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12:44:26

반향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매직 더 개더링의 카드에 대한 내용은 반향(매직 더 개더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매직 더 개더링의 카드:
반향(매직 더 개더링)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1. 개요2. 상세3. 평가
3.1. 흑마법사3.2. 마법사
4. 둘러보기

1. 개요

한글명 반향 파일:반향.png
영문명 Reverberations
카드 세트 전설노래자랑
카드 종류 주문
등급 희귀
직업 제한 흑마법사, 마법사
속성 암흑
황금 카드 제작 또는 카드팩
비용 3
효과 하수인을 복사하여 소환합니다. 그 하수인은 피해를 받은 후에 죽습니다.
플레이버 텍스트 공허 속에서 더 시끄럽습니다.
(This sounds much louder in the void.)

2. 상세

전설노래자랑의 미니팩 종말의 소리에서 출시된 일반 등급의 이중 직업 카드.

지정한 하수인, 혹은 복사한 하수인 중 하나만 피해를 받으면 죽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하기 쉽지만 이는 번역 오류로 실제로는 두 하수인 모두 피해를 받으면 죽는 효과를 갖는다. 효과에 맞게 번역하면 "그 하수인'들'은 '각자' 피해를 받은 후에 죽습니다.", 혹은 순서를 바꿔서 "지정한 하수인은 피해를 받은 후에 죽습니다. 그 하수인을 복사하여 소환합니다." 등의 번역이 맞다.

3. 평가

3.1. 흑마법사

상대 하수인에게 쓰면 상대의 하수인을 한 대 치면 죽는 불구로 만들면서 그 하수인의 효과는 복사해오는 제압기와 밸류 카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다만 깡스탯 하수인은 피해를 받은 후에 죽는 디버프 때문에 의미가 없으므로 좋은 지속 효과를 가지고 있는 하수인이 아니라면 복사본의 활용은 힘들다.

출시 이후에는 영능과 연계가 가능한 법사와는 달리 막 엄청 좋다 정도는 아니었는데 티탄 확장팩 발매 이후에는 티탄에게 썼을 때 매우 유용한 카드가 되어 마법사와 함께 필카로 등극했다. 티탄은 대체로 생명력이 높아서 처리하기 까다로운데 디버프를 발라 제압을 쉽게 만들고, 티탄은 나온 턴, 즉 복사한 턴에도 능력을 쓸 수 있기 때문에 복사한 상대의 티탄의 능력을 고스란히 쓸 수 있다.[1] 심지어 아만툴, 시초자, 해방된 요그사론 같은 주류 티탄들은 대체로 제압 효과도 같이 들고 있어 복사본이 원본을 처치하는 진풍경도 자주 볼 수 있다. 흑마법사보단 마법사가 쓰는 반향이 악명이 더 높지만 반향 자체가 단 3코스트로 사기급 성능을 내는 매우 불쾌한 카드인 데다가 내 고밸류 하수인을 복사할 수도 있는 유연성까지 지녔기에 못쓸 정도의 성능으로 너프하라는 반응이 많다.

예능이긴 하지만 암흑 주문이라 야생에서는 탬신 롬과의 콤보가 있다. 탬신에 반향을 써서 반향을 복사하고 그 반향을 탬신에게 쓰면 탬신 3마리가 나와서 그 이후 암흑 주문을 4번 시전할 수 있다. 극단적으로 가면 3마리가 된 탬신에게 2번째 반향을 쓰면 반향도 4장 복사가 되어 순식간에 탬신 7마리로 필드가 찬다.

3.2. 마법사

상대방의 강력한 하수인을 복사하면서 정리하거나, 자신의 하수인을 복사할 수 있다. 특히 마법사는 영능이나 저코스트 딜 주문으로 반향으로 복사한 하수인을 더 쉽게 처치할 수 있어 과거 컨트롤 법사가 쓰던 부두 인형처럼 활용할 수 있다. 출시 이후에는 필카 정도까진 아니더라도 꽤 좋은 카드 정도의 느낌으로 쓰였으나, 뒤이은 티탄 확장팩 발매 이후에는 티탄 같은 고밸류 하수인을 내가 사용함과 동시에 상대방 것은 쉽게 정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마법사와 흑마법사 모두 덱에 두 장씩 꽉꽉 채워 사용할 정도로 입지가 크게 올랐다. 특히 마법사는 각종 생성 및 복사 수단들이 풍부하여 반향을 여러 번 쓸 수도 있어 상대의 카운팅을 무의미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많은 비판을 받는다. 이 때문에 타 직업들이 법사를 상대할 때에는 반향이 빠질 때까지 티탄을 함부로 내는 것 조차 아주 힘들어지며[2], 영능이 필드에 직접 간섭이 불가능한 사냥꾼이나 사제, 전사와 같은 직업들은 복사본을 정리하려면 억지로 카드 하나를 강제로 소모해야 한다는 제약도 생긴다.

심지어 비단 정리뿐 아니라 시프를 내놓고 반향으로 복사해 주문공격력을 순식간에 뻥튀기 시켜 원턴킬 용도로 쓸 수도 있어 더더욱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실제로 티탄 확장팩 말기에 기존의 램프 드루가 너프를 받고 힘이 빠지자 메타의 중심으로 시프법사가 치고 올라왔는데, 반향은 싼 값에 상대의 하수인 정리와 OTK 파츠로의 역할을 둘 다 수행이 가능해 덱의 키 카드 수준으로 아주 중요한 카드이다.

야생전에서는 시간 왜곡 퀘스트 법사가 마법사의 주요 덱이라서 정규전에 비하면 잘 보이진 않으나, 퀘법 중에서 반향의 비용을 미리 줄여놓은 다음 반향으로 마술사의 수습생을 복사해 써먹는 덱도 있다. # 퀘스트가 게임당 1회만 발동하는 걸로 너프를 먹은 후에는 오히려 수습생 중심 퀘스트 마법사 덱이 주류가 되었다.

극한의 극락에서 바닷바람 성배흐름에 맡기기가 추가되면서 퀘스트조차 넣지 않은 수습생 원턴킬 덱이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때문에 반향과 수습생을 너프하라며 두 카드에 대한 원성이 많았고 결국 30.2.2 패치로 수습생이 너프되었다.

4. 둘러보기

전설노래자랑 (종말의 소리) 직업 카드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Warrior_64.png
전사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Shaman_64.png
주술사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Rogue_64.png
도적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Paladin_64.png
성기사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Hunter_64.png
사냥꾼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Druid_64.png
드루이드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Warlock_64.png
흑마법사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Mage_64.png
마법사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Icon_Priest_64.png
사제
파일:임시 악사2.png
악마사냥꾼
파일:죽음의 기사 아이콘.png
죽음의 기사
중립 카드 / 전체 카드일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다만 티탄을 복사할 때는 티탄 효과의 사용 여부도 복사하므로 그 티탄이 이미 쓴 능력은 쓸 수 없다. 티탄은 돌진을 가진 것으로 취급되기에 이걸 역이용해 능력을 다 쓴 티탄을 복사해 돌진 하수인으로 쓰는 방법은 있다.[2] 단, 사냥꾼의 복수자 아그라마르와 흑마법사의 파괴자 살게라스의 경우는 다른데 아그라마르는 티탄 효과가 전부 무기에 적용되는 효과라 법사가 뺏어도 써먹지 못하고, 살게라스도 내 필드에 생성된 뒤틀린 황천과 상호작용을 하는 효과라서 법사가 살게라스를 손에서 내지 않는 한 효과를 써먹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