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9 17:20:11

보이즈 II 플래닛/9회



[[보이즈 II 플래닛|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보이즈 II 플래닛 로고.png
||<color=#cdc8df,#cdc8df>
보이즈 II 플래닛
BOYS II PLANET
||
]]

[ 방영 목록 ]
||<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 [[보이즈 II 플래닛/1회(K)|
K
1회]] ||<width=16.66%><nopad> [[보이즈 II 플래닛/2회(K)|
K
2회]] ||<width=16.66%><|2> 3회 ||<width=16.66%><|2> 4회 ||<width=16.66%><|2> 5회 ||<width=16.66%><|2> 6회 ||
[[보이즈 II 플래닛/1회(C)|
C
1회]]
[[보이즈 II 플래닛/2회(C)|
C
2회]]
7회 8회 9회 10회 11회
[ 참가자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ddd,#383c40><width=1000><bgcolor=#000>
파일:ALPHA DRIVE ONE 로고.png
||
김건우 · 김준서 · 이리오 · 이상원 · 장지아하오 · 정상현 · 조우안신 · 허씬롱
<#5565f6,#5565f6> K그룹 <#e44f68,#e44f68> C그룹
최종회 데뷔조 탈락자
7명
1명
강우진 · 김준민 · 박동규 · 유강민 · 유메키 · 전이정 · 최립우 천카이원
3차 생존자 발표식 탈락자
5명
3명
나윤서 · 마사토 · 박준일 · 쉬칭위 · 장한음 리즈하오 · 쑨헝위 · 후한원
2차 생존자 발표식 탈락자
13명
11명
김동윤 · 김시환 · 김인후 · 김재현 · 김태조 · 서원 · 아틱 · 염예찬 · 윤민 · 정현준 · 조계현 · 타츠키 · 한해리준 니안보행 · 당홍하이 · · 쉬에수런 · 쑨지아양 · 이첸 · 자오광쉬 · 천보원 · 판저이 · 펑진위 · 허중싱
1차 생존자 발표식 탈락자
22명
10명
김다니엘 · 김동현A · 김동현B · 김영준 · 김현서 · 노휘준 · 렌쇼 · 리온 · 문원준 · 방준혁 · 송민재 · 쇼우 · 아오시 · 앤드류 · 양다윗 · 양희찬 · 오준호 · 유센 · 이동헌 · 이승백 · 장태윤 · 함현서 궈쩐 · 동징쿤 · 비엔스위 · 장슌위 · 지앙판 · 커밍지에 · 크리센 양 · 타이가 · 홍쯔하오 · 홍쯔한
1차 경연 이전 탈락자
28명
46명
권규형 · 김민준 · 김원빈 · 김현빈 · 라이언 · 문선빈 · 박누리 · 박준성 · 박지민 · 방수환 · 백제현 · · 쇼야 · 신재하 · 유기원 · 이원우 · 이윤찬 · 이협 · 저스틴 · 조명수 · 최준석 · 켄시로 · 크리스 · 타나톤 · 타이치 · 토모야 · 허지오 · 황선우 덩지아쥔 · 동쯔치 · 룽궈하오 · 리샤오디 · 리정언 · 린신루이 · 린칭언 · 마타오 · 상린 · 쉬안하오 · 시에빙화 · 시에위신 · 시에지아후이 · 쑨한린 · 안차우윗 · 양지아펑 · 영육힘 · 왕동이 · 왕성린 · 왕식헤이 · 왕종쯔 · 왕찬루어 · 웡웨이둥 · 위안웨이 · 임잭 · 장스이 · 장위시 · 장이화 · 정런위 · 정쿤 · 조우옌허 · 조우정 · 지아한위 · 쩡상쉬안 · 차이진신 · 챠오관전 · 천리치 · 천즈슈어 · 천진신 · 천차오위 · 치린 · 크리스티안 · 피닉스 · 한루이저 · 허준진 · 황신유
하차한 참가자
루어진웨이 · 린츄난 · 위안페이이 · 천위치 · 한지앙위 · 허지아하오
문서 있음 문서 없음
[ 음반 목록 ]
||<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width=1000><nopad> 파일:올라 (HOLA SOLAR).jpg ||<width=33.3%><nopad> 파일:BOYS II PLANET - DEBUT CONCEPT BATTLE.jpg ||<width=33.3%><nopad> 파일:BOYS II PLANET - FINAL DEBUT BATTLE.jpg ||
[[올라 (HOLA SOLAR)|
올라 (HOLA SOLAR)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1d182f" dark-style="border-color: #cdc8df"
[[보이즈 II 플래닛/음반#DEBUT CONCEPT BATTLE|
DEBUT CONCEPT BATTLE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1d182f" dark-style="border-color: #cdc8df"
[[보이즈 II 플래닛/음반#FINAL DEBUT BATTLE|
FINAL DEBUT BATTLE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1d182f" dark-style="border-color: #cdc8df"
[ 관련 문서 ]
||<tablebgcolor=#fff,#1c1d1f><width=1000> 참가자 ||<width=25%> 순위표 ||<width=25%> 음원 목록 ||<width=25%> 음반 목록 ||
참가자 케미 명언 및 명장면 비판 및 논란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갤러리
플래닛 C : 홈 레이스 ALPHA DRIVE ONE

