스트, 판처뷕세를 사격해 파괴시키거나, 노출된 엔진에 그대로 철갑탄을 사격해 파괴시키는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철갑탄을 이용해 보기륜을 사격하면 바퀴가 빠져 기동 불능에 놓인다.

1.20. Sd.Kfz.222

전작에 비해 기관포 사격이 매서워 터트리기가 어려워졌으니 그냥 뒤로 돌아가 폭발물을 쓰자. 후방 측면에 있는 직사각형의 엔진룸 덮개를 쏴 엔진을 쏘면 터트릴 수 있다.

1.21. 건보트

전작에서 이탈리아군과 독일군이 모두 사용한 순찰용 보트이다. 이탈리아 왕국의 항복 이후 사실상 독일의 것이 된 셈이다. 약점은 전작과 마찬가지로 양 사이드의 어뢰이지만 철갑탄 사격이 아니면 폭파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전작에 비해 상대하기 버거워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