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05:37:09

별방진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939499>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오현단
  1. 지석묘
    2-1. 용담지석묘1호
    2-2. 용담지석묘2호
    2-3. 용담지석묘3호
    2-4. 용담지석묘4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2-5. 용담지석묘5호[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2-6. 용담지석묘6호[2]}}}
2-7. 오라지석묘1호
1.#3 제주성지
1. 삼사석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외도팽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금덕무환자나무및팽나무군락[A]}}}
  1. 명월대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수산곰솔[4]}}}
  1. 절부암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동백동산[A]}}}
  1. 최영장군사당
  2. 대정성지
  3. 법화사지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천제연담팔수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서귀포시먼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성읍농나무}}}
  1. 혼인지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선흘리백서향및변산일엽군락[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명월팽나무군락[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도련귤나무[B]}}}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20-1. 당유자나무[B]}}}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20-2. 병귤나무[B]}}}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20-3. 병귤나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20-4. 산귤나무[B]}}}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20-5. 산귤나무[B]}}}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20-6. 당유자나무[B]}}}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20-7. 진귤나무[B]}}}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영평조록나무[A]}}}
  1. 해신사
  2. 연대
    {{{-2 23-1. 말등포연대
    23-2. 협자연대
    23-3. 천미연대
    23-4. 소마로연대
    23-5. 조천연대
    23-6. 우지연대
    23-7. 남두연대
    23-8. 수근연대
    23-9. 별도연대
    23-10. 연동연대
    23-11. 당포연대
    23-12. 대포연대
    23-13. 왜포(고포)연대
    23-14. 함덕연대
    23-15. 좌가연대
    23-16. 종달연대
    23-17. 애월연대
    23-18. 귀덕연대
    23-19. 배령연대
    23-20. 두모연대
    23-21. 산방연대
    23-22. 서림연대
    23-23. 오소포연대}}}
  3. 별방진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조록나무뿌리 형상물[A]}}}
1.#2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신흥동백나무군락[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항파두리항몽유적지[20]}}}
  1. 명월성지
  2. 화북비석거리
  3. 조천비석거리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청귤나무}}}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무환자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녹나무[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선인장자생지[23]}}}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일출봉[24]}}}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제주산굼부리분화구[25]}}}
  1. 문경공고조기묘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위미동백나무군락[A]}}}
  1. 용담동선사무덤유적
  2. 곽지패총
  3. 북촌리선사주거지유적
  4. 존자암지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정방폭포[27]}}}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문섬의상록활엽수림[2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범섬의상록활엽수림및흑비둘기번식지[2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식산봉의황근자생지및상록활엽수림[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비양도의비양나무자생지[A]}}}
  1. 환해장성
    {{{-2 49-1. 곤을동환해장성
    49-2. 별도환해장성
    49-3. 삼양환해장성
    49-4. 애월환해장성
    49-5. 북촌환해장성
    49-6. 동복환해장성
    49-7. 행원환해장성
    49-8. 한동환해장성
    49-9. 온평환해장성(제1지점, 제2지점, 제3지점, 제4지점)
    49-10. 신산환해장성}}}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중문·대포해안주상절리대[32]}}}

[1] 사적 제522호로 승격[2] 사적 제522호로 승격[A] 2024년 8월 2일에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을 제주특별자치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하며 지정해제[4] 천연기념물 제441호로 승격[A] [A] [A] [A] [B] 천연기념물 제441호로 승격[B] [B] [B] [B] [B] [B] [A] [A] [A] [A] [20] 사적 제396호로 승격[A] [A] [23] 천연기념물 제429호로 승격[24] 천연기념물 제420호로 승격[25] 천연기념물 제263호로 승격[A] [27] 명승 제43호로 승격[28] 천연기념물 제421호로 승격[29] 천연기념물 제421호로 승격[A] [A] [32] 천연기념물 제443호로 승격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68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선흘벵뒤굴[34]}}}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북촌동굴[A]}}}
  1. 하원동탐라왕자묘
  2. 서귀진지
  3. 화북진지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용연·용두암[A]}}}
  1. 제주도요지
    {{{-2 58-1. 구억리노랑굴
    58-2. 구억리검은굴
    58-3. 신평리도요지
    58-4. 신도리도요지}}}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추사적거지[37]}}}
  1. 제주도방묘
    {{{-2 60-1. 김녕리묘산봉광산김씨방묘
    60-2. 가시리설오름청주한씨방묘
    60-3. 유수암리산새미오름방묘
    60-4. 거로 능동산방묘}}}
  2. 제주도항일운동사적지
    61-1. 무오법정사항일운동발상지
  3. 수산진성
  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
하례리초령목}}}
  1. 김만덕묘비
  2. 의귀리 김만일묘역
  3. 삼사석비
  4. 한라산신제단
  5. 조천진성