1. 개요2. SEMI-FINAL : 데뷔 콘셉트 배틀
2.1. 그룹 재조정 결과
2.1.1. 그룹 재조정 과정
2.2. 각 팀별 포지션 및 결과2.3. 3차 미션 결과
2.3.1. 개인 득표 순위
2.4. 스페셜 베네핏
3. 4차 글로벌 투표 중간 집계 순위 공개4. 여담5. 합격/방출 예상 명단
5.1. 합격자 예상 명단5.2. 합격과 방출을 가리기 힘든 명단5.3. 방출자 예상 명단

1. 개요

파일:보이즈 II 플래닛 로고.png

Ep.9 MAX THE POWER

2025년 9월 11일에 방영된 보이즈 II 플래닛 9회에 관한 문서.

==# 예고편 #==
<keepall> 남은 인원들의 숨 막히는 파트 재조정
<keepall> '우리도 너에게 최선을 다했거든' 끝까지 살아남기 위한 샛별들의 전쟁

2. SEMI-FINAL : 데뷔 콘셉트 배틀

데뷔 콘셉트 배틀 - RULE
  • 데뷔 콘셉트 배틀은 보이즈 II 플래닛만의 오리지널 신곡으로 경연을 진행한다.
  • 참가자들은 안무 창작, 무대 연출, 프로듀싱에 참여하여 신곡 무대를 준비한다.
  • 베네핏:
    • 데뷔 콘셉트 배틀에서 1위를 한 팀은 15만점의 베네핏 점수를 획득한다.
    • 1등 팀 중 개인 점수가 가장 높은 1위 참가자에게는 베네핏 15만점이 추가로 부여된다.
    • 9월 12일 9시 기준[1] 지니뮤직 TOP 200 / 멜론 TOP 100 차트 기반 100위 내 진입 시 추가 베네핏이 부여된다. 가장 높게 진입된 곡 팀은 최대 20만점의 베네핏 점수를 획득한다.
    • 데뷔 콘셉트 배틀에서 1위를 한 팀은 베네핏 점수와 더불어 엠 카운트다운 무대 및 오프라인 팬미팅 혜택을 추가로 얻게 된다.
  • 각 참가자가 경연하는 곡은 스타 크리에이터의 매칭 투표를 통해 결정된다.
  • 1차 순위 발표식 생존자 48인을 기준으로 곡을 매칭한 뒤 사전 경연 준비를 하고, 2차 순위 발표식의 생존자가 결정된 이후 팀원 재분배를 통해 참가자의 곡이 확정된다. ||

