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4 08:43:02

삿포로키타IC

삿포로키타 나들목
札幌北インターチェンジ
Sapporo-kita Interchange
삿포로키타 요금소
札幌北料金所
삿포로 방면
후시코IC
← 4.2 km
E5A

삿손도

3 / 4
오타루 방면
신카와IC
2.6 km →
주소
홋카이도 삿포로시
히가시구 키타 34조 히가시 3초메 793-113 (제1요금소)
키타구 키타 34조 니시 6초메 120-65 (제2요금소)
관리기관
NEXCO 동일본 홋카이도지사
삿포로관리사무소
개통
1992년 9월 30일
접속 도로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5)] · [include(틀:일본 국도 번호,n=274)] (삿포로신도)
1. 개요2. 요금소3. 구조

1. 개요

삿손자동차도(삿손도, E5A)의 나들목이다.

나들목 번호는 입구에 제1요금소가 설치된 삿포로JCT 방향 진출입로가 3번, 입구에 제2요금소가 설치된 오타루IC 방향 진출입로가 4번이다.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명 삿포로시에 더하여 북쪽 방위명(키타)이 반영되어 명명되었다. 대표 명칭이 사용된 것은 삿포로시의 주요 남북 간선도로로 삿포로역 부근을 지나는 소세이가와도리와 간접 접속되는 나들목이기 때문이다. 다만 양 진출입로의 간격이 약 1.8 km로 매우 넓으며, 내부적으로는 제1나들목과 제2나들목으로 구분하는만큼 번호를 달리 부여하여 안내하고 있다.

1981년 삿포로신도의 일반도로부 구간이 개통되었지만, 전용부로 계획되었던 고속도로 구간의 경우 여러 문제로 인하여 제대로 공사되지 못했고, 한참 뒤인 1992년 9월 30일 삿포로 도심구간의 삿손자동차도가 완성되면서 이 때 같이 개통된 나들목이다. 양방향 모두 연결되는 나들목으로, 도시계획도로 정비사업의 일부로 정비가 진행되면서 도시고속도로에 흔한 진출입 램프형 나들목으로 설계되었다.

접속되는 도로의 경우, 양방향 출입구 모두 도시계획도로 삿포로신도 구간과 접속된다. 이 때, 삿포로JCT 방향 제1나들목의 서류상 노선은 삿포로신도 구간 중 274번 국도 구간이며, 오타루IC 방향 제2나들목의 서류상 노선은 삿포로신도 구간 중 5번 국도 구간이다. 제1나들목의 외부 접속부는 삿포로시도 히가시 3초메선(히가시 3초메도리)과 교차(평면, 사거리)하는 지점이며, 제2나들목의 외부 접속부는 삿포로시도 5초메선(니시 5초메-타루카와도리) 및 신코토니 2번선과 교차(평면, 오거리)하는 지점이다. 양방향 출입구 중간 부근에 소세이가와도리와의 교차로가 있으며, 이 교차로에서 231번 국도(소세이가와도리 이시카리 방향)와 274번 국도(삿포로신도 삿포로미나미IC 방향)의 기점이 설정되어 있으며, 5번 국도는 삿포로신도 ↔ 소세이가와도리 방향으로 이어지게 된다.

2. 요금소

삿손도
본선
오타루
방향
외부
접속
<bgcolor=#666,#666>
<nopad> 3 <colbgcolor=#666,#666><colcolor=#fff,#fff><bgcolor=#6ad,#6ad> ETC 전용 》》 <colbgcolor=#666,#666><colcolor=#fff,#fff> 삿손도
본선
삿포로
방향
<nopad> 2 <nopad> 🚫 잠정 폐쇄
<nopad> 1 <nopad> ETC / 일반 》》
◀ 삿손자동차도 본선 ▶
<colbgcolor=#666,#666><colcolor=#fff,#fff> <colbgcolor=#666,#666><colcolor=#fff,#fff> 1 <colbgcolor=#666,#666><colcolor=#fff,#fff> 《《 ETC / 일반 <colbgcolor=#666,#666><colcolor=#fff,#fff>
도로
<bgcolor=#666,#666> 2 <nopad> 《《 ETC 전용
파일:투명.png
[[ETC 시스템/일본|
ETC
#!if v == "2.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left: 1px; padding-right: 2px; font-weight: bold; background: white; color: #6a65a3; font-size: .8em;"
''2.0''}}}
]]는 일반 전용 차로에서는 이용 불가능하다.
삿포로 방향이 제1요금소, 오타루 방향이 제2요금소다.

3.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