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keepall> {{{#!wiki style="margin:-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 | DN FREECS 2025 시즌 로스터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C50F1><colcolor=#fff> 총감독 | [[주영달|주영달 oDin ]] | |
로스터 | |||
철권 | C B M ]] | MeoIL ]] | |
ULSAN ]] | MulGold ]] | ||
스트리트 파이터 | Armperor ]] | }}}}}}}}} |
STL 시즌 파이널 우승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rowcolor=#f1f1f1> 시즌 | 게임 | 이름 | ID | 캐릭터 |
2017 S1 |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 손병문 | qudans | | |
2017 S2 |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 배재민 | 무릎 | | |
2017 S3 |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 배재민 | ROX | Knee | | |
2018 S1 |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 한재균 | MulGold | | |
2018 S2 |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 김지환 | Go_Attack | | |
2020 S1 |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 배재민 | ROX | KNEE | | |
2020 S2 |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 임수훈 | EQNX | ULSAN | | |
2020 S3 |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 윤선웅 | UYU | LowHigh | | |
2021 S1 |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 윤선웅 | UYU | LowHigh | | |
2021 S2 |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 윤선웅 | UYU | LowHigh | | |
2021 S3 |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 배재민 | 성남 ROX | KNEE | | |
2022 S1 |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 배재민 | DRX | KNEE | | |
2022 S2 |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 김지환 | GoAttack | | |
2022 S3 |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 배재민 | DRX | KNEE | | |
2023 S1 |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 임수훈 | KDF | ULSAN | | |
2023 S2 |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 배재민 | DRX | KNEE | | |
2023 S3 | 철권 7 페이티드 레트리뷰션 | 임수훈 | KDF | ULSAN | | |
2024 S1 | 철권 8 | 오대일 | KDF | Meo-IL | | |
2024 S2 | 철권 8 | 임수훈 | KDF | ULSAN | | |
2025 S1 | 철권 8 | 손병문 | Z10 | Qudans | |
| |
<colbgcolor=#0C50F1><colcolor=#fff> DN FREECS MulGold | |
한재균 (Han Jae-gyun) | |
출생 | 1998년 9월 1일 ([age(1998-09-01)]세) |
국적 | |
학력 | 경문고등학교 (졸업) 성균관대학교 사범대학 (휴학) |
병역 | 사회복무요원 소집해제 |
ID | Mulgold98[1], 물골드 MulGold[2] |
소속 | DN FREECS[3] (2024.03.08 ~) |
|
1. 개요
대한민국의 철권 프로게이머. DN FREECS 소속.2. 플레이 스타일
빠른 템포로 상대를 계속해서 압박하는 공격적인 스타일이 특징으로 '체계적으로 막 한다' 라는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 단순히 반응 속도를 비롯한 뛰어난 피지컬을 기반으로 기술을 마구 내밀며 체급으로 게임을 풀어나간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예리한 전략과 판단이 깔려 있기에 이러한 과감한 플레이도 가능한 것. 특히 컷킥, 내장뽑기, 기원권 등 최대한의 리턴을 뽑아낼 수 있는 콤보 시동기를 불리한 상황에 내밀어 체력 격차를 단숨에 좁히는데, 이러한 점에서 철권 8의 모토인 '어그레시브' 라는 단어에 걸맞는 스타일의 게이머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물골드의 면모가 가장 잘 드러나는 사례로 지금까지 공격적인 교전 위주의 스타일로 세계를 재패했던 파키스탄을 아부다비 Nations cup, COMBO BREAKER에서 한 수 위의 교전 능력으로 찍어누르며 매우 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랭크 매치뿐 아니라 아마추어 시절에도 대회에서 꾸준히 적지 않은 성과를 내었기에 프로게이머 입단을 바라는 의견들이 많았고, 그 기대에 부응하여 데뷔 시즌에 마스터 티어 TWT를 2회 우승하는 우수한 성과를 기록했다. 큰 규모의 국제 대회에서 유독 저점이 부각된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2025년 아부다비 Nations cup에서의 올킬, 에보 재팬 그랜드 파이널 진출, 콤보 브레이커의 우승 등 점차 국제 대회에서의 고점도 높아지고 있다. 더욱 무서운 점은 물골드의 나이는 98년생으로 격투 게임계에서 매우 젊은 축에 속하는 나이이기 때문에, 단점은 줄이고 장점은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지금보다 더욱 성장할 가능성이 충만하다는 것이다.