2.1. 그룹 재조정 결과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1d182f,#1d182f><rowbgcolor=#1d182f,#1d182f><rowcolor=#cdc8df,#cdc8df> ||<width=7%> 참가자 평균 순위[8회] || 참가자 ||
Lucky MACHO 16.17위 4 허씬롱, 11 김준민, 13 박준일, 22 유메키, 23 후한원, 24 박동규
Chains 7.33위 1 이상원, 2 조우안신, 3 이리오, 7 김건우, 12 전이정, 19 장지아하오
Sugar HIGH 12.50위 6 정상현, 9 마사토, 10 최립우, 14 장한음, 16 강우진, 20 나윤서
MAIN DISH 14.00위 5 김준서, 8 유강민, 15 쑨헝위, 17 리즈하오, 18 천카이원, 21 쉬칭위

2.1.1. 그룹 재조정 과정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1d182f,#1d182f><rowbgcolor=#1d182f,#1d182f><rowcolor=#cdc8df,#cdc8df> || 참가자 / 순위[8회] || 정원 ||
Lucky MACHO 4 허씬롱, 11 김준민, 22 유메키, 23 후한원, 24 박동규 5명
Chains 1 이상원, 2 조우안신, 3 이리오, 5 김준서, 7 김건우, 8 유강민, 12 전이정, 13 박준일, 15 쑨헝위, 18 천카이원, 19 장지아하오 11명
Sugar HIGH 6 정상현, 9 마사토, 10 최립우, 14 장한음, 16 강우진, 20 나윤서, 21 쉬칭위 7명
MAIN DISH 17 리즈하오 1명
<rowcolor=#cdc8df,#cdc8df> 팀원 영입 필요한 팀 지원자 / 재조정 전 소속 팀
<rowcolor=#cdc8df,#cdc8df> 합류 참가자 불발 참가자
Lucky MACHO
(1명)
4명 13 박준일(Chains) 18 천카이원(Chains), 20 나윤서(SugarHIGH), 21 쉬칭위(SugarHIGH)
MAIN DISH
(5명)
2명[부족] 15 쑨헝위(Chains), 18 천카이원(Chains)
<rowcolor=#cdc8df,#cdc8df> 팀원 방출 필요한 팀 잔류 참가자 방출 참가자[5]
Chains
(2명)
1 이상원, 2 조우안신, 3 이리오, 7 김건우, 12 전이정, 19 장지아하오 5 김준서, 8 유강민
Sugar HIGH
(1명)
6 정상현, 9 마사토, 10 최립우, 14 장한음, 16 강우진, 20 나윤서 21 쉬칭위

2.2. 각 팀별 포지션 및 결과

  • 각 팀의 리더: L / 킬링파트:

2.2.1. Lucky MACHO

Hybrid Dance Hip-Hop Lucky MACHO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1d182f,#1d182f><colbgcolor=#1d182f,#1d182f><colcolor=#cdc8df,#cdc8df> 팀명 ||<-6><color=#fff,#fff><#5977bd,#5977bd> 777 (Triple 7) ||
파트 메인보컬 서브보컬1 서브보컬2 메인래퍼 서브래퍼1 서브래퍼2
참가자 파일:박동규 보플2 크롭.png
박동규 L
파일:박준일 보플2 크롭.png
박준일
파일:후한원 보플2 크롭.png
후한원
파일:허씬롱 보플2 크롭.png
허씬롱
파일:유메키 보플2 크롭.png
유메키
파일:김준민 보플2 크롭.png
김준민
득표수 1730
(2위)
960
(6위)
1500
(4위)
1210
(5위)
1520
(3위)
1850
(1위)
팀 득표 / 순위 670표 (2위)

2.2.2. Sugar HIGH

Hybrid Pop Sugar HIGH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1d182f,#1d182f><colbgcolor=#1d182f,#1d182f><colcolor=#cdc8df,#cdc8df> 팀명 ||<-6><color=#fff,#fff><#d0a155,#d0a155> 냥냥줍줍 ||
파트 메인보컬 서브보컬1 서브보컬2 서브보컬3 메인래퍼 서브래퍼
참가자 파일:장한음 보플2 크롭.png
장한음 L
파일:강우진 보플2 크롭.png
강우진
파일:최립우 보플2 크롭.png
최립우
파일:나윤서 보플2 크롭.png
나윤서
파일:정상현 보플2 크롭.png
정상현
파일:마사토 보플2 크롭.png
마사토
득표수 1680
(1위)
1510
(4위)
1540
(3위)
1180
(6위)
1630
(2위)
1360
(5위)
팀 득표 / 순위 540표 (3위)

