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00:21:20

수학자/목록/1951-1960년 출생

1. 개요

수학자중 1951년부터 1960년까지 출생한 인물 목록을 다룬 문서.

2. 목록

이름 출생 년도 주요 업적 주요 수상 내역[1]
겐나디 블라디미로비치 벨리 1951 벨리 사상, 벨리 쌍, 벨리 정리
모리 시게후미 1951 킬-모리 정리, 최소 모델 프로그램(minimal model program) 1990년 필즈상, 1990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마이클 프리드먼 1951 4차원에서 푸앵카레 추측 증명, 이국적 R4 발견, 위상 양자 컴퓨터 198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1986년 필즈상
루 반 덴 드리스[2] 1951 Tame 위상과 O-최소 구조[3], 모형 이론, 특히 점근 적 미분 대수 및 Transseries의 모형 이론에 대한 연구 2018년 카프상
돈 재기어 1951 그로스-재기어 정리, 헤르글로츠-재기어 함수, 가우스 유수 문제, 랭킨-코헨 대수, 위튼 제타 함수, 주기(대수 기하학) 1987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히로아키 테라오 1951 초평면 배열의 선구자, 테라오 추측
에드워드 위튼[4] 1951 양 에너지 정리(positive-energy theorem), M 이론, 와인버그-위튼 정리, 베스-추미노-위튼 모형, 그로모프-위튼 불변량, 자이베르그-위튼 이론, 자이베르그-위튼 불변량, 하나니-위튼 전이, BCFW 재귀 공식, 바파-위튼 정리, 위튼 추측, 위튼 지표, 위상 끈 이론, 위튼형 위상 양자장론 1990년 필즈상, 2001년 클레이 연구상, 2012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
얀 데네프[5] 1951 엑스-코헨 정리를 일반화하는 텔렌(Thélène)의 추측 증명
데메트리오스 크리스토둘루 1951 비선형 기억 효과(nonlinear memory effect), 벌거숭이 특이점, 민코프스키 공간의 비선형 안전성 1999년 보셰 기념상, 2011년 쇼상 수학부문
로버트 브루스 리터만 1951 블랙-리터만 모형
다니엘 베네퀸 1952 서스턴-베네퀸 수, 3차원 유클리드 공간의 매장된 이국적 접촉 구조의 첫 번째 예를 제시함
가토 가즈야 1952 블록-가토 추측, 더 높은 국소 유체론(Higher local class field theory), logarithmic geometry(장 마크 폰테인, 뤼크 일뤼지와 함께 창시자중 한 명이다)
군터 울만[6] 1952 역문제( inverse problem)에 대한 근본적인 연구[7][8]뿐만 아니라 boundary rigidity의 대한 연구[9][10]클로킹에 관한 연구[11] 2011년 보셰 기념상
요제프 베크[12] 1952 베크-피알라(Beck–Fiala) 정리, 베크의 정리(이산 기하학), 하이퍼그래프에 불일치(Discrepancy) 개념을 도입하고 등차 수의 불일치에 대한 상한선을 설정 1985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미셸 피에르 탈라그랑 1952 파리시 공식 증명, 탈라그랑 집중 부등식, majorizing measures, generic chaining 1995년 루에브상, 1997년 페르마상, 2019년 쇼상 수학부문, 2024년 아벨상 수상
사이먼 필립스 노턴 1952 하라다-노턴 군, 가공할 헛소리(Monstrous moonshine)
제라르 로몽[13] 1952 보형 형식에 대한 기본 보조정리(fundamental lemma)의 증명, 양의 표수의 국소체 k에 대한 일반 선형군 GL(n,k)에 대한 국소 랭글랜즈 추측을 증명 2004년 클레이 연구상
레오니트 겐리호비치 하치얀[14] 1952 선형 계획법을 위한 타원체 방법이 다항식 시간에 구현될 수 있는 알고리즘 제시[15] 1982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아디 샤미르 1952 RSA 암호, IP[16] = PSPACE[17]임을 증명함, 파이기-피아트-샤미르 식별 체계(identification scheme) 2002년 튜링상, 2024년 울프상 수학부문 수상
데이비드 존 올더스 1952 올더스-후버(aldous-hoover) 표현 정리, 푸아송 응집 휴리스틱(Poisson clumping heuristic), 주어진 그래프에서 균일 신장 트리(uniform spanning tree)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발견 1993년 루에브상
라르스 하칸 엘리아손[18] 1952 비선형 슈뢰딩거 방정식에 대한 KAM 정리[19], 1차원 준주기 슈뢰딩거 방정식의 플로케(Floquet) 해[20] 1995년 살렘상