캐릭터폭에 대해서는 랭크 매치에서 기본적으로 다양한 캐릭터들을 최고 계급에 올려 놓을 정도로 다룰 수 있는 캐릭터는 많으며 실제로 철권 7에서는 클라우디오 이외에도 파쿰람, 그리고 고우키를 주력으로 사용한 매우 흔치 않은 선수였다. 고우키는 소위 '2D식'이라 불리는 높은 입문 난이도와 아티프 버트의 등장 이후 '저렇게 하지 못하면 하지 않는 것만 못하다' 라는 여론이 프로 선수들 사이에서도 중론이 됐는데, 물골드는 그 어렵다는 시도를 실제로 해낸 것. 다만 8에서는 클라우디오, 가끔 펭이나 알리사와 드라를 꺼내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2.1. 클라우디오 세라피노
특히 클라우디오 세라피노에 대해서는 독보적인 숙련도를 자랑하는데, 클라우디오의 주력 기술인 컷킥, 번너클, 디스펠의 활용이 특히 돋보인다.컷킥은 물골드를 상대할 때는 컷킥을 조심하라는 말까지 돌 정도로 불리한 프레임에 역심리로 사용할 때의 적중률이 매우 높은데, 이 때문에 상대는 컷킥을 과하게 의식하여 주도권을 내주고 물골드의 운영에 말리게 된다.
번 너클로 알려진 이라도 노비의 근썰트처럼 빠르게 사용하는 근너클 성공률이 매우 높으며, 상단 기술임에도 연속 2번 3번 쓰는데도 상대방은 감히 앉지를 못한다. 결국 가드를 굳히게 되는데, 가드 시에도 프레임 이득이 크다보니 상대가 정신차려보면 벽에 가있거나 갉아먹혀 레이지가 켜있게 된다. 이라가 벽비틀기 시스템이 배정된 5.00 패치에서 물골드의 주가는 더욱 오르게 되었다.
클라우디오의 진군으로 불리는 디스펠 매직에 대해서도 뛰어난 적중률을 자랑하여 상대가 이라를 쉽게 앉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에 보고 때리기 논쟁을 일으키기도 했다. 디스펠이 보고 때리기가 쉽다고 하지만 어느 정도 1타를 맞추기 위해 노리고 썼을 때 얘기다. 반면 물골드는 왼어퍼 깔듯이 1타를 깔면서 예상치 못하게 히트하는 상황에서도 칼같이 이어 누르는 게 일품. 실제로 수많은 프로 및 천상계 유저들이 저렇게 보고 쓰는 건 매우 힘들다고 언급한 바 있다.
막히면 죽는다는 더블어퍼 2타 (가드시 -15)의 히트율도 높다. 클라우디오 더블어퍼의 경우 1타와 2타 사이에 딜레이를 줄 수 없어 지른다는 뜻인데 데스나 대회를 막론하고 높은 적중률을 보인다.
콤보 실력도 최대한의 효율을 뽑아내는데 벽몰이는 기본이며 높벽꽝까지 계산하고 최대한의 대미지, 후상황을 챙겨가는 콤보를 매번 사용하며 위에 언급된 디스펠 매직으로 벽꽝을 시키다가 각도가 애매한 경우엔 대시 원잽 등을 통해서 축을 맞추며 벽돌리는 콤보도 예술적이다.