[A] 2024년 8월 2일에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중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항목을 제주특별자치도 자연유산으로 지정변경하며 지정해제[34] 천연기념물 제490호로 승격[A] [A] [37] 사적 제487호로 승격
}}}}}}}}}}}}

1. 개요2. 역사3. 제주목4. 관련 문서

1. 개요

별방진(別防鎭)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에 있는 조선 시대 축조된 방어성(防禦城)이자 성곽시설 유적이다. 1974년 4월 3일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4호로 지정되었다.

2. 역사

별방진에 대한 기록은 신증동국여지승람 제주목조 및 관방(關防)조에 기술된 바 있다. 조선 중종 5년(1510)에 제주 목사 장림(張琳)이 외부인의 침입을 경계할 수 있는 성을 쌓아 지은 뒤 금령(현재 김녕金寧)의 방호소(防護所)와 수전소(水戰所)를 연계해서 이를 별도로 이곳을 가리켜 별방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조선 헌종 14년(1848)에 목사 장인식(張寅植)이 보수 및 관리한 바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중에서도 유독 의미가 있는데 일제 강점기 시절 제주도의 환해장성이나 별방진같은 관아와 도민이 함께 이루어낸 역사(役事)이자 고유한 지리적 영역성을 갖는 역사적인 건축물이 민족의 정체성 그리 단합을 고취시키고 일깨운다고 판단해 1910년 조선총독부의 1호 법률인 ‘조선읍성 훼철령’에 따라 읍성들이 대거 철거되고 대부분 훼손되어 제 모습을 잃었던 암울했던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그것이다.[1]

3. 제주목

조선시대 당시에는 제주도가 제주목과 정의현 그리고 대정현으로 부군현명이 지목되었었다. 대략 정의현은 지금의 서귀포 동부지역이고 대정현은 서부지역 쯤이다.

제주도에는 약 27개의 방호소(防護所)와 수전소(水戰所)가 있었다.[2] 그 중에서 제주목에는 5개의 방호소와 7개의 수전소 그리고 별방성 1개소와 좌우위(左右衛)[3] 1개소가 있었다.
제주목(濟州牧) 조천관방호소(朝天館防護所), 금령포방호소(金寧浦防護所), 도근천방호소(都近川防護所), 애월포방호소(涯月浦防護所), 명월포방호소(明月浦防護所), 건입포수전소(巾入浦水戰所), 조천관포구수전소(朝天館浦口水戰所), 금령포구수전소(金寧浦口水戰所), 벌량포수전소(伐梁浦水戰所), 도근천포구수전소(道近川浦口水戰所), 애월포구수전소(涯月浦口水戰所), 명월포구수전소(明月浦口水戰所), 별방성(別防城), 좌우위(左右衛)
정의현(旌義縣) 대수산방호소(大水山防護所), 서귀포방호소(西歸浦防護所), 오소포방호소(吾召浦防護所), 오소포수전소(吾召浦水戰所), 서귀포수전소(西歸浦水戰所)
대정현(大靜縣) 서귀방호소(庶歸防護所), 동해방호소(東海防護所), 새포방호소(塞浦防護所), 모슬포방호소(毛瑟浦防護所), 범질포방호소(犯叱浦防護所), 모슬포중수전소(毛瑟浦中水戰所), 새포동수전소(塞浦東水戰所), 범질포서수전소(犯叱浦西水戰所)

4. 관련 문서


[1] 타임머신을 타고 제주의 고도를 만나다 ,제주 역사 간직한 제주목 관아 - 500여년 동안 제주의 중심지 역할,영욕의 세월 간직한 제주 역사의 산실 2020-09-09 좌동철 제주일보 사회부장https://news.jejunu.ac.kr/news/articleViewAmp.html?idxno=14584[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관방유적 (關防遺蹟)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6217[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좌우위 (左右衛)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3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