군나르 칼슨[21] 1952 시걸(Segal) 추측 증명, 설리번 추측의 증명에 기여, 위상 데이터분석(Topological data analysis)
카와마타 유지로 1952 카와마타-휘벡 소멸정리, Kawamata log terminal
데이비드 로드니 로저 히스 브라운 1952 3차 가우스합에 대한 쿠머의 추측을 반증하고 수정된 형태를 증명
데이비드 하바터 1952 아비안카 추측 증명 1995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본 프레더릭 랜들 존스 1952 존스 다항식, 평면 대수(Planar algebra), subfactor, 존스 지표 정리, 아하로노브-존스-란다우 알고리즘 1990년 필즈상
스티븐 폴 케르코프 1952 닐슨 실현 문제 해결
피터 존스 1952 존스의 여행하는 외판원 정리(Jones' traveling salesman theorem in R2) 1981년 살렘상
안드레이 블라드레노비치 젤레빈스키[22] 1953 클러스터 대수(Cluster algebra), 번스타인-젤레빈스키 분류
라빈드란 칸난[23] 1953 볼록체의 부피를 근사화하기 위한 다항식 시간 알고리즘, 세메레디 규칙성 정리의 알고리즘 버전 1991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소린 테오도르 포파 1953 유형 II의 종순(amenable) subfactor의 분류, 카즈단의 속성(T) 군 G의 베르누이 작용이 궤도 동치 초강성임을 보여줌, subfactors에 양자 이중(quantum double) 구성 도입 2009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앤드루 와일스 1953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 메이저-와일스 정리 1995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1995년 페르마상, 1995~1996년 울프상 수학 부문 수상, 1997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1998년 필즈상 특별상[24], 1999년 클레이 연구상, 2005년 쇼상 수학부문, 2016년 아벨상
로버트 켄달 라자스펠드[25] 1953 대수 기하학의 양성(Positivity in Algebraic Geometry)
장 루프 발트스퍼거[26] 1953 발트스퍼거 정리, 발트스퍼거 공식, 직교군에 대해서 국소 간-그로스-프라사드(Gan–Gross–Prasad) 추측 증명 2009년 클레이 연구상
카리 아스탈라[27] 1953 동역학계 이론에 준등각사상을 적용하는 프레더릭 게링(Frederick Gehring)와 에드거 라이히(Edgar Reich)의 추측을 해결 1994년 살렘상
로버트 비타 콘 1953 카파렐리-콘-니런버그 부등식
마크 에드워드 컬러 1953 순환 수술(Cyclic surgery) 정리, Culler–Vogtmann Outer space
카를로스 에두아르도 케니그 1953 조화 해석학, 편미분방정식, 비선형 분산 편미분방정식의 중요한 기여[28][29][30] 1984년 살렘상, 2008년 보셰 기념상
무카이 시게루 1953 푸리에-무카이 변환
닐스 요나스 덴커[31] 1953 니런버그-트레브스(Nirenberg-Treves) 추측 증명 2005년 클레이 연구상
피터 클라이브 사르낙 1953 산술 양자 고유 에르고딕성(Arithmetic Quantum Unique Ergodicity) 추측, 함수체에서 일반적인 L-함수의 영점의 간격에 관한 연구, [math(p)]는 소수이고 [math(p\equiv 1\pmod4)]일때 무한히 많은 [math((p+1))] 정규 라마누잔 그래프를 구성함, 해프너-사르낙-맥컬리 상수 2001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2005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2014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24년 쇼상 수학부문
다니엘 오콘 1953 클라크-오콘 정리, 오콘 마팅게일
대니얼 앨런 골드스톤 1954 쌍둥이 소수 추측과 관련된 다음의 정리를 증명했다. [math(\displaystyle\liminf_{n\to\infty}\frac{p_{n+1}-p_n}{\log p_n}=0)] 여기서 [math(p_n)]은 n번째 소수를 의미한다. 이 식의 의미는 임의의 양의 실수 c에 대해서도 무한히 많은 소수 p와 바로 다음 소수 p'의 쌍이 존재하여, 차이가[math(c\log p)]보다 작게 된다는 것이다. 2014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블라디미르 드린펠트 1954 양의 표수의 대역체에 대한 일반선형군 GL (2, K)에서 랭글랜즈 추측 증명, 양자 군, 마닌-드린펠트 정리, 드린펠트-소콜로프-윌슨 방정식, 카이랄 대수, 카이랄 호몰로지, 리(Lie)* 대수, 드린펠트 상반 평면, 드린펠트 가군, 드린펠트 상반성 1990년 필즈상, 2018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23년 쇼상 수학부문