시즌 2에서는 클라우디오의 신기술인 66LK RP의 홀드 심리전으로 자신보다 체급이 낮은 상대는 이 홀드 심리전만으로도 게임을 터뜨려버리는 악마같은 벽공방을 자랑하고 있다. 홀드 심리전이 하향된 이후로 과연 계속 사용할지 여부가 주목됐는데, second wind, EWC에서 랑추, 아티프 버트 등 수준 높은 선수들도 홀드 심리전에 무너져 여전히 좋은 기술임을 보여주었다.
3. 활약상
철권 태그 토너먼트 2 시절에 라스와 진파치로 파랑단을 달성한 경력이 있고 정인게임장에서 주로 활동하였다.3.1. 철권 7
철권 7이 나오자 주캐릭터를 클라우디오 세라피노로 정하고 매우 유명해진 유저. 시즌 2에서는 클라우디오로 세계 최초 테켄 갓 프라임 승단에 성공했다.2019년 현재 국내에서 유명한 클라우디오 사용 유저인 빵쟁이, 곰엄마와 같은 유저들도 있지만 국내뿐 아니라 세계에서도 톱 레벨의 클라우디오라 하면 한국의 물골드를 가리킨다. 북미의 가장 강력하다고 평가받는 클라우디오 유저인 Shadow 20z가 주로 참고하는 유저가 물골드이기도 하다.
로하이, 랑추와 함께 대회에 자주 나왔으며 고단으로 갈수록 좋은 평가를 받지 않는 클라우디오를 사용하면서도 매우 강력한 모습과 많은 인상적인 활약을 보였다. 특히 어린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프로 선수들과도 대등한 승부를 보이며 아케이드 시절부터 울산과 더불어 신성으로 주목받았다.
데스매치에서도 아케이드 시절에 보라단(엠퍼러 혹은 테켄 킹)[6]을 달성하는 등 데스매치와 대회 가릴 것 없이 높은 실력을 보였다.
특히나 무릎의 아프리카 후원 대회인 Tekken Stars Cup에서 로하이, 랑추와 같이 팀을 편성해서 우승 준우승을 기록했다.
2019년 말에는 상술했던 물골드의 플레이를 자주 참고한다는 북미의 클라우디오/자피나 고수 shadow 20z와 5선 게임을 진행, 5:1로 승리하였다.
2020년 5월 16일 아빠킹이 처음으로 개최한 야식크래쉬 팀전에서 눈부신 활약을 보여줬는데, 특히 결승전에서 무릎, 샤넬, 연아랑으로 구성된 ROX 인재 발굴 프로젝트 팀을 무려 6:0으로 올킬해버리는 모습을 보였다. 이날 경기 내내 높은 타율을 보인 디스펠 매직과 베니싱 스톰, 그리고 횡이동으로 상대의 기술을 피한 후의 더블어퍼 딜레이 캐치가 주요 승리 요인. 파캄람의 카운터는 클라우디오가 아니냐는 말이 돌 정도로 대회 전부터 이날 경기까지 파캄람을 완전히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중.
2020년 9월 28일 ATL 시즌2 파이널에는 LCQ 우승자 자격으로 올라와서 잡다캐릭, 머일을 잡아내는 등 좋은 활약을 했지만 로하이에게 패배했다. 하지만 4등이라는 좋은 성적으로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파쿰람 스티브 기스 등 각종 OP캐릭들이 난무하는 철권 최상위 리그에서 클라우디오라는 장인형 조커픽이 충분히 통할 수 있는 것도 함께 입증했다.
시즌 3 말기부터는 클라우디오 외 파쿰람도 사용하고 있으며, 오히려 최근에는 클라우디오보다 파캄람이 주캐로 느껴질 정도로 중요한 순간에는 파쿰람을 사용하고 있다.
