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걸그룹}}}에 대한 내용은 [[립서비스(걸그룹)]]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립서비스(걸그룹)#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립서비스(걸그룹)#|]]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립서비스(드라마)]]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립서비스(드라마)#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립서비스(드라마)#|]]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걸그룹: }}}[[립서비스(걸그룹)]]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립서비스(걸그룹)#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립서비스(걸그룹)#|]]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드라마: }}}[[립서비스(드라마)]]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립서비스(드라마)#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립서비스(드라마)#|]]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
Lip Service주로 'pay lip service to -'처럼 쓰이며, 행동 없이 말뿐인 지지, 동의라는 뜻의 영어 숙어.
정치인, 위선자들을 비판하기 위해 자주 쓰이는 말로, 입으로는 물신양면 도와드리지요, 최대한 조율해보겠습니다, 힘 닿는 곳까지 노력해보겠습니다라는 등의 상대방에게 어느 정도 위안을 주는 듯한 말은 하면서도 정작 실제 행동은 하지 못하거나 아예 하지않고 말로만 그쳐버리는 행위나 사람을 가리키는 용어.
대개 사람들 중에는 상대방에게 "이렇게 하겠다, 도와주겠다"는 말은 잘하면서도 정작 그에 따른 실천이나 행동을 아예 하지 않거나 잊어버려서 못하였던 경우가 생긴다. 그래서 이러한 사람이나 행동을 보고 립서비스에 그쳤다라고 하는 것이다. 즉, 구두 약속을 이행하지 않는 사람의 이중성을 비판하기 위한 부정적인 용도로 많이 쓰인다.
2. 성적인 용법
립서비스라고 하면 service라는 용어가 성적인 용어로 쓰이는 만큼, 당연히 그 의미도 가지고 있다. 주로 쓰이는 용도는 커닐링구스 문서 참조.3. 한국식 용법
한국에서 립서비스라고 하면 "상대를 기분 좋게 할 목적으로 쓰는 완곡표현.", "실속 없이 말로 겉만 꾸미는 일을 가리키는 단어." 정도의 뜻을 나타낸다. 그나마도 보통 대부분의 완곡어법들은 어느 정도 실제 뜻을 유추할 수 있는 표현들이지만, 이 립서비스는 사실상 선의의 거짓말을 다르게 표현한 것이라고 봐도 된다. 상대방이 원하는 걸 들어주고 싶지 않지만 확실히 거절 의사를 밝혔다가 상대방에게 반감을 사긴 또 싫으므로 말로만 동의를 표하고 실제 이행하지는 않는 것이다.사람에 따라 오히려 어느 정도의 립서비스를 옹호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의 눈치문화가 이러한 빈말과 아첨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게 하기도 한다. 다만 세대나 성별, 종교, 직업 등 한국 사회 내부에서도 계층에 따라 립서비스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측면이 있는가 하면, 오히려 솔직한 평가를 기대하며 무작정 높게 평가하는 아첨을 싫어하는 사람도 존재하니 상대방과 상황에 따라서 어떠한 대처가 좋을지 고민해야 한다. 나쁘게 보자면 말만 번지르르한 것이지만, 립서비스를 제대로 못하면 아무리 실무가 능하고 일을 잘 한다고 해도, 사내 정치판에서 쉬이 평판이 나빠지거나 좋은 평가를 받기 힘들다. 처세술과 여러모로 겹치는 점이 많다.
일본어로는 아첨, 빈말이라는 뜻을 가진 お[ruby(世辞, ruby=せじ)](오세지)가 한국의 '립서비스'와 비슷하게 쓰인다.
항상 이런 표현들 자체가 서양권에서와 쓰임이 다르기 때문에, 콩글리시라고 하면 서양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오해를 하기도 하는데, 사실 서양에서 원본이 존재하며 한국으로 넘어와서 쓰임새가 다른 경우에 해당한다. 즉, 서양에서의 용법대로 '립서비스'를 행동 없이 입으로만, 형식적으로만 지지한다는 뜻으로 쓰면 콩글리시가 아니지만, 한국에서 '아부, 아첨' 등을 목적으로 상대방의 기분을 좋게 하려고 하는 비위를 맞추는 행위를 의미하는 '립서비스'라는 용법은 콩글리시가 맞다.
3.1. 사탕발림, 입발림
위의 '립서비스'의 한국식 용법과 비슷한 뜻을 가진 단어로 '사탕발림'이 있다. 사전적 정의로는 "달콤한 말(=사탕)로 남의 비위를 맞추어 살살 달래는 일. 또는 그런 말." 실체없이 입놀림으로만 해결한다는 점에서 거의 같은 의미이지만 '살살 달랜다'는 부분에 함께 방점이 찍혀 있는 단어이다.'입발림'은 보통 '입에 발린 소리'라고 하기도 하는데, 역시 '사탕발림'과 같이 듣기 좋은 말만 한다는 뜻이다. 다만 비슷한 발음인 '입바른'말은 오히려 듣기 싫지만 바른 말을 한다는 뜻으로 쓰이므로 전혀 반대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입빠른'이라는 말은 '입이 가볍다' 즉, 쉽게 소문을 내는 사람을 의미하기도 한다.
'사탕발림'에 대응하는 영어 표현은 sugarcoat(sugar-coat, sugar coat)로 sugar이 사탕, coat가 발림에 대응하여 비슷한 의미로 쓰이지만, 구체적인 용례는 살짝 다르다. 사탕발림은 주로 상대를 속이기 위해 단점이나 약점 등을 숨기고 장점만 취하는 달콤한 말, 기망하는 언사를 의미하지만, sugarcoat는 상대방의 기분을 해치지 않게 부정적이거나 불편한 부분을 최대한 감싸고 돌려 말하는, 일종의 완곡어법에 해당한다. 즉, 어원이나 하는 행동으로 보자면 비슷하지만 목적이 다르다. 한국어로 따지면 '미화하다'에 가까운 단어이다.
4. 왜 이런 표현법을 구사하는가?
언뜻 보면 어찌됐든 상대방을 속이는 행위이기 때문에 당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불쾌하고 빈정 상할 수 있는 말이지만, 사실 대한민국 사회 자체가 구시대적 유교 문화의 영향으로 타인의 부탁이나 요청을 거절하는 것 자체를 부도덕하다고 여기며 부담스러워하고 꺼리는 풍조가 만연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거절 의사를 명확히 표현하지 못하고 형식적으로라도 수락할 수밖에 없다는 식의 문화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다.사람은 누구나 타인에게 좋은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은 심리를 가지기 마련이며, 이 역시 스스럼이 없는 관계 가운데 솔직하게 바른말을 하기를 꺼리는 경향을 가지는 데 일조했다고 볼 수 있다. 어차피 친한 사람도 아닌 이상 립서비스의 객체인 그 상대방의 입장은 전혀 알 바가 아니므로.
거절당한 사람 입장에서도 마냥 상대방이 거짓말을 했다고 불쾌해할 것이 아니라 한 번쯤 자신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 즉 상대방이 립서비스로 대응하는 상황을 최대한 피하려면, 자신이 상대방에게 무리한 부탁을 하여 상대방이 부탁을 들어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 것은 아닌지, 혹은 자신이 사람으로서의 매력이 없어 조직 내에서 암암리에 반감을 사고 있는 것은 아닌지 스스로를 돌아보고 자아성찰을 면밀히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