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3 20:59:57

브루어리



1. 개요2. 법적 분류 및 규제3. 유명 브루어리
3.1. 국내3.2. 해외

1. 개요

브루어리(Brewery)는 맥주를 제조하는 양조장을 뜻하며 일반적으로는 수제맥주 양조장을 중심으로 소규모 생산 설비와 판매 공간이 결합된 형태를 말한다. 한국에서는 단순한 제조공장을 넘어서 하나의 복합 문화공간으로 발전하고 있다. 수제 맥주 양조장 순회하며 즐기는 여행 '브루어리투어'가 유행하고 있을 정도.

2. 법적 분류 및 규제

한국에서는 주세법상 제조 면허가 필요하고 규모에 따라 소규모 양조장으로 분류됨. 과거엔 규제가 까다로워 시장 진입 장벽이 높았으나 2014년 주세법 개정 이후 소규모 브루어리 창업이 급증.

3. 유명 브루어리

3.1. 국내


2020년대 이후 국내 수제맥주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전국 곳곳에 개성 있는 브루어리들이 생겨났다. 초기에는 서울 중심의 도심형 브루어리가 주도했지만 최근에는 지역 기반 브루어리들도 꾸준히 성장하며 로컬 맥주+관광 콘텐츠로 결합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 어메이징 브루잉 컴퍼니 (서울 성수동)
    서울 도심 크래프트 맥주 붐을 이끈 대표 주자. 성수 본점을 시작으로 잠실, 송도 등 직영 펍도 운영 중이다. 생산 규모가 상당히 큰 편인데 2022년 이천 제2브루어리 설립으로 연간 최대 650만  리터, 향후 900만 리터까지 확장 예정이다. 브루어리 안에 레스토랑과 음악공연이 가능한 공간을 함께 운영한다. 대표 맥주는 성수동 페일에일, 진라거, 첫사랑 IPA.
  • 세븐브로이 (서울 기반, 양평/김포 공장)
    국내 최초 수제맥주 대형화 성공 사례 중 하나. ‘강서맥주’로 대중 인지도를 확보했으며, 대형 유통망 납품 중심의 전략으로 주류시장에 안착했다. 양평 공장에 발효 탱크 14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총 용량은 120키로리터이다(월 최대 약 45만 병 생산). ‘말표','광동 제주백년초 맥주’ 등 다양한 협업 제품도 생산 중이다. 대표 맥주는 강서맥주, 곰표 (현 대표)밀맥주.
  • 버드나무 브루어리 (강릉)
    강릉 커피거리 인근에 위치한 지역 기반 브루어리. 소규모 탭룸 중심이며 정부 공식 생산 규모는 명시되지 않았고 지역 특화 수제펍 수준으로 운영 중이다. 강릉 지역 농산물(쌀, 국화, 솔잎, 오죽 등)을 활용한 로컬 맥주가 유명하며 대표 맥주는 미노리 세션, 즈므 블랑, 하슬라 IPA, 백일홍 레드 에일.
  • 맥파이 브루잉 컴퍼니 (용산, 을지로, 제주)

    • 미국인 창업자가 제주에 정착해 만든 수제맥주 브랜드로 관광지 감성에 어울리는 라이트하고 상쾌한 스타일의 맥주를 주로 생산한다. 자체 양조 시설 보유하고 있고 캔 제품을 전국으로 유통하고 있다. 대표 맥주는 맥파이 페일에일, 맥파이 포터.
  • 플레이그라운드 브루어리 (일산, 송도)

    • 지역 기반 브루어리 중에서는 생산량이 상당한 편. 한국의 전통 가면‘하회탈’을 모티프로 로고를 제작하여 지역 정체성을 강조했다. 대표 맥주는 젠틀맨 라거, 조커 페일 에일, 흑백 임페리얼 스타우트.

3.2. 해외

한국에서 자주 소비되는 수입 맥주 브랜드들 대부분은 실제로는 특정 브루어리(제조사)의 제품이다. 글로벌 맥주 유통이 대기업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브랜드명은 알려져 있어도 제조사인 브루어리의 이름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경우가 많다.
  • 하이네켄 (Heineken N.V / 네덜란드)
    세계 2위 규모의 맥주 제조사로, 본사는 암스테르담에 있다. 한국에서는 하이네켄 오리지널을 중심으로 유통되며 대부분의 대형 마트·편의점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계열 브랜드로는 아뮤스 부슈, 데스페라도스, 아팔타멘트, 타이거 등이 있다. 대표 맥주는 하이네켄 오리지널, 하이네켄 0.0(무알콜).
  • 기린 맥주 (Kirin Brewery / 일본)
    일본 4대 맥주사 중 하나로‘이치방 시보리’시리즈로 한국 시장에서 높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한국 내 유통은 롯데칠성음료계열에서 담당하며, 이자카야나 편의점 중심으로 판매된다. 대표 맥주는 기린 이치방 시보리, 기린 라거, 기린 그린라벨.
  • 삿포로 맥주 (Sapporo Breweries / 일본)
    삿포로 블랙라벨로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탄산감과 드라이한 스타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현재는 에비스, 삿포로 클래식 등도 병행 수입되고 있으며, 한국 내 일식 주점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대표 맥주는 삿포로 블랙라벨, 삿포로 클래식.
  • 브루독 (BrewDog / 영국 스코틀랜드)
    펑크 감성으로 세계적인 인지도를 얻은 영국 브루어리. 잠시 한국에도 직영 펍을 운영했었다. 현재 일부 제품은 수입되어 편의점에서 판매되고 있다. 대표 맥주는 펑크 IPA, 엘비스 주스, 데드 포니 클럽.
  • 브루클린 브루어리 (Brooklyn Brewery / 미국)
    뉴욕 브루클린 지역의 대표 수제맥주 브루어리. 프리미엄 수입 맥주 시장에서 주목받으며 편의점 캔맥주 라인업에도 등장했다. 국내에선 OB맥주가 유통을 맡고 있다. 대표 맥주는 브루클린 라거, 이스트 IPA, 브루클린 디펜더.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