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12:56:14

물론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KCM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물론(KCM)]]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물론(KCM)#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물론(KCM)#|]]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일렉트릭 기타 브랜드}}}에 대한 내용은 [[Moollon]]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Moollon#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Moollon#|]]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KCM의 노래: }}}[[물론(KCM)]]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물론(KCM)#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물론(KCM)#|]]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일렉트릭 기타 브랜드: }}}[[Moollon]]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Moollon#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Moollon#|]]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주의점3. 영어 표현

1. 개요

. '논할 것도 없이'를 뜻하는 명사, 부사이다. "물론이다", "-는 물론이고", "물론," 식으로 쓰인다.

유의어로는 '당연히, 마땅히, 무론, 암만' 등이 있다.

일본어로는 같은 한자를 쓰며 もちろん(모치론)이라 읽는다. 좀 더 격식있게 쓰거나 강조를 할 때는 無論, むろん (무론)으로 읽는다.

순우리말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으나 한자어이다.

2. 주의점

누가 봐도 당연한 사실에 해당하지 않을 때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하는 사람에게야 당연한 소리일지 몰라도 듣는 사람에게는 낯설거나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나무위키에서 자주 보이는 부사어 중 하나인데, 그 이유는 세간의 중론에 기반하여 선행 문장을 부정하는 목적으로 쓰기에 좋기 때문이다. 가령 "누구누구는 이러이러한 일 때문에 재평가를 받고 있다." 라는 문장을 반박하고 싶은데, 그냥 다짜고짜 반박하면 어색하므로 "누구누구는 이러이러한 일 때문에 재평가를 받고 있다. 물론 그래봤자 누구누구는 악인일 뿐이다." 식으로 '선행 문장은 그런 이야기를 하긴 했지만, 세간의 중론은 이러이러하다' 라고 반박하는 것이다. 굳이 반박하려는 목적이 아니어도 상대가 으레 알고 있을 법한 내용을 첨언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이러한 목적에서 사용되는 '물론'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쓸데없이 쓰인다고는 할 수 없지만, 각종 의견들이 뒤섞이는 MPOV 환경의 본 위키에서 너무 많이 사용되는 감이 있다.

3. 영어 표현


영어로는 of course, sure이 한국어 '물론'에 해당하는데 약간 차이가 있다. of course는 우리가 알고 있는 긍정 100% 의 "물론이지!" 라면, sure는 별 생각 없거나 적당히 대답하거나, 심지어 비꼬듯이 말하는 "그래~" 정도의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