클리포드 헨리 토브스 1954 타우브스의 그로모프 불변량, 와인스타인 추측, R4는 비가산개의 매끄러운 구조를 가짐을 증명 1991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08년 클레이 연구상, 2009년 쇼상 수학부문
장 바론 부르갱 1954 카케야 문제를 산술 조합론(Arithmetic combinatorics)과 연결시킴, (n,k) 베시코비치 추측에서 [math(2^{k-1}+k>n)]일때 베시코비치 집합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 비노그라도프 평균값 정리에 대한 주요 추측 증명, 리베(Ribe) 프로그램 제안 1983년 살렘상, 1991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1994년 필즈상, 2010년 쇼상 수학부문, 2017년 브레이크스루 상 수학부문
어니스트 앨런 에머슨 1954 Model checking, 계산 트리 논리 2007년 튜링상
데이비드 가바이 1954 단순 루프 추측 증명, 3차원 다양체에서 Taut foliation의 존재, tameness 정리, Property R 추측 증명, 닫힌 가향 3차원 쌍곡 다양체 중에서 Weeks 다양체가 가장 작은 부피를 가짐을 증명, 3차원 호모토피 쌍곡 다양체의 강성 2004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09년 클레이 연구상
토마스 하트윅 울프 1954 코로나 정리[32], n차원 유클리드 공간에서 카케야 집합의 민코프스키 차원의 하한선이 [math(\frac{n+2}{2})]라는 것을 보여줌[33] 1985년 살렘상, 1999년 보셰 기념상
게르트 팔팅스 1954 모델 추측(팔팅스 정리)을 증명, 모델-랭 추측 증명, 팔팅스 높이, 팔팅스 곱 정리 1986년 필즈상, 2015년 쇼상 수학부문
베로니스 잉그리드 도비치 1954 도비치 웨이블릿, 코헨-도비치-포우보 웨이블릿 2023년 울프상 수학부문
실비오 미칼리 1954 골드바서-미칼리 암호체계, 영지식(zero-knowledge) 증명, 확률적 암호화 2012년 튜링상
장 피에르 윈텐베르거 1954 세르 모듈러성 추측을 증명 2011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알렉세이 보리소비치 알렉산드로프 1954 알렉산드로프-클라크 측도 1982년 살렘상
마이클 하워드 해리스 1954 표수가 0인 국소체 K에 대한 일반 선형군 [math(GL_{n}(k))]에서 국소 랭글렌즈 추측 증명 2007년 클레이 연구상
니콜라이 게오르기예비치 마카로프 1954 마카로프 정리 1986년 살렘상
압바스 바리 1955 변분법에 무한대의 임계점(critical points at infinity) 방법을 도입 1989년 페르마상
장이탕 1955 소수 간극의 하극한이 유한한 수인 70,000,000보다 작다는 것을 증명함으로 쌍둥이 소수 문제에 큰 진척을 이룸 2013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2014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빅토르 알렉산드로비치 콜리바긴 1955 오일러 시스템 도입, 콜리바긴-플라흐 방법, L(E, 1)이 영점(zero)이 아닌 모듈러 타원 곡선 E의 계수는 0이고 L(E, 1)이 s = 1에서 1차(first-order) 영점을 갖는 모듈러 타원 곡선 E는 계수로 1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줌
질 브라사드 1955 양자 키 분배(BB84 프로토콜), 양자 순간이동(Quantum teleportation), 양자 셈 알고리즘(Quantum counting algorithm), 양자 의사 텔레파시(Quantum pseudo-telepathy), BHT 알고리즘 2018년 울프상 물리학 부문, 2023년 브레이크스루 물리학상
윌리엄 휴 우딘 1955 우딘 기수, AD +[34], Ω-논리 1988년 카프상, 2013년 하우스도르프 메달
프레다 미허일레스쿠 1955 카탈랑 추측 증명(미허일레스쿠 정리), 대수적 수체에 대한 레오폴트 추측 증명
예브게니 콘스탄티노비치 스클리아닌[35] 1955 스클리아닌(Sklyanin) 대수
그렉 로울러 1955 슈람-뢰브너 진화, 지워진 루프 무작위 걸음, 평면 브라운 운동의 바깥 경계의 프랙털 차원이 4/3이라는 만델브로트 예측 증명 2019년 울프상 수학 부문 수상
