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2 18:53:50

박진성(프로게이머)/선수 경력/2025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박진성(프로게이머)/선수 경력
2024 시즌 2025 시즌 2026 시즌
박진성
2025 시즌
파일:DRX_Teddy_2025_Split2.png
<colbgcolor=#fff,#fff><colcolor=#1102a3,#1102a3> 소속 팀 <colbgcolor=#fff,#1c1d1f>DRX (LoL Champions Korea)
기록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로고.png
4강
파일:LCK 로고 흰색.svg
7위
파일:LCK 로고.svg
9위
합산 성적
36승 46패
승률 43.9%
개인 수상 LCK Week 14 Award WOORI BANK Gold King



1. LCK 스토브리그/2024

이미 지난 서머 시즌 재계약을 확정지은 상황에서 여전히 신인 위주의 로스터에서 소년가장 역할을 맡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같은 베테랑이던 라스칼의 은퇴가 기정사실화되면서 DRX의 선택에 따라 혼자서 통나무를 들어야 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다행히도 루머에 의하면 DRX가 공격적인 영입을 진행할 거라고 하여, 작년보다는 행복롤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으나...

DRX가 해외복귀 선수들을 모아둔 애매한 짬통로스터를 구성할 것이 유력해지고 다른 동부팀들까지 과감한 투자의지를 보이는 상황이 되며 유의미한 성적향상이나 행복롤은 고사하고 작년 이상의 최악의 성적을 갱신할 걱정을 해야하는 처지가 되었다.

결국 최종적으로 2025시즌 DRX의 로스터는 리치 - 주한 - 유칼 - 테디 - 안딜로 결정되었고, 작년에 비해서는 업그레이드된 로스터인건 맞지만 다른 라인의 멤버들이 파멸적인 고점과 저점이 모두 있는 선수들이기에 그 안에서 지난시즌과 마찬가지로 솔리드함을 담당해야하는 위치에 서게 되었다.[1]

2. 2025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오프닝

파일:2025TEAMBOT.jpg
1월 4일 올라온 SOOP 방송 공지에 다른 팀원들과 달리 리치와 함께 둘만 1월 10일에 방송일정이 비어있는 것이 확인되며 참가가 유력해졌다.[2] 이후 오피셜이 뜨며 참가 확정.

포지션은 티원시절 구마유시와 솔로랭크에서 바텀듀오를 가던 기억을 살려 서포터를 맡았다.

  • vs 파일:SUP_icon_black.png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TEAM SUP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00f 50%, #00f 50%); font-size: .7em"
WIN}}}
알리스타를 픽했고, 바텀에서 팀 서폿에게 듀오킬을 헌납하는 굴욕을 당했지만, 유충 한타에서 무려 5레벨 알리스타로 교전 승리에 일조하며 우세를 가져온다. 이후로도 마치 날것의 베릴을 연상캐하는 무지성으로 박는 것 같아도 아무튼 결과는 잘 나오는, 평소 서폿에 대한 울분이 가득 담긴 듯한 많이 과감한 앞포지션과 이니시로 초반 열세를 뒤엎고 승리에 일조했다.

  • vs 파일:MID_icon_black.png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TEAM MID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ff0000 50%, #ff0000 50%); font-size: .7em"
LOSE}}}
지난 서머시즌 원딜 최초로 픽하기도 했던 흐웨이를 픽해 구마유시의 바루스와 함께 바텀 라인전을 반드시 이기겠다는 의지를 천명했으나 극초반 상대가 숨어있던 부쉬에 들어가는 치명적인 실수를 범했고, 바텀듀오가 나란히 실피가 되어 바텀이 크게 망하고 시작한다. 이후로도 흐웨이로 알리스타 포지션을 잡고 잘린다던가 하는 영 좋지못한 모습을 보이며 패배했다.

3.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파일:2025LckCupTeddy.jpg
2025 LCK Cup "DRX Teddy"
스토브리그 기간 동안 서민석 단장의 병크로 인해 팀에 대한 여론은 완전히 최악으로 내리박힌 상황이지만, 로스터가 완전 꼴등급의 로스터까지는 또 아닌지라[3] 지난해보다 확실히 나은 성적을 충분히 기대해 볼 만하다 할 수 있는 시즌이다.