ATL에서는 시즌 경기보다 LCQ에서 강한 모습을 보여줬는데, 시즌1,2,3 LCQ에 모두 참가, 시즌2 LCQ에서 우승하여 FINAL에 참가했으며, 시즌3 LCQ에서는 준우승. GRAND FINAL로 가는 관문인 LCQ에서 승자조에서 단 한차례의 패배도 없이 녹단라스, 크레이지동팔, 샤넬, 레우기, 꼬꼬마를 이기며 ATL GRAND FINAL에 진출했다.
이렇듯 계속해서 좋은 행보를 보였으나 2021년 시즌에는 ATL에 불참했는데, 그 이유가 8월 12일에 병역의 의무, 즉 입대였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단, 사회복무요원으로 활동 중이기 때문에 대회 참가만 제한될 뿐 여전히 랭크 매치는 돌리는 중으로, 최고 계급인 테켄 갓 오메가를 여러 개 보유하고 있다.
그러던 도중 1월 랭크 매치에서 만난 무릎과 테켄 갓 오메가 데스를 했는데, 연속해서 폭탄을 터뜨리며 전 캐릭터 오메가 달성 이후로 데스해서 패배한 적이 없던 무릎을 처음으로 이기는 사람이 등장하는게 아니냐는 기대감을 심어주었지만 무릎 역시 뒷심을 발휘하며 점수를 따라잡았고, 결국 제대로 된 결과를 내지 못한 채 종료되었다. 다음날 이어진 데스에서는 4:12로 패배하여 강등되었다.
2022년 10월 24일 소집해제되었다.
2023년 1월 14~15일 이틀간 열린 국회의장배 개인전에서 3위, 팀전에서 우승이라는 높은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팀전에서는 타케, 노비, 치쿠린, 치리치리 등 일본의 프로 선수들을 상대로 홀로 6승을 거두며 한국팀 승리에 큰 기여를 하였다.
3.2. 철권 8
3.2.1. 2024년
2024년 2월 4일 철권 8 최초의 테켄 갓을 기록했다.2024년 3월 8일, 광동 프릭스에 입단했다. #
2024년 4월 27일 EVO Japan 2024에 참가, Round 3에서 울산을 꺾고 24강에 승자조로 진출했으나 로하이에게 패배하고 패자조에서 더블에게 패배해 탈락했다.
2024년 5월 31일부터 6월 2일까지 3일간 열린 드림핵 달라스에 참여하였다. 파키스탄의 젊은 강자인 파진을 패자조로 보내고 아슬란 애쉬를 탈락시키는 등 선전하였으나 최종 4위로 마무리지었다. 하지만 8강에 들어가며 2024년 사우디 이스포츠 월드컵 진출권 획득에 성공하였다.
2024년 6월 8일부터 6월 9일까지 양일간에 걸친 TWT 마스터급의 ATL 슈퍼 토너먼트에서 승자조 결승에서 울산을 상대로 승리, 이후 패자조 결승에서 다시 올라온 울산을 상대로 승리하여 우승하였다.
2024년 6월 22일 TWT 챌린저급 대회인 Only The Best에 참가, 1일차 예선에서 Skydan, Raziel, Seekuh, Shirdel에게 승리하여 승자조로 16강 진출, 테츠와의 클라우디오 미러전에서 승리해 8강에 진출했다. 2일차 8강 승자조에서 울산에게 패배, 패자조에서 다니엘 마도, 테츠, 울산에게 승리하며 최종 결승에 진출했으나 알리사를 꺼내든 아슬란 애쉬를 상대로 1:3으로 패배해 준우승으로 마무리했다.
상반기 행적을 요약하면 그동안 괜히 한국의 철권 팬들이 프로게이머가 되었으면 좋겠다고 염원한 것이 아니라는 듯 데뷔 초창기 ATL 리그에서는 아쉬운 모습을 보였으나 TWT가 열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마스터 티어 대회의 우승을 차지함과 동시에 3연속 결승 진출을 기록할 정도로 최상위권 선수로 단번에 자리잡았다. 이를 증명하듯 6월 24일 기준 샤넬을 제치고 TWT 랭킹에서 1330점으로 1위를 기록했다. 이러한 절정에 달한 폼과 기량 덕분에 EVO 2024에서도 뛰어난 활약을 펼칠 것이라는 예상도 많은 편이다.