예핌 이사코비치 젤마노프 1955 제한된 번사이드 문제 해결, 무한 차원 단순 요르단 대수의 분류 1994년 필즈상
알렉산더르 세르게예비치 메르쿠르예프[36] 1955 메르쿠르예프-수슬린 정리, Essential dimension 정의 2012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토시카즈 가와사키 1955 가와사키 정리[37]
알랭 솔 스니트먼[38] 1955 혼돈의 전파(propagation of chaos)[39]와 함정과 장애물이 있는 브라운 운동에 대한 연구[40] 1999년 루에브상
길 칼라이 1955 보르수크 추측이 거짓임을 증명, 양자 컴퓨팅에 관한 칼라이의 추측, 칼라이의 3차원 추측, 엔트로피 영향 추측, n개의 패싯이 있는 d차원 폴리토프의 직경에 대한 서브-지수(subexponential) 경계 증명[41] 1994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카리 칼레바 빌로넨[42] 1955 유한체에서 기하학적 랭글랜즈 추측을 증명, 기하학적 사타케 등가(geometric Satake equivalence) 증명[43]
마크 리처드 제럼[44] 1955 음이 아닌 행렬의 퍼머넌트에 대한 다항 시간 근사 알고리즘[45] 2006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칼 루빈[46] 1956 테이트-샤파레비치 군의 유한성 증명[47], 메이저-와일스 정리를 보다 초등적인 방법으로 증명[48], 이와사와 이론의 주요 추측의 일반화를 증명[49], 테이트-샤파레비치 군의 p-부분은 모든 소수 p>7에 대해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에 의해 예측된 순서를 가짐을 보여줌[50] 199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유리 네스테로프[51] 1956 Self-concordant function[52], Nesterov accelerated gradient(NAG), 준정부호 계획법(Semidefinite programming)
노가 알론 1956 알론-보파나(Alon–Boppana) 정리, 조합론적 영점 정리(Combinatorial Nullstellensatz), 스트리밍 알고리즘, 목걸이 쪼개기 문제(Necklace splitting problem) 2022년 쇼상 수학부문, 2024년 울프상 수학부문 수상
헬무트 헤르만 호퍼 1956 호퍼 기하학, 사교 위상수학, Symplectic capacities 도입, 사교 장론(Symplectic Field Theory) 1999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알렉산더르 르보비치 볼베르그[53] 1956 점근적 정칙 함수와 해석학에서의 사용 1988년 살렘상
빅토르 아나톨리예비치 바실리에프 1956 바실리에프 불변량(유한 유형 불변량)
야노시 콜라르 1956 유효 힐베르트 영점 정리의 대수적 증명, 3차원 대수 다양체에 관한 내쉬 추측의 반례를 찾음 2006년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2017년 쇼상 수학부문
알베르토 브레산 1956 쌍곡 보존 법칙에 대한 중요한 연구들[54][55] 2008년 보셰 기념상
장 미셸 코론 1956 변분 문제 및 제어이론에 공헌[56][57][58][59][60][61][62][63] 1993년 페르마상
피에르 루이 리옹 1956 Viscosity solution 도입, 해밀턴-야코비 방정식의 Viscosity solution, 볼츠만 운송 방정식의 재규격화된 해를 제시, 평균장 게임 이론(Mean field game theory) 1994년 필즈상
안드레아스 플로어 1956 플로어 호몰로지, 사교 기하학에서 아르놀트 추측 증명
아비 위그더슨[64] 1956 지그재그 곱(Zig-zag product), Algebrizing proof로는 P-NP 문제를 증명하는데 충분하지 않음을 증명, 위그더슨 알고리즘 1994년 IMU 주판 메달, 2021년 아벨상, 2023년 튜링상
제프리 위크스 1956 위크스(Weeks) 다양체
나렌드라 크리슈나 카르마르카르[65] 1956 내부점법[66], 카르마르카(Karmarkar) 알고리즘[67] 1988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데이비드 도노호 1957 압축 센싱, outlyingness, 도노호-존스턴 소프트-스레시홀딩 알고리즘 2013년 쇼상, 2018년 가우스상
매튜 딘 포먼 1957 마틴 최대 공리, 베르 성질이 있는 조각으로 바나흐-타르스키 역설이 가능함을 보여 마르체프스키(Marczewski)의 문제를 해결
비제이 버쿠마르 바지라니 1957 발리언트-바지라니 정리, 고립(Isolation) 보조정리