3.1. 그룹 배틀

파일:테디독감.jpg
OK브리온과의 개막전, 선발 출전이 예상되었으나 독감 확진으로 인해 출전이 불발되었다.#[4] 경기는 탑미드인 유칼과 리치가 대활약을 펼치고 대신 출전한 레이지필도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며 승리했다.
파일:DRX테디독감.jpg
이후 DRX SNS에 독감 증세가 악화되어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관계로 당분간 레이지필이 출전한다는 게시물이 올라왔다. #

얼마 뒤 인스타그램에 퇴원해 회복 중이라는 글이 올라왔고,[5] 또 1주일 넘게 하지 못했던 솔랭을 돌리기 시작하며 복귀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파일:25LckCupTeddy_vsHLE_set1.gif
한화생명전, 드디어 복귀해 첫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1세트에서는 애쉬를 플레이했고, 초반 바텀 교전에서 아쉬운 모습을 보이며 상대에게 3킬을 헌납했으나 중간중간 예리한 궁극기 활용으로 상대 바루스의 정화를 뽑거나 제이스를 잘라내거나 하는 등 DRX의 분전에 일조했다. 게임 결과는 아타칸에서의 잘못된 판단과 체급차이로 인해 패배. 2세트에서는 케이틀린을 픽했고, 중간중간 덫 활용이 돋보이긴 했지만 한타에서 조급한 스펠사용 등 안정성이 떨어지는 아쉬운 모습을 보이며 패배했다. 패배 지분은 안딜의 역캐리가 가장 크긴 했지만 본인도 폼을 끌어올릴 필요가 있어 보인다.

3.2. 플레이-인

  • vs 파일:DN 프릭스 로고.svg파일:DN 프릭스 로고 화이트.svg DN FREECS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0000FF 50%, #0000FF 50%); font-size: .7em"
WIN}}}
파일:25LckCupTeddy_vsDNF_set1.gif
DN 프릭스전 1세트 카이사를 픽했다. 극초반부터 안딜의 뽀삐와 함께 상대 이즈리얼을 말려놓으며 성장 격차를 엄청나게 벌렸고 사이드 합류에 능한 카이사의 장점을 활용해 상대 미드를 잘라내기도 했다. 또 게임 내내 훌륭한 딜링을 선보이며 노데스로 승리를 거뒀다.

2세트에서는 애쉬를 픽했고 상대가 한타에서 게속해서 애쉬만을 노리자 생존력을 위해 솔랭에서 유행하는 선체파괴자 빌드를 기용, 한타때마다 능숙한 포지셔닝으로 상대의 스킬과 노림수를 빨아들였다. 그렇게 스킬이 모두 빠진 상대를 잘 큰 유칼의 오로라가 쓸어버리는 구도가 반복되며 승리했다.

복귀 이후 첫경기에서 불안해보였던 폼이 완전히 회복되었음을 보여준 매치였다고 할 수 있다. 1세트에서는 준수한 딜링 능력을, 2세트에서는 상대의 집요한 노림수를 회피해내는 포지셔닝을 보여주며 자신에 대한 우려를 종식시켰다.

  • vs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Hanwha Life Esports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f00 50%, #f00 50%); font-size: .7em"
Lose}}}
파일:25LckCup_Teddy_Solokill_Viper.gif
한화생명과의 그룹 5라운드 리매치에서는 1세트 카이사를 픽했다. 팀이 초반에 유리하게 시작했고, 본인도 바이퍼를 상대로 솔킬을 내는 등 활약했지만 팀의 중후반 운영 미숙으로 손해를 적립하자 그대로 밀리며 패배했다.

2세트에서는 미스 포츈을 픽했고 잘 성장했으나 상대의 조합이 미스포츈이 살아남기가 불가능에 가까운 조합이였던지라 픽과 조합의 한계로 인해 패배했다.

