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시즌 | → | 2025 시즌 | → | 2026 시즌 |
[clearfix]
1. LCK 스토브리그/2024
이미 지난 서머 시즌 재계약을 확정지은 상황에서 여전히 신인 위주의 로스터에서 소년가장 역할을 맡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같은 베테랑이던 라스칼의 은퇴가 기정사실화되면서 DRX의 선택에 따라 혼자서 통나무를 들어야 할 수도 있는 상황이다. 다행히도 루머에 의하면 DRX가 공격적인 영입을 진행할 거라고 하여, 작년보다는 행복롤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였으나...DRX가 해외복귀 선수들을 모아둔 에매한 짬통로스터를 구성할 것이 유력해지고 다른 동부팀들까지 과감한 투자의지를 보이는 상황이 되며 유의미한 성적향상이나 행복롤은 고사하고 작년 이상의 최악의 성적을 갱신할 걱정을 해야하는 처지가 되었다.
결국 최종적으로 2025시즌 DRX의 로스터는 리치 - 주한 - 유칼 - 테디 - 안딜로 결정되었고, 작년에 비해서는 업그레이드된 로스터인건 맞지만 다른 라인의 멤버들이 파멸적인 고점과 저점이 모두 있는 선수들이기에 그 안에서 지난시즌과 마찬가지로 솔리드함을 담당해야하는 위치에 서게 되었다.[1]
2. 2025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오프닝
|
포지션은 티원시절 구마유시와 솔로랭크에서 바텀듀오를 가던 기억을 살려 서포터를 맡았다.
- vs
TEAM SUP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00f 50%, #00f 50%); font-size: .7em"
알리스타를 픽했고, 바텀에서 팀 서폿에게 듀오킬을 헌납하는 굴욕을 당했지만, 유충 한타에서 무려 5레벨 알리스타로 교전 승리에 일조하며 우세를 가져온다. 이후로도 마치 날것의 베릴을 연상캐하는 무지성으로 박는 것 같아도 아무튼 결과는 잘 나오는,
- vs
TEAM MID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ff0000 50%, #ff0000 50%); font-size: .7em"
지난 서머시즌 원딜 최초로 픽하기도 했던 흐웨이를 픽해 구마유시의 바루스와 함께 바텀 라인전을 반드시 이기겠다는 의지를 천명했으나 극초반 상대가 숨어있던 부쉬에 들어가는 치명적인 실수를 범했고, 바텀듀오가 나란히 실피가 되어 바텀이 크게 망하고 시작한다. 이후로도 흐웨이로 알리스타 포지션을 잡고 잘린다던가 하는 영 좋지못한 모습을 보이며 패배했다.
3.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
2025 LCK Cup "DRX Teddy" |
3.1. 그룹 배틀
|
|
얼마 뒤 인스타그램에 퇴원해 회복 중이라는 글이 올라왔고,[5] 또 1주일 넘게 하지 못했던 솔랭을 돌리기 시작하며 복귀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
3.2. 플레이-인
- vs
DN FREECS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0000FF 50%, #0000FF 50%); font-size: .7em"
|
2세트에서는 애쉬를 픽했고 상대가 한타에서 게속해서 애쉬만을 노리자 생존력을 위해 솔랭에서 유행하는 선체파괴자 빌드를 기용, 한타때마다 능숙한 포지셔닝으로 상대의 스킬과 노림수를 빨아들였다. 그렇게 스킬이 모두 빠진 상대를 잘 큰 유칼의 오로라가 쓸어버리는 구도가 반복되며 승리했다.
복귀 이후 첫경기에서 불안해보였던 폼이 완전히 회복되었음을 보여준 매치였다고 할 수 있다. 1세트에서는 준수한 딜링 능력을, 2세트에서는 상대의 집요한 노림수를 회피해내는 포지셔닝을 보여주며 자신에 대한 우려를 종식시켰다.
- vs
Hanwha Life Esports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f00 50%, #f00 50%); font-size: .7em"
|
2세트에서는 미스 포츈을 픽했고 잘 성장했으나 상대의 조합이 미스포츈이 살아남기가 불가능에 가까운 조합이였던지라 픽과 조합의 한계로 인해 패배했다.
- vs
Nongshim RedForc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f00 50%, #f00 50%); font-size: .7em"
농심과 맞붙은 3년만의 첫 다전제에서는[6] 1세트 바루스를 픽했고, 1티어 픽을 대거 가져간 상대에게 유충 교전에서 한번 승기를 내준 후로는 역전이 불가능한 수준으로 게임이 터졌고, 본인도 그 과정에서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며 압살당했다.
2세트에서는 카이사를 픽했고 초중반 비공식 에이스를 두 번이나 당하며 또 압살을 당하는가 했으나, 마법공학 드래곤 한타에서 역습에 성공, 이후로 말 그대로 날아다니며 3연 솔로킬을 기록하는 활약을 보이며 역전승에 성공했다.
3세트에서는 제리를 픽해 초반 킬을 쓸어담으며 과성장했지만, DRX의 운영 미스로 아타칸을 공짜로 줘버리며 이후 성장해 있었던 트리스타나와 아타칸을 업고 킬을 먹은 징크스의 쌍포 화력에 밀려 패배했다.
LCK최초 하드피어리스가 적용된 4세트에서는 역시나 픽하지 못하는 원딜 챔피언이 늘어나면서 지우는 아펠리오스를, 테디는 고민 끝에 세나-오른을 선택했다. 하지만 초반 오른이 상대 탑 나르와 매치업이 되는 등 라인스왑 과정부터 꼬여 아펠리오스와 나르의 성장을 억제하지 못했고, 심지어 유일하게 주도권이 있었던 미드도 유칼의 미스플레이로 솔킬을 내주며 경기가 완전히 터져버렸고 세나 챔피언 특성 상 손도 써보지 못하고 패배해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하게 된다.
3.3. 총평
독감 이슈로 인해 그룹스테이지 대부분을 출전하지 못했지만, 복귀 후 첫 경기를 제외하고는 카이사로 3경기 연속 솔로킬을 하는 등 의미 있는 장면들을 보여주며 폼을 어느정도 회복한 모습을 보여줬다.특히 플레이-인에서 패배 후 팀원들이 급격하게 무너지는 모습들을 보여줬기 때문에 다가오는 정규시즌에서 상수로서의 활약이 필요함을 보여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