2.2.3. MAIN DISH

Rock Hip-Hop MAIN DISH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1d182f,#1d182f><colbgcolor=#1d182f,#1d182f><colcolor=#cdc8df,#cdc8df> 팀명 ||<-6><color=#fff,#fff><#3c8a96,#3c8a96> MAIN CHEF (메인 셰프) ||
파트 메인보컬 서브보컬1 서브보컬2 메인래퍼 서브래퍼1 서브래퍼2
참가자 파일:쑨헝위 보플2 크롭.png
쑨헝위
파일:김준서 보플2 크롭.png
김준서
파일:유강민 보플2 크롭.png
유강민
파일:리즈하오 보플2 크롭.png
리즈하오 L
파일:천카이원 보플2 크롭.png
천카이원
파일:쉬칭위 보플2 크롭.png
쉬칭위
득표수 1370
(4위)
790
(6위)
1930
(1위)
1440
(3위)
1880
(2위)
1350
(5위)
팀 득표 / 순위 440표 (4위)

2.2.4. Chains

Midnight R&B Pop Chains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1d182f,#1d182f><colbgcolor=#1d182f,#1d182f><colcolor=#cdc8df,#cdc8df> 팀명 ||<-6><color=#fff,#fff><#c1303e,#c1303e> Love is ||
파트 메인보컬 서브보컬1 서브보컬2 서브보컬3 메인래퍼 서브래퍼
참가자 파일:이리오 보플2 크롭.png
이리오
파일:조우안신 보플2 크롭.png
조우안신
파일:김건우 보플2 크롭.png
김건우
파일:장지아하오 보플2 크롭.png
장지아하오
파일:전이정 보플2 크롭.png
전이정 L
파일:이상원 보플2 크롭.png
이상원
득표수 1140
(6위)
1310
(4위)
1670
(2위)
1430
(3위)
1210
(5위)
1820
(1위)
팀 득표 / 순위 1110표 (1위)

2.3. 3차 미션 결과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1d182f,#1d182f><rowbgcolor=#1d182f,#1d182f><rowcolor=#cdc8df,#cdc8df><width=25%> 경연 곡 || 팀 점수 || 순위 || 비고 ||
<colcolor=#fff,#fff> Lucky MACHO 670점 2위
Chains 1110점 1위 베네핏 15만점 획득[6]
Sugar HIGH 540점 3위
MAIN DISH 440점 4위

  • 베네핏 30만점 획득 참가자 (팀 배틀 1위 + 팀 내 개인 점수 1위)
    • Chains: 이상원
  • 베네핏 15만점 획득 참가자 (팀 배틀 1위)
    • Chains: 조우안신, 이리오, 김건우, 전이정, 장지아하오

2.3.1. 개인 득표 순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rowcolor=#cdc8df,#cdc8df> 1위 2위 3위 4위
유강민
1930점
MAIN DISH
천카이원
1880점
MAIN DISH
김준민
1850점
Lucky MACHO
이상원
1820점
Chains
<rowcolor=#cdc8df,#cdc8df> 5위 6위 7위 8위
박동규
1730점
Lucky MACHO
장한음
1680점
Sugar HIGH
김건우
1670점
Chains
정상현
1630점
Sugar HIGH
<rowcolor=#cdc8df,#cdc8df> 9위 10위 11위 12위
최립우
1540점
Sugar HIGH
유메키
1520점
Lucky MACHO
강우진
1510점
Sugar HIGH
후한원
1500점
Lucky MACHO
<rowcolor=#cdc8df,#cdc8df> 13위 14위 15위 16위
리즈하오
1440점
MAIN DISH
장지아하오
1430점
Chains
쑨헝위
1370점
MAIN DISH
마사토
1360점
Sugar HIGH
<rowcolor=#cdc8df,#cdc8df> 17위 18위 19위
쉬칭위
1350점
MAIN DISH
조우안신
1310점
Chains
전이정
1210점
Chains
허씬롱
1210점
Lucky MACHO
<rowcolor=#cdc8df,#cdc8df> 21위 22위 23위 24위
나윤서
1180점
Sugar HIGH
이리오
1140점
Chains
박준일
960점
Lucky MACHO
김준서
790점
MAIN DISH
}}}}}}}}} ||