  • vs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Nongshim RedForc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f00 50%, #f00 50%); font-size: .7em"
Lose}}}
농심과 맞붙은 3년만의 첫 다전제에서는[6] 1세트 바루스를 픽했고, 1티어 픽을 대거 가져간 상대에게 유충 교전에서 한번 승기를 내준 후로는 역전이 불가능한 수준으로 게임이 터졌고, 본인도 그 과정에서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며 압살당했다.

2세트에서는 카이사를 픽했고 초중반 비공식 에이스를 두 번이나 당하며 또 압살을 당하는가 했으나, 마법공학 드래곤 한타에서 역습에 성공, 이후로 말 그대로 날아다니며 3연 솔로킬을 기록하는 활약을 보이며 역전승에 성공했다.

3세트에서는 제리를 픽해 초반 킬을 쓸어담으며 과성장했지만, DRX의 운영 미스로 아타칸을 공짜로 줘버리며 이후 성장해 있었던 트리스타나와 아타칸을 업고 킬을 먹은 징크스의 쌍포 화력에 밀려 패배했다.

4세트에서는 역시나 픽하지 못하는 원딜 챔피언이 늘어나면서 지우는 아펠리오스를, 테디는 고민 끝에 세나-오른을 선택했다. 하지만 초반 오른이 상대 탑 나르와 매치업이 되는 등 라인스왑 과정부터 꼬여 아펠리오스와 나르의 성장을 억제하지 못했고, 심지어 유일하게 주도권이 있었던 미드도 유칼의 미스플레이로 솔킬을 내주며 경기가 완전히 터져버렸고 세나 챔피언 특성 상 손도 써보지 못하고 패배해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하게 된다.

3.3. 총평

독감 이슈로 인해 그룹스테이지 대부분을 출전하지 못했지만, 복귀 후 첫 경기를 제외하고는 카이사로 3경기 연속 솔로킬을 하는 등 의미 있는 장면들을 보여주며 폼을 어느정도 회복한 모습을 보여줬다.

특히 플레이-인에서 패배 후 팀원들이 급격하게 무너지는 모습들을 보여줬기 때문에 다가오는 정규시즌에서 상수로서의 활약이 필요함을 보여줬다.

4. 2025 LoL Champions Korea(R1~2)

파일:Teddy_2025_LCK_Round1~2.jpg
2025 LCK R1~2 "DRX Teddy"

4.1. 1라운드


DN 프릭스전 1승 이후 쭉 연패행진을 이어가는 중, 이즈리얼을 플레이할 때 정도를 제외하면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며 작년에 비해 폼이 상당이 떨어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팀과 함께 휩쓸리는 원딜의 모습과 공격적인 스킬 활용을 위해 스킬을 아끼다 죽는 등의 판단적인 실수를 하는 모습이 눈에 띄게 잦아졌다.[7]

한화생명전, 팀은 패배했으나 그동안 뽑던 미스 포츈, 애쉬 등 경직된 뚜벅이 픽들 대신 자야, 이즈리얼 등 공격적인 카드들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KT전에서는 판단미스 뿐만 아니라 궁극기를 실수로 사용한다거나, 시그니쳐 픽인 이즈리얼을 잡고도 타워에 과하게 집중한 탓인지 뒤에서 다가오는 캐스팅의 아트록스의 존재를 전혀 인지하지 못하며 클린 히트로 잡히는, 프로로선 보여주면 안 될 플레이를 보여주는 등 기본적인 실수를 범하며 본인 커리어를 통틀어 최악의 폼을 보이고 있다.

이어진 젠지전에서도 처참한 폼을 보여주었고, 결국 5주차엔 2군으로 센드다운, 1군 원딜 자리엔 레이지필콜업됐다.

5. 2025 LCK Challengers League

파일:Teddy_2025_LCK_CL.jpg
2025 LCK CL "DRX Teddy"
2024시즌 종료 후, 비시즌 인터뷰#에서 "서로 합을 맞추려 했으나 결국 잘 맞는 느낌은 아니었다" 라는 답변을 말할 정도로 2군 서폿 플레타 선수와 바텀 플레이 스타일이 맞지 않거나 달랐던 것으로 보였는데, 테디의 2군행으로 인해 올해도 다시 한 번 합을 맞추게 되었다.