세르게이 블라디미로비치 코냐긴[68] 1957 지수 합의 하한에 대한 리틀우드 추측 증명, 에르되시-랭킨 추측 해결 1990년 살렘상
장 크리스토프 요코즈 1957 요코즈 퍼즐, 만델브로 집합이 유한하게 재규격화 가능한 매개변수 값에 대해 국소 연결되어 있음을 증명, 호모클리닉(Homoclinic) 역학계의 공명현상을 해석 1988년 살렘상, 1994년 필즈상
가이 데이비드 1957 T(1) 정리, 비투쉬킨(Vitushkin)의 문제의 특별한 경우를 해결[69] 1987년 살렘상
알렉산드르 알렉산드로비치 베일린손 1957 카즈단-루스티그 추측 증명, 얀첸 추측 증명, 카이랄 대수, 카이랄 호몰로지, 리(Lie)* 대수, 베일린손-술레 가설 1999년 오스트로우스키 상, 2018년 울프상 수학 부문, 2020년 쇼상 수학부문
사이먼 커원 도널드슨 1957 도널드슨 불변량, 야우-톈-도널드슨(Yau- Tian- Donaldson) 추측 증명, 도널드슨 정리, 미분기하학에서 순간자를 사용하여 4차원 유클리드 공간 위의 이국적 매끄러움 구조를 찾아냄 1986년 필즈상, 2009년 쇼상 수학부문, 2015년 브레이크스루 수학상, 2019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2020년 울프상 수학 부문
파울 앨런 보이타 1957 보이타 추측, 팔팅스 정리[70] 1992년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타르도스 에바[71] 1957 타르도스 함수, 강한 다항 시간 최소 비용 순환(minimum cost circulation) 알고리즘을 찾음[72] 1988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장 린 주른[73] 1957 T(1) 정리 1987년 살렘상
세르게이 블라디미비치 포민[74] 1958 클러스터 대수(Cluster algebra)
헤르베르트 에델스브루너[75] 1958 지속적 호몰로지 (Persistent homology), 위상 데이터분석
마르쿠스 로스트 1958 로스트 불변량, 노름 대수 다양체에 대한 존재 정리
마이클 제롬 홉킨스 1958 멱영원 정리(Nilpotence theorem), 홉킨스-밀러 정리, 위상 모듈러 형식, 케르베르 불변량 문제 2001년, 2022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알렉산더 기벤탈 1958 아르놀트-기벤탈 추측, 사교 장론(Symplectic Field Theory)
커티스 트레이시 맥멀런 1958 4차 이상의 다항식의 근을 찾기위한 일반적으로 수렴하는 알고리즘이 없음을 보여주고 3차 다항식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렴하는 알고리즘을 제시, 맥멀런 계량, 리만 곡면의 모듈라이 공간이 켈러 쌍곡임을 증명 1991년 살렘상, 1998년 필즈상
토마스 칼리스터 헤일스 1958 케플러의 추측 증명, 벌집 추측 증명, 십이면체 추측 증명 2009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샤피 골드바서 1958 블럼-골드바서 암호체계, 골드바서-미칼리 암호체계, 영지식(zero-knowledge) 증명, 확률적 암호화 2012년 튜링상
톈강 1958 K-안정성, 야우-티엔-도널드슨 추측, α 불변량 1996년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마에카와 준 1958 마에카와 정리[76]
존 윌리엄 로트[77] 1959 보렐 측도를 갖춘 일반적인 거리 공간의 리치 곡률의 하한을 정의
린 팡화[78] 1959 작은 매개 변수를 가진 긴즈부르크-란다우 방정식에 대한 이해에 근본적인 연구와 액정에 대한 많은 깊은 기여[79][80] 2002년 보셰 기념상
후카야 켄지 1959 후카야 범주, 약한 버전의 아르놀트 추측 증명
존 스미스[81] 1959 아인슈타인 문제[82] 해결
피터 쇼어 1959 쇼어 알고리즘, 쇼어 코드 1998년 IMU 주판 메달, 2023년 브레이크스루상 물리학 부문
마이클 레이시 1959 쌍선형 힐베르트 변환, 칼레손 정리, 칼데론 추측 해결, 가토의 추측 해결[83] 1996년 살렘상
에후드 흐루쇼브스키 1959 자리스키 기하학 창시, 흐루쇼브스키 구성, 함수체 상의 모델-랭 추측 증명, List of possible spectra of a countable theory[84] 1993년, 1998년 카프상, 2022년쇼상 수학부문
장 프랑수아 르 갈 1959 브라운 뱀(Brownian snake) 도입과 비선형 편미분 방정식에 응용, 브라운 맵의 하우스도르프 차원은 4가 된다는 것을 증명 1997년 루에브상, 2005년 페르마상, 2019년 울프상 수학 부문 수상
리처드 유언 보처즈 1959 가공할 헛소리(monstrous moonshine) 추측 증명, 꼭짓점 대수(vertex algebra), 보처즈 대수 1998년 필즈상
