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color=#191919,#dddddd>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df0000>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 역사 | 역사 전반(소말리인 귀족제) · 영국령 소말릴란드 · 소말릴란드 군정 · 소말리아 내전 | |
| 정치·사법·치안 | 정치 전반 · 소말릴란드 대통령 | |
| 외교 | 외교 전반 | |
| 경제 | 경제 전반 · 소말릴란드 실링 | |
| 국방 | 소말릴란드군 | |
| 문화 | 소말리아 · 지부티 요리 · 소말릴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 소말리어 · 아랍어 · 빌라오 | |
| 지리 | 아프리카의 뿔 · 소말릴란드(동음이의어) · 하르게이사 | |
| 인물 | 무세 비히 압디 · 압디라흐만 모하메드 압둘라히 | |
| 민족 | 소말리인 |
| 소말릴란드 의회 Baarlamaanka Somaliland البرلمان في ارض الصومال | Parliament of Somaliland | ||
| | | |
| <rowcolor=white> 원로원(상원) 문장 | 하원 문장 | |
| <colbgcolor=#006d21><colcolor=white> 유형 | 양원제 | |
| 설립 | 원로원: 1993년 하원: 1991년 | |
| 지난 하원 선거 | 2021년 5월 31일 | |
| 다음 하원 선거 | 2026년 | |
1. 개요
1. 개요
정당을 3개로 한정하는 독특한 정당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10년마다 이 3개의 정당을 공인하기 위한 '정당 공인 선택' 선거를 치른다. 이는 정당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각 씨족과 지역별로 정당이 우후죽순 난립하는 것을 막아 정치적 분열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각 씨족이 자신들의 이익만을 외치는 이기주의에서 벗어나 공인3당 내에서 대화하고 협력하도록 유도하는 제도적 장치다. 정당공인선거에는 여러 비공인정당이 참여할 수 있지만 득표수 1~3위에 드는 정당만이 공인받아 '정당'으로 활동할 수 있는데, 이때 이 1~3위 정당은 전국득표율 1~3위와 함께 전국의 6개 권역(선거구) 중 4곳 이상의 권역에서 각 20% 이상씩 득표해야 한다. 이 또한 정당들이 한 씨족이나 지역의 몰표를 받아 3위 내에 진입하여 씨족이기주의와 지역주의를 심화하는 행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의회 총선거 시 후보들은 공인3당 중 하나의 당에서 공천을 받아 꼭 특정 정당 소속으로 출마해야 하며, 대통령 선거에서는 공인3당에서 후보를 1명씩 내세워 총 3명의 대선후보가 경쟁하게 된다.
따라서 10년마다 한번씩 치르는 정당공인선거가 대통령 선거, 의회 총선거, 지방선거와 함께 매우 중요한 선거로 손꼽히고 있다. 제도권 정당이라도 정당공인선거에서 3위 이내에 들지 못하면 한순간에 비공인정당으로 굴러떨어져 정치생명이 끊길 수 있기 때문. 2023년 기준 공인3당은 대통령이 소속된 쿨미예 평화통합개발당(쿨미예당), 의회 원내 제1당인 애국당(와다니당)[1], 만년 제3당이지만 가장 오래된 정의복지당이다.
입법부는 양원제로, 하원인 '의회'와 상원인 '원로원(골라하 구르티다/Goolaha Guurtida, 이하 구르티/Guurti)'으로 구분된다. 하원인 '의회'는 전체 82석으로, 국민 직선으로 선출된 의원들로 구성하며 임기는 5년이다. 총선거는 권역별 개방명부 비례대표제로 실시되며, 전국을 6개 권역으로 나누어 정당별 득표율에 따라 의석을 배분한다. 공인된 정당이 3개밖에 없으므로 선거 참여 정당도 3개이고 무소속 출마가 허용되지 않으므로 의원 후보들은 모두 3당 중 한 곳에 소속되어 있다. 국민의 직접선거로 치른 총선은 2005년에 처음 있었는데, 여러 사회적 혼란을 수습하고 선거 절차에 관한 정치적 논쟁이 일어나면서 다음 총선을 치르지 못한 채 표류한 끝에 16년여 만인 2021년에 와서야 두 번째 총선을 실시할 수 있었다. 선거 결과 3당이 6개 권역에서 각각 고르게 당선자를 내며 의석을 배분받았다.
원로원(상원)은 하원과 똑같이 전체 82석으로, 각 씨족 대표들을 인구비례에 따라 선임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며 임기는 5년이다. 구성원 대부분은 씨족의 지도자이자 대표자인 술단Suldaan이지만, 씨족 내의 선출직이므로 술단 외의 존경받는 인물 혹은 지식인이 원로원직을 맡기도 한다. 원로원을 뜻하는 현지 명칭 '구르티'는 원로들이 특별히 모이는 회의란 뜻으로, 유래는 1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나 상설 회의는 아니었다. 현대 소말릴란드의 구르티는 1988년 바레의 학살 이후 이사크 족이 소집한 원로 회의에서 유래했다. 이후 1993년 평화 협상으로 상설화됐으며, 이사크 족뿐만 아니라 모든 씨족의 원로가 원로원에 참여하게 됐다. 원로원은 분쟁을 조정하거나 의회가 통과시킨 법안을 심사하는 일을 맡는다. 또한 원로원은 소말릴란드라는 국가의 정통성을 상징한다. 전통적으로 씨족사회였고 영국 식민지 시대에도 영국은 구 체제를 인정하는 간접적 통치를 했기 때문에 하나의 통일된 국가로서의 정통성이 부족했다. 원로원을 씨족의 대표로 채워 원로원은 소말릴란드의 씨족들을 대표하는 기관이 됨으로서 국가의 정통성을 상징하게 된 것이다
[1] 소말리어 당명 'Xisbiga Waddani'를 직역하면 '애국당'이지만, 영문명은 '소말릴란드 국민당'이어서 혼선이 생길 수 있다. 그냥 'Waddani(와다니)'당이라고 하거나, 두 단어를 합쳐 '와다니 국민당'이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