2.4. 스페셜 베네핏

  • 각 포지션 별 1등 팀 중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한 'Chains'팀이 베네핏을 획득하였다. 베네핏 특전으로 9월 18일 엠 카운트다운 무대가 공개되었으며, 엠 카운트다운 녹화 이후 단독 오프라인 팬미팅이 진행되었다.
<keepall> Love is 'Chains'
엠 카운트다운 SPECIAL STAG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직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개인 직캠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장지아하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이리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김건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이상원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전이정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조우안신
단체 직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엠 카운트다운 & 팬미팅 비하인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묶여, 감겨, 느껴...⛓️〈Chains〉 'Love Is' 팀의 팬미팅 비하인드'
}}}}}}}}}

3. 4차 글로벌 투표 중간 집계 순위 공개

파일:보이즈 II 플래닛 로고 워드마크.svg
4차 글로벌 투표 중간 순위 현황
9월 8일 기준 3차 순위 발표식 탈락권 3인
<rowcolor=#fff,#fff> 17위 18위 19위
파일:유메키 보플2 크롭.png
유메키
파일:천카이원 보플2 크롭.png
천카이원
파일:리즈하오 보플2 크롭.png
리즈하오
파일:보이즈 II 플래닛 로고 워드마크.svg
4차 글로벌 투표 중간 집계 현황
9월 11일 기준 최후의 생존자 후보 2인

(현장 투표 베네핏 포함)
<rowcolor=#fff,#fff> 16위 17위
파일:김준민 보플2 크롭.png
김준민
파일:정상현 보플2 크롭.png
정상현

4. 여담

  • 보이즈 II 플래닛의 경우 12회차로 구성된 이전 시리즈들과 달리 최종회가 11회로 정해졌다. 이에 3차 경연 준비 과정과 무대를 9회~10회 두 회차에 걸쳐서 공개한 기존[7]과 달리 3차 경연 준비 과정과 무대를 9회에 몰아서 공개하게 되었다.[8] 전작에서 아티스트 배틀 무대 5개를 2개 회차로 쪼개서 비판을 받은 적이 있기에 이러한 공개 방식은 더욱 공정한 방식이며, 기존의 방식으로 잘 회귀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무대가 공개되는 9회 방영 후 바로 다음날 투표가 종료된다는 것이 문제다.[9]
  • 이 회차부터는 계급이 아무런 의미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2차 발표식 생존자 전원이 다시금 올스타로 격상되어 올라간 결과이기 때문.
  • 3차 발표식에서 투표로 16명이 생존한다. 단, 이전의 생존자 발표식과 달리 16위 생존자 라이브 투표 없이 생존자가 결정되었다.
  • 3차 발표식에서 유메키가 탈락하게 될 경우, 데뷔조가 어떻게 나오든 엠넷 프로젝트 그룹 서바이벌 최초로 멤버 전원이 2000년대생인 프로젝트 그룹이 탄생하게 된다. 또한 후한원까지 탈락하게 될 경우, 엠넷 프로젝트 그룹 서바이벌 최초로 멤버 전원이 21세기 출생인 프로젝트 그룹이 탄생하게 된다.[10]
  • 김건우는 1~2차 경연에 이어 3차 경연에서도 팀이 1위를 차지하며 모든 경연에서 베네핏을 획득한 것은 물론 참가자들 중 엠 카운트다운 최다 출연을 기록했다.
  • Chains가 현장 평가 1위를 차지하면서 엠넷 프로젝트 보이그룹 서바이벌은 3차 경연에서 섹시 콘셉트의 곡이 1위를 차지한다는 공식이 이번 시즌에서도 이어지게 되었다.