이브 앙드레 1959 멜빈 혹스터의 가환대수에서의 호몰로지 추측 중에서 직합인자 추측을 증명, 앙드레-오르트(André–Oort) 추측
요시타카 다니무라 1960 운동의 계층적 방정식(Hierarchical equations of motion)
칼 테오도르 슈투름[85] 1960 국소 디리클레 공간에 대한 연구[86][87][88], metric measure spaces의 기하학에 대한 연구[89][90]
시시쿠라 미츠히로 1960 파투의 추측 증명, 만델브로트 집합의 경계는 하우스도르프 차원이 2라는 만델브로트의 추측을 증명 1992년 살렘상
강현배 1960 포여-세괴 추측과 에셸비 추측 증명
앨리스타 싱클레어[91] 1960 음이 아닌 행렬의 퍼머넌트에 대한 다항 시간 근사 알고리즘 2006년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7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7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필즈상, 아벨상, 울프상, 노벨상, 튜링상, 가우스상, 천 메달, IMU 주판 메달, 쇼상, 브레이크스루 상, 오즈왈드 베블런 기하학상, 프랭크 넬슨 콜상(정수론), 프랭크 넬슨 콜상(대수학), 보셰 기념상, 델버트 레이 폴커슨상, 오스트로우스키(Ostrowski) 상, 국제 통계학상, 살렘상, 페르마상, 루에브(Loève)상, 카프(Karp)상, 하우스도르프 메달, 클레이 연구상[2] Laurentius Petrus Dignus "Lou" van den Dries[3] Tame topology and o-minimal structures. London Mathematical Society Lecture Notes. 248. Cambridge University Press.[4] 현재까지 유일한 비수학자 출신 필즈 메달리스트[5] Jan Denef[6] Gunther Alberto Uhlmann Arancibia[7] The Calderón problem with partial data. Ann. of Math. (2) 165 (2007), no. 2, 567–591[8] The Calderón problem with partial data in two dimensions. J. Amer. Math. Soc. 23 (2010), no. 3, 655–691[9] "Two dimensional, compact, simple Riemannian manifolds are boundary distance rigid", Annals of Mathematics, 161 (2005), 1089–1106[10] Boundary rigidity with partial data, J. Amer. Math. Soc. 29 (2016), 299-332[11] Uhlmann, Allan Greanleaf, Yaroslav Kurylev, Matti Lassas Inverse problems and invisibility , Bulletin AMS, Volume 46, 2009, pp 55-97[12] József Beck[13] 로몽의 제자인 로랑 라포르그, 응오바오쩌우는 필즈상을 받았다[14] Leonid Genrikhovich Khachiyan[15] Khachiyan, L. G. 1979. "A Polynomial Algorithm in Linear Programming". Doklady Akademii Nauk SSSR 244, 1093-1096[16] https://en.wikipedia.org/wiki/IP_(complexity)[17] https://en.wikipedia.org/wiki/PSPACE[18] Lars Håkan Eliasson[19] Eliasson, L. Hakan; Kuksin, Sergei (2010). "KAM for the nonlinear Schrödinger equation". Annals of Mathematics[20] Eliasson, L. H. (1992). "Floquet solutions for the 1-dimensional quasi-periodic Schrödinger equation".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21] Gunnar Carlsson[22] Andrei Vladlenovich Zelevinsky[23] Ravindran Kannan[24] 40세가 넘어서 필즈상을 받지는 못했지만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이 너무 중요한 업적이기에 예외적으로 특별상을 받았다[25] 사회학자 폴 라자스펠드의 아들이다.