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1-07-11 20:25:53

반근착절

고사성어
서릴 뿌리 섞일 마디


1. 뜻
1.1. 겉뜻1.2. 속뜻
2. 출전3. 유래

1.

1.1. 겉뜻

구부러진 나무뿌리와 울퉁불퉁한 나무의 마디.

1.2. 속뜻

1. 복잡하게 얽혀 해결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을 말한다.
2. 세상일에 난관이 많음을 뜻하는 말이다.
3. 세력이 단단히 뿌리박혀 흔들리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이다.

2. 출전

후한서(後漢書)》〈우후전〉

3. 유래

후한안제는 13살의 어린 나이로 대통을 이어 황제가 되었으나, 수렴청정하는 등(鄧)태후와 그녀의 오라비로서 군권을 쥔 대장군 등즐의 권위에 눌려 한낱 허수아비 임금에 지나지 않았다.

그 무렵 서쪽 변방은 티베트 계열인 강족이 자주 침범할 뿐 아니라 선비족흉노족까지 들썩거리고 있어서 병주(幷州)와 양주(凉州) 두 지역이 동시에 위협받아 사정이 매우 긴박해졌다. 등줄은 용렬하게도 나라의 창고가 충실하지 못할 뿐 아니라 양면작전은 무리라는 구차한 이유를 들어 두 곳 중 양주를 포기하려고 했다. 그러자 낭중(郎中) 우후가 극력 반대했다.
"선조들이 고생해 넓힌 땅을 어찌 함부로 포기한다는 말입니까? 더구나 양주는 옛날부터 유능한 선비와 장수를 많이 배출한 곳이며, 그곳을 잃으면 당장 서울이 위험해집니다. 대체로 서쪽 지역 사람들은 생활 자체가 군병(軍兵)이나 다름없기에 적도 두려워하는 바인데, 그곳을 포기함으로써 그 사람들이 함빡 내지로 이주해 오면 새로운 분쟁의 불씨를 안게 될 것이 뻔합니다."

우후는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할머니를 극진히 봉양한 효행으로 주위의 칭송이 자자했으며, 할머니 사후에야 비로소 세상에 나와 벼슬길에 오른 인물이었다. 그 우후가 조목조목 바른 말로 '양주 포기'의 부당성을 지적할 뿐 아니라 중신들마저 이구동성으로 동조하고 나섰으므로, 등즐은 마지못해 자기 복안을 철회하고 말았다.

'건방진 놈 같으니! 네 감히 나를 우습게 만들었겠다. 어디 두고 보자!'

그 일로 우후를 몹시 미워하게 된 등즐은 그를 혼낼 기회를 기다렸는데, 마침 하남(河南)의 조가현(朝歌縣)이라는 지방에 비적(匪敵)이 들끓어 현령이 살해되었다는 보고가 올라오자 '옳다구나' 싶어 우후를 신임 현령에 임명해 소탕하라고 명했다.
"대장군이 저번 일로 앙심을 품고 공을 욕보이려는 수작이니 조심해야겠소."

주위에서 이렇게 걱정하자, 우후는 아무렇지도 않은 듯 웃어 버렸다.
"걱정들 마시오. 얼키고 설킨 뿌리와 마디에 부딪쳐 보지 않고 칼날이 예리한지 무딘지 어찌 알겠소?"

이렇게 말한 다음 현지에 부임한 우후는 죄수들을 석방하여 적진에 침투시키는 기발한 계략으로 비적을 소탕하여 주위의 우려를 말끔히 씻어 내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