5. 합격/방출 예상 명단

  • 연습생들은 속한 그룹 기준으로 서술했으며 연습생 이름 앞 넘버링은 3차 순위 발표식이 공개되기 전 마지막으로 전원 발표된 8회의 2차 순위 발표식 순위다. 방출자 발표 후에도 기록 보존 차원에서 아래 내용은 수정하지 말기 바람.

5.1. 합격자 예상 명단

K그룹
1
이상원: 글로벌 투표 첫 주차부터 K/C 통합 이후에도 꾸준히 1위를 유지해왔으며, 타 참가자들에 비해 지지도가 압도적으로 높은 상황이라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이대로 계속해서 1위를 차지하여 전작의 성한빈이 이루지 못했던 와이어 투 와이어를 달성할 가능성도 있다. 거기다 팀 배틀 1위 + 팀 내 개인 점수 1위 + 스트리밍 점수 1위를 차지해 총 베네핏 313,000만점을 획득하여 압도적으로 1위를 기록할 가능성이 제일 높다. 다만 9화에서 킬링파트 관련 행적으로 인해 일부 국내 시청자들에게 비판을 받고 있기는 하나, 방영 다음 날 투표가 종료되는 것은 물론 파이널 투표는 원픽 투표이므로 순위 유지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3
이리오: 1, 2차 발표식에서 TOP 8에 안착했다. 특히 2차 순위 발표식에서는 베네핏 획득에 완전히 실패했음에도 오히려 순위가 올랐을 정도로 코어 팬층도 강한 것은 물론, 3차 경연에서 팀이 현장 평가 1위 + 스트리밍 점수 1위를 차지하면서 총 베네핏 163,000만점을 얻었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는 이상 3차 생존자 발표식에서도 TOP 8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것으로 보인다.

5
김준서: 1, 2차 발표식에서 TOP 8을 차지했다. 허나, 7~8회에서의 행적으로 인해 비판을 받고 있기에 TOP 8 밖으로 밀려날 가능성이 높다.

7
김건우: 1차 발표식에서 16위를 기록했다가 2차 발표식에서 7위를 기록하며 TOP 8에 재입성했으며, 순위가 9계단이나 상승했다. 국내 투표 수로만 비교하면 전체 4위지만, 해외 투표 수의 경우 전체 9위로 살짝 저조한 편이다. 그래도 Chains 팀이 현장 평가 1위 + 스트리밍 점수 1위를 차치하여 총 베네핏 163,000만점을 획득해 TOP 8 잔류에는 긍정적인 편이다.

8
유강민: 1, 2차 발표식에서 TOP 8에 위치했다. 방영 초반에 있던 클럽 논란은 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 측에서 고소 공지를 내자 폭로자가 사실 거짓말이었다고 밝히며 계정을 삭제해 과거 안 좋았던 여론도 조금씩 좋아지고 있는 중이다. 9회 기준 같은 팀 멤버와의 갈등이 생겨 여론이 갈리는 듯 했지만, 《Chains》 팀에서 방출되어 《MAIN DISH》 무대를 킬링파트로써 독기 품고 제대로 연습하는 모습이 나와 상황이 조금 애매한 편이다. 그래도 바로 다음 날이 생존자 발표식이고, 상황이 매우 안 좋은 것은 아니라 순위에 큰 지장은 없을 것이다.
C그룹
2
조우안신: 1~2회에서 지속적으로 1위를 유지했고 K/C 통합 이후 1, 2차 발표식까지 꾸준히 2위를 지키고 있다. 이대로만 간다면 전작들의 션샤오팅, 장하오의 포지션을 이어받아 최상위권 순위로 데뷔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거기다 Chains 팀이 현장 평가 1위 + 스트리밍 점수 1위를 차지하여 총 베네핏 163,000만점을 획득해 최상위권 순위 안착에도 별 문제가 없다.