[26] Jean-Loup Waldspurger[27] Kari Astala[28] Well-posedness and scattering results for the generalized Korteweg-de Vries equation via the contraction principle. Comm. Pure Appl. Math. 46 (1993), no. 4, 527–620[29] Global well-posedness of the Benjamin-Ono equation in low-regularity spaces. J. Amer. Math. Soc. 20 (2007), no. 3, 753–798[30] Global well-posedness, scattering and blow-up for the energy-critical focusing non-linear wave equation. Acta Math. 201 (2008), no. 2, 147–212[31] Nils Jonas Dencker[32] 렌나르트 칼레손이 증명한 방법보다 더 단순화된 방법으로 증명하였다[33] 울프의 하한선은 테렌스 타오와 네츠 카츠에 의해서 개선되었다[34] 결정 공리의 확장이다[35] Evgeny Konstantinovich Sklyanin[36] Aleksandr Sergeyevich Merkurjev[37] https://en.wikipedia.org/wiki/Kawasaki%27s_theorem[38] Alain-Sol Sznitman[39] Topics in propagation of chaos,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Bd.1464, Springer 1991[40] Brownian Motion, Obstacles and Random Media, Springer 1998[41] Kalai, Gil (1992). "Upper bounds for the diameter and height of graphs of the convex polyhedra". Discrete and Computational Geometry. 8: 363–372. doi:10.1007/bf02293053[42] Kari Kaleva Vilonen[43] https://en.wikipedia.org/wiki/Satake_isomorphism[44] Mark Richard Jerrum[45] Mark Jerrum, Alistair Sinclair and Eric Vigoda, "A polynomial-time approximation algorithm for the permanent of a matrix with nonnegative entries," Journal of the ACM, 51 (4): 671–697, 2004.[46] 은하의 회전의 관한 연구와 암흑 물질의 존재 발견으로 유명한 베라 루빈의 아들이다.[47] 유리수 위의 일부 타원곡선에서 증명[48] 타이네(Thaine)정리와 콜리바긴의 오일러 시스템을 사용하여 증명[49] 허수 이차 수체에서 증명함[50] 복소 곱셈을 가진 허수 이차 수체 K 위에 정의된 타원곡선에 대해 만약 타원곡선의 L-급수가 s=1에서 영점(zero)이 아닐 경우[51] Yurii Nesterov[52] https://en.wikipedia.org/wiki/Self-concordant_function[53] Alexander Lvovich Volberg[54] Hyperbolic systems of conservation laws. The one-dimensional Cauchy problem. Oxford Lecture Series in 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s, 20.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000. xii+250 pp.[55] Vanishing viscosity solutions of nonlinear hyperbolic systems. Ann. of Math. (2) 161 (2005), no. 1, 223–342[56] Haïm Brezis and Jean-Michel Coron. Multiple solutions of H-systems and Rellich's conjecture. Comm. Pure Appl. Math. 37 (1984), no. 2, 149–187.[57] Jean-Michel Coron. Topologie et cas limite des injections de Sobolev. C. R. Acad. Sci. Paris Sér. I Math. 299 (1984), no. 7, 209–212.[58] H. Brezis and J.-M. Coron. Convergence of solutions of H-systems or how to blow bubbles. Arch. Rational Mech. Anal. 89 (1985), no. 1, 21–56.[59] Haïm Brezis, Jean-Michel Coron, and Elliott H. Lieb. Harmonic maps with defects. Comm. Math. Phys. 107 (1986), no. 4, 649–705.