5.1. 1~2라운드

우려한대로 2군에서도 팀합이 잘 안 맞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 전까지 단독 2위를 기록했지만 BFX-DN에게 연패를 기록했으며, 반대로 레이지필이 합류한 1군이 단숨에 2승을 챙긴 것과는 정반대의 상황.

이후로는 1위인 KT에게 패배한 것을 제외하면 한화생명, 농심, DK에게 모두 셧아웃 승리를 거두며 순항 중이다.

9주차 젠지전, 1세트에서는 이즈리얼로 쿼드라킬을 기록하는 등 노데스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2대0으로 압살, 단독 POG를 받았다. 2위를 확정지은것은 덤.

T1전, 유칼까지 CL로 내려오면서 사실상 1.5군의 스쿼드가 되었고, 이번에도 2대0 승리를 거뒀다.

결론적으로 6주차에 2연패를 하며 순위가 하락할 위기가 찾아왔지만, 7주차부터 9주차까지 KT에게 패배한 경기를 빼면 전부 2:0으로 승리하며 폼을 회복중이다. POG 점수 역시 400점으로 팀 내 최다를 기록했다.

6. 2025 LoL Champions Korea(R3~5)

파일:54759999684_32b76a7c5e_k.jpg
2025 LCK R3~5 "DRX Teddy"

6.1. 3라운드

파일:테디루시안핑퐁.gif
3라운드 첫경기 OK브리온전에서 다시 콜업되어 1군에 복귀했다. 1세트는 상대의 자멸을 받아먹으며 무난하게 승리했으나, 2세트에서는 루시안을 잡고 상대 아리-바이의 점사에도 불구하고 실피로 끝까지 딜을 넣으며 살아가는 등 분전했으나 예후의 역캐리와 루시안이 생존하기 힘든 조합적 차이로 패배했다. 원래대로라면 아지르와 루시안이 함께 성장해 점사를 당하지 않은 쪽이 딜링을 하는 구도가 되어야 했으나 아지르가 폭삭 망해버리자 상대 입장에서는 루시안만 물면 되는 편한 구도가 되어버렸다.

3세트에서는 시비르를 픽해 라인전에서 격차를 벌렸으나, 라인스왑 과정에서 리치의 어이없는 텔 실수로 인해 이 이득을 다 날려버렸다.[8] 이후 난투전을 반복하다 갑자기 바론 앞에서 스폰지가 폴루의 암흑시야 이니시에 폭사하며 바론을 내주더니, 쓸데없이 방어를 하겠답시고 탑 2차 타워 부근으로 나가있던 drx 인원들이 바론 버프를 두른 브리온에게 깔끔하게 녹아내리며 게임이 순식간에 마무리되었다.

그나마 캐리형 원딜이 나오는 메타가 오자[9] 작년으로 회귀한 듯한 폼을 선보이며 분전했다고 할 수 있다. 메타 부적응 뿐만 아니라 단순한 폼 저하가 심각했던 1라운드 때에 비해 확실히 폼이 올라온것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본인이 작년의 폼을 되찾자 팀도 작년의 모습을 되찾아버린 것이 문제.

DN 프릭스전 테디가 POM에도 선정될 정도로 상당히 폼이 올라왔다는것을 보여주며 승리했다. 특히 3세트 본인의 성명절기인 이즈리얼로 한타 전에 쉴새없이 DN의 체력을 갉아놓은것이 주효했다.

BFX전, 1세트에서는 혈전 끝에 패배했으나 2, 3세트 각각 세나와 제리로 인상적인 폭발력을 보여주며 승리해 POM을 받았다.

3라운드는 총 2승 2패를 기록하며 승리한 모든 경기에서 POM을 받으며 주전 기용의 이유를 증명했다. 패배한 경기에서도 라인전부터 압도하는 등 다시 팀의 상수로 돌아온듯한 폼을 보여주었다. 문제는 유칼은 2군에 박혔고, 리치는 오락가락해서 본인이 또 통나무를 짊어져야 한다는 것.