4
허씬롱: 2차 발표식에서 4위로 상승하면서 TOP 8에 처음으로 입성했다. 다만 9회 방영을 앞두고 하나의 중국 지지 논란[11]이 터져 국내표가 빠져나갈 가능성이 크나, 해외표가 강하기 때문에 파이널은 별 문제 없이 진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그 당시 중국에서 활동해서 정부의 압박을 받는 입장인 데다가 애초에 해당 계정이 회사가 관리하는 계정이며, 근거 사진 역시 대부분이 하나의 중국 지지글이 아니라 대형 참사 추모글과 항일 역사 관련으로 밝혀져 결국 논란 유포자가 삭제해버리면서 이 같은 사실이 반영된다면 순위 하락이 크지 않을 수도 있다.

5.2. 합격과 방출을 가리기 힘든 명단

K그룹
6
정상현: 1, 2차 발표식에서 TOP 8에 위치했다. 전체 2위에 해당하는 높은 국내표에 비해 전체 14위인 조금 부족한 해외표를 어떻게 끌어모으느냐에 따라 순위가 결정될 것이다. 파이널은 무사히 통과할 것으로 보여졌으나 9회 막판 공개된 전체 투표 순위에서 무려 17위[12]까지 떨어진 것으로 밝혀지며 생존과 탈락을 가리기 힘들어졌다.[13]

9
마사토: 1차 발표식에서 8위, 2차 발표식 9위를 차지했다. 해외표 순위가 7위이나, 순위가 소폭 하락 중이고 코어가 약해 순위가 하락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그래도 파이널은 무사히 진출할 것으로 여겨진다.

10
최립우: 1차 발표식에서 6위, 2차 발표식에서 10위를 차지했다. 국내표는 7위이나 해외표는 15위로 부진한 편이다. 1차 경연에서 실력 논란이 있었고 2, 3차 경연에선 사그라든 편이나, 그것에 의해 순위가 하락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코어픽이 중요해졌다.

11
김준민: 9회 막판에 공개된 글로벌 투표 순위에서 최하위 생존 순위인 16위로 밝혀지면서 생존과 탈락을 가리기 어려워졌다.

12
전이정: 2차 발표식 기준 국내표 8위지만 해외표가 19위로 낮아 생존 여부는 미지수다. 다만, Chains 팀이 현장 평가 1위 + 스트리밍 점수 1위를 차지하여 총 베네핏 163,000점을 획득해 생존 가능성이 조금 높아졌다. 결국, 3차 순발식 라이브에서 15위로 생존을 확정지었다.

14
장한음: 2차 발표식 국내표 전체 5위지만, 해외표가 투표수가 공개된 26명 중 26위다. 심지어 3픽으로 줄어든 탓에 순위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16
강우진: 최근 순위가 하락하고 있고 3픽으로 바뀌었다 보니 생존이 불투명하다.

22
유메키: 일본에서의 높은 지지도에 비해 국내표가 상당히 적지만, 7회에서 보여준 대인배 모습에 한국 팬들도 점점 생기기 시작했다. 또한 9회 예고편 마지막에서 17위를 기록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24
박동규: 최하위 순위로 생존했으나 7회에서의 행적으로 지지도가 큰 폭으로 상승하며 생존과 탈락을 가리기 어려워졌다.
C그룹
15
쑨헝위: 투표하던 사람들이 대부분 동정픽과 호감픽으로 투표해왔던 만큼 3픽으로 줄어들었기에 순위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

17
리즈하오: 허씬롱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중국 지지 게시글 논란으로 인해 국내표가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그 당시 중국에서 활동해서 정부의 압박을 받는 입장인 데다가 애초에 해당 계정이 회사가 관리하는 계정이며, 근거 사진 역시 대부분이 하나의 중국 지지글이 아니라 대형 참사 추모글과 항일 역사 관련으로 밝혀져 결국 논란 유포자가 삭제해버리면서 이 같은 사실이 반영된다면 순위 하락이 크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허씬롱과는 다르게 그 이전부터 호불호가 상당히 갈리는 상황이었고 허씬롱과 달리 국내표가 더 높은 편이라 순위 하락이 예상되며, 8일 기준 19위임이 밝혀졌다.

18
천카이원: K/C 통합 이후로 분량이 너무 적어졌으며, 지금 상황으로선 탈락 가능성이 더 높으나 8일 기준 18위임이 밝혀지며 생존과 탈락을 가릴 수 없게 되었다.