[60] Jean-Michel Coron. Global asymptotic stabilization for controllable systems without drift. Math. Control Signals Systems 5 (1992), no. 3, 295–312.[61] Jean-Michel Coron, Brigitte d'Andréa-Novel, and Georges Bastin. A strict Lyapunov function for boundary control of hyperbolic systems of conservation laws. IEEE Trans. Automat. Control 52 (2007), no. 1, 2–11.[62] A. Bahri and J.-M. Coron. On a nonlinear elliptic equation involving the critical Sobolev exponent: the effect of the topology of the domain. Comm. Pure Appl. Math. 41 (1988), no. 3, 253–294.[63] A. Bahri and J.-M. Coron. The scalar-curvature problem on the standard three-dimensional sphere. J. Funct. Anal. 95 (1991), no. 1, 106–172.[64] 아비 위그더슨의 업적을 소개하는 글https://horizon.kias.re.kr/17920/[65] Narendra Krishna Karmarkar[66] https://en.wikipedia.org/wiki/Interior-point_method[67] https://en.wikipedia.org/wiki/Karmarkar%27s_algorithm[68] Sergei Vladimirovich Konyagin[69] dim H K = 1 및 H 1 ( K ) <∞ 사례에서[70] 팔팅스와는 다르게 디오판틴 근사를 기반으로 팔팅스의 정리를 증명[71] Éva Tardos[72] Tardos, Éva (1985). "A strongly polynomial minimum cost circulation algorithm". Combinatorica. 5: 247–256. doi:10.1007/bf02579369[73] Jean-Lin Journé[74] Sergey Vladimirovich Fomin[75] Herbert Edelsbrunner[76] https://en.wikipedia.org/wiki/Maekawa%27s_theorem[77] John William Lott[78] 林芳華, Fanghua Lin[79] Some dynamical properties of Ginzburg-Landau vortices. Comm. Pure Appl. Math. 49 (1996), no. 4, 323–359.[80] Gradient estimates and blow-up analysis for stationary harmonic maps. Ann. of Math. (2) 149 (1999), no. 3, 785–829.[81] 아마추어 수학자임[82] 단 하나의 도형으로 비주기성 타일링이 가능한가에 대한 문제. 크레이그 S. 카플란 , 조셉 사무엘 마이어스, 샤임 굿맨-스트라우스와 함께 해결함[83] https://en.wikipedia.org/wiki/Kato%27s_conjecture[84] https://en.wikipedia.org/wiki/Spectrum_of_a_theory[85] Karl-Theodor Sturm[86] Sturm, K.-T. Analysis on local Dirichlet spaces – I. 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 456 (1994), 173–196.[87] Sturm, K.-T. Analysis on local Dirichlet spaces – II. Osaka Journal of Mathematics 32 (1995), 275–312.[88] Sturm, K.-T. Analysis on local Dirichlet spaces – III. Journal de Mathématiques Pures et Appliquées 75 (1996), 273–297.[89] Sturm, K.-T. On the geometry of metric measure spaces. Acta Mathematica 196, 1 (2006), 65–131.[90] Sturm, K.-T. On the geometry of metric measure spaces II. Acta Mathematica 196, 1 (2006), 133–177.[91] Alistair Sinclair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