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26 22:42:47

바이센테니얼 맨(영화)

크리스 콜럼버스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상세정보 링크 열기


파일:external/image.cine21.com/162542_bicen.jpg

1. 개요2. 예고편3. 평가4. 한국어 방영

[clearfix]

1. 개요

1999년 로빈 윌리엄스 주연의 영화. 원작은 <이백살을 맞은 사나이>. 감독은 미세스 다웃파이어나 홀로 집에 1, 2로 알려진 크리스 콜럼버스 감독.

1억달러 제작비로 만들어 전세계에서 8700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흥행은 망했으나 영화 자체는 심금을 울리는 무난한 작품이라는 평. 아카데미 시상식 분장상 부문에 이름을 올렸다.

2. 예고편


3. 평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91919><:>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영화에서도 자유에 대한 앤드류의 갈망을 나타냈지만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서 인간이 되려고 한 걸로 묘사했기 때문에 '자유'보다 '사랑'에 초점을 맞춰서 원작의 주제의식을 희석시켰다는 비판이 있었다. 다만 영화를 먼저 봤거나 로맨스물을 좋아하는 이들에겐 호평이 많다.[1] 초반부에 마틴 가족에게 배달된 앤드류가 로봇 3원칙을 3D로 영사해 보여주는 장면이 인상적. 앤드류가 자신을 인간으로 인정해달라는 소송을 세계 의회에 처음 제기했을 때 첫 번째 의장은 기각했으나[2] 인체에 노화가 진행되도록 개조한 후[3] 두 번째로 소송을 제기했을 때는 두 번째 의장이 이를 받아들여 '2005년 4월 3일 오후 5시 15분에 가동되어 몇 시간 후면 200세가 될' 그를 역사상 가장 오래 산 인간으로 인정하고 아내 포샤와의 결혼을 법적으로 승인했다. 하지만 앤드류는 판결이 발표되기 직전에 세상을 떠나 결과를 보지 못했고, 곁에 함께 누워 있던 포샤는 '금방 갈테니 조금만 기다리라'며 생명유지장치를 끄도록 해서[4] 남편과 마지막을 함께한다.

4. 한국어 방영

한국에서는 2003년 4월 5일 MBC 주말의 명화에서 첫 더빙 방영했다. 로빈 윌리엄스박조호를 캐스팅하거나, 이선을 포샤와 아만다로 중복 돌린다든가[5] 좀 거슬리는 점들이 있다. 그 외에 마틴 역에는 장광, 갈라테아 역에는 김서영, 부인 역에는 최성우, 그 외에 최한, 최석필, 엄현정, 고성일, 배정민, 정재헌, 방성준, 이원찬, 문남숙, 조현정 등.

그 후 2007년 3월 10일 SBS 영화특급에서 재더빙 방영했다. 로빈 윌리엄스 성우는 당연히 배한성, 아만다와 포샤 성우는 각각 송도영/강희선, 마틴 역에는 설영범, 갈라테아 역에는 김지혜, 부인 역에는 이진화. 그 외 황윤걸, 성완경, 오인성, 한수림, 김용준, 김수진 등.


[1] 사실 영화나 소설 모두 인간성을 찾고자 하는 로봇을 통해 "인간성이 무엇인가"에 대한 고찰을 한다. 그러나 원작은 앤드류가 자유를 통해 인간성을 얻고자 한다면, 영화는 사랑을 통해 얻고자 한 것. 접근 방식이 다를 뿐 "무엇이 인간을 만드는가, 인간성이란 어떤 것인가?"에 대해 고민한다는 점에선 동일하다.[2] 이때 의장은 앤드류가 개발한 인공장기를 이식받은 노인이었기에 '제가 개발한 인공장기를 이식받으셨으니 의장님도 일부는 로봇'이라는 앤드류의 말에 데꿀멍하다가 '당신은 양전자 두뇌 덕분에 영생을 누릴 수 있지만 인간은 그렇지 않다'며 반박했다.[3] 앤드류 역의 배우 로빈 윌리엄스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현재의 시점에선 마치 담당 배우의 암울한 미래를 암시하듯 더더욱 슬픈 장면이 되어버렸다.[4] 이걸 끈 건 앤드류 부부를 돌보던 안드로이드 간호사 갈라테아인데, 영화에서 앤드류가 찾은 딱 하나 남은 자신과 같은 타입의 여성형 로봇이다. 처음 만남에서는 다른 로봇들과 다를 게 없어 앤드류가 실망했지만, 생명유지장치의 작동을 멈춰 포샤가 임종을 맞이하게 함으로써 로봇 3원칙을 위반하는 마지막 장면을 보면 갈라테아 또한 무언가 바뀌었다는 걸 암시한다. 또한 갈라테아란 이름은 피그말리온이 조각하여 인간으로 만든 여성의 이름이기도 하다. 실제로 갈라테아가 포샤에게 작별을 고할 때 보면 울먹이면서 얘기한다. 그녀 역시 감정을 갖게 되었다는 얘기.[5] 다만 후자의 경우 원판 배우 캐스팅을 감안하면 의도적인 중복 캐스팅에 가깝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