19
장지아하오: 탈락권에 가깝지만 일부 시청자들의 동정 여론과 더불어 데뷔 콘셉트 미션을 많은 사람들이 기대하고 있어 순위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이후 Chains 팀이 현장 평가 1위 + 스트리밍 점수 1위를 차지하여 총 베네핏 163,000만점을 획득해 순위 상승 가능성이 올라갔다. 또한 3차 라이브 생중계에서 새로운 TOP 8에 든 연습생이 있다고 하는데, 어쩌면 3차 순위발표식에서 새롭게 데뷔권에 들 가능성이 높다.

5.3. 방출자 예상 명단

K그룹
13
박준일: 1차 경연 라이징썬 무대 반응이 좋았고 2차 경연에서도 베네핏 25만점을 받으면서 22계단 상승했으나, 9회 방영을 앞두고 사생활 논란이 터지면서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순위도 13위로 그리 안정권은 아니므로 탈락이 예상된다.

20
나윤서: 8회까지 방영된 바 방송 분량이 타 참가자들에 비해 상당히 많았으나, 6회에서 분량을 받은 타 참가자들에 비해 순위는 많이 상승하진 않았다. 호감표에 비해 코어픽이 부족해 보이는 상황.

21
쉬칭위: 1회 이후로는 분량이 통 없던 편이라 순위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중이다.
C그룹
23
후한원: 3회에서의 행적 덕분에 2차에서 생존했으나 코어픽이 부족한 상태이다.
[1] 집계 기간: 9월 11일 18:00 ~ 9월 12일 09:00[8회] 8회 기준[8회] [부족] 3명 부족[5] 방출된 참가자들은 자동적으로 MAIN DISH 팀으로 합류[6] 이상원 15만점 추가 획득[7] 프로듀스 48, 프로듀스 X 101, 걸스플래닛에서는 9화에 팀별 연습과정을 공개하고 10화에 무대를 공개했다. 보이즈플래닛에서는 1/2차 미션과 유사하게 연습과정과 무대를 쪼개서 공개한 바 있다.[8] 이러한 회차 구성은 플래닛 시리즈의 전신인 프로듀스 101 시리즈시즌1, 시즌2와 동일하다.[9] 실력에 비해 코어픽이 부족한 참가자들의 경우 무대 퀄리티로 승부를 걸어야 하는데 무대가 공개되고 1일 뒤 바로 투표가 종료되어 상대적으로 불리해지는 문제가 생긴다. 방송 회차가 감소한 만큼 한 회차에 세미파이널 경연 무대를 보여줄 수 있게 됐지만, 픽을 모을 시간이 줄어든 딜레마가 발생한 것이다. 만약 걸스플래닛처럼 전체 회차가 12회차라는 가정하에 경연 무대를 한 회차에 보여줬다면 9회에서 공개된 준비 과정을 통해서도 1주일 가량 픽을 모을 수 있었겠지만, 이번에는 전체 회차가 감소했기에 픽을 모으기 더욱 어려워졌다.[10] 이전 프로듀스 시리즈부터 보이즈플래닛까지는 모두 20세기 출생자가 데뷔조에 포함됐었다.(프로듀스 101-전소미를 제외한 10명 전원 / 프로듀스 101 시즌2-이대휘, 라이관린을 제외한 9명 전원 / 프로듀스 48-권은비, 미야와키 사쿠라, 강혜원, 최예나, 이채연, 김채원 / 프로듀스 X 101-한승우, 조승연, 김우석, 김요한, 이한결 / 걸스플래닛999 : 소녀대전: 최유진, 사카모토 마시로, 션샤오팅 / 보이즈플래닛: 김지웅, 장하오)[11] 자의로 작성한 것은 아니고 중국 정부의 압박하에 작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탈락권, 16위까지 생존[13] 다른 참가자들이 분량이 늘어나면서 득표수가 많아지기도 했지만, 지금까지의 정상현의 순위가 계속 안정적인 데뷔권이었기에 방심하고 정상현에게 투표하지 않은 팬들의 영향이 가장 크다는 여론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