6.2. 4라운드

DN 프릭스전 1세트는 자야를 픽했으나 신챔인 유나라의 캐리력에 밀리며 역전패를 당했다. 2세트에서는 진을 픽해 중간중간 좋은 살상연희 적중률을 보이며 탱커가 많은 상대 조합임에도 불구하고 돈으로 찍어누르며 승리했다. 3세트에서는 시비르를 픽했으나 시비르가 클 시간을 벌어줘야 했던 탑미드의 후픽 레넥톤과 사일러스가 모두 라인전에서 밀리자, 조합적으로 상대 자르반-갈리오에게서 살아남기 힘든 뚜벅이 원딜 시비르의 한계를 이기지 못하며 그 DN프릭스에게 충격적인 매치패를 헌납하고 말았다.

6.3. 5라운드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LCK Record Standing
파일:테디 3000어시스트.jpg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LCK_BOT_white1.png
Teddy 박진성
LCK 통산 22번째, BOT 2번째 3,000어시스트 달성
BFX전, 3000어시스트를 달성하였지만 경기는 2대1로 패배하였다.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LCK Record Standing
파일:테디 2500킬.jpg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LCK_BOT_white1.png
Teddy 박진성
LCK 통산 7번째, BOT 4번째 2500킬 달성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LCK Record Standing
파일:테디 700전.jpg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LCK_BOT_white1.png
Teddy 박진성
LCK 통산 7번째, BOT 2번째 700전 달성
OK브리온과의 플레이-인 막차를 건 멸망전에서는 700전과 2500킬 기록을 달성하긴 했으나, 게임은 풀템전 장로싸움한타까지 가는 혈전 끝에 패배하며 시즌을 마무리하게 되었다.

7. 시즌 총평

파일:54760104620_9e72afacdf_k.jpg
1~2 라운드에서는 부진하여 레이지필에게 주전을 뺏기고 2군 경기에서 뛰는 굴욕을 겪기도 했지만, 라이즈그룹에서는 폼을 되찾고 팀의 에이스 역할을 해주었으며, 본인이 뭐라도 해야겠다 싶어서 공격적인 포지션을 취하다가 그것이 게임을 망치는 결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사실상 또 또 또 진에어 시즌2를 찍어버렸다.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도 본인의 성장은 매우 잘되었지만 무너진 상체 라인을 짊어지고 캐리 역할을 하기에는 무리였고, 결국 팀과 함께 무너졌다. 뿐만 아니라 미드의 큰 구멍에 가려져서 그렇지 테디 역시 지나친 보신주의 스타일로 사실상 DRX라는 팀의 컬러가 운영을 통한 후반 뒷심으로 고정되는 결과를 만들었다.
[1] 여담으로 서폿으로 영입된 안딜이 지병으로 인해 잦은 결장을 보였고, 테디 역시 지난시즌 건강 이슈로 결장한 적이 있기에 바텀듀오가 함께 건강 문제에 대해 염려가 있는 로스터가 되었다.병약듀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2] 파일:DRX테디스포.jpg[3] 특히 유칼은 직전 시즌 LPL에서 플레이오프도 갔던만큼 적어도 유칼-테디가 이루는 쌍포는 확실하다 볼 수 있다.[4] 2군 선수 레이지필이 대타로 출전한다.[5] 파일:테디퇴원.jpg[6] 마지막으로 치른 다전제가 2022 스프링 플레이오프 T1전이다.[7] 특히 자야를 플레이 할 때 궁반응을 하지 못해 스킬을 맞고 궁을 사용하는 장면이 자주 나오고 있다.[8] 안일하게 텔레포트를 타다가 레넥톤에게 끊겨 상대 카이사가 라인과 채굴을 한참동안 하게 만들었다.[9] 현재 1티어 원딜 픽들은 미스 포츈, 루시안, 이즈리얼 등 캐리형과 초반지향형 사이쯤인 원딜들이 대부분이긴 하나, 칼리-애쉬가 너프 누적으로 메타에서 증발하고 바루스가 고정밴되면서 저 셋이 다 해 먹던 전반기보다는 확실히 원딜 캐리 가능성이 올라오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