그러나 7월 20일 에보에서는 2일차 TOP 192에서 K-WISS에게 패배, 패자조에서 무릎에게 패배하여 TWT 랭킹 1위를 기록하며 강력한 우승 후보로 평가 받았으나 한국 선수들 중 가장 먼저 탈락하는 이변을 낳았다.
7월 27일에는 말레이시아 FV Major에 참가, TOP 32 승자조에서 더 존에게 패배, 패자조에서 ZABA, 체리베리망고에게 승리했으나 다우드에게 1:2로 패배하며 탈락, TOP8 진출에 실패했다.
8월 16일 TWT 2024 VSFighting XII에 참가, 승자조에서 단 한번도 패배하지 않은채 승자조 결승에 진출했고, 이번 대회 최고의 다크 호스[7]인 KingReyjr에게 3:2로 승리하여 최종 결승전에 진출. KingReyjr을 상대로 다시 한번 3:2로 승리를 거두며 우승했다.
이번 대회의 우승으로 물골드는 데뷔 첫 시즌에 두 번의 마스터 티어 대회 우승을 거뒀으며, 1990 포인트를 기록하며 다시 TWT 랭킹 1위를 탈환했다. 또한 클라우디오를 대신하여 사용할 안정적인 서브 캐릭터로 펭 웨이를 찾은 것도 긍정적인 성과.
EWC 2024에서는 페이즈 1에 D조에 무릎, 야가미, 우사마 아바시와 배정되었다. 1차전에서 야가미에게 패배, 패자조에서 우사마에게 패배해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공교롭게도 지난 에보에 이어 TWT 랭킹 1위를 갱신하고 출전한 큰 대회에서 예상치 못한 탈락을 당하게 되었다.
STL AUTUMN 토너먼트에서는 보히, 밍꾸999, opat, 아이뮤지션, 세인트, PTJ, 승자조 결승에서 머일, 최종 결승에서 울산에게 승리하여 우승했다. EWC의 우승을 거둔 울산의 첫 복귀 대회에서 울산을 이기고 우승하며 울산과 자신이 현재 한국 최강의 게이머임을 증명한 대회가 되었다.
마지막 TWT인 타이거 어퍼컷에서는 일본의 펭 유저인 마츠바에게 패배해 일찍 패자조로 떨어졌으나 패자조 TOP48에서 슈터, 킹 레이 주니어, 야가미, 꼬꼬마, CBM, 아슬란에게 승리, 울산에게 패배해 5위를 기록했다.
TWT 시즌의 행적을 요약하면 프로로 데뷔한 첫 시즌만에 TWT 랭킹 3위를 달성하며 명실상부 세계 최상위권의 게이머가 되었다. 다만 아직 국제 대회의 경험 문제인지 EVO, EWC 등 큰 대회에서 뜻밖의 탈락을 겪는 빈도가 의외로 잦다는 점에서 이러한 기복을 파이널까지 잘 다듬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12월 5일 치러진 TWT 2024 Final 글로벌 그룹 스테이지에서 B조를 선택했고 더 존, 조카, 섀도우 20z, 치쿠린과 한 조가 되었다. 첫 경기였던 더 존과의 대결에서 2:0으로 승리하고 조카와의 대결에서도 2:1로 승리했으나 섀도우 20z와의 대결에서 0:2로 패배, TOP 16 승자조 진출의 향방이 걸렸던 치쿠린과의 대결에서도 0:2로 패배하면서 섀도우, 조카와 2승 2패로 동률이 되었으나 세트 득실이 밀리며 결국 조 4위로 LCQ로 떨어지게 되었다.
LCQ에서는 TOP 32 승자조에서 엣지에게 펭으로 패배, 패자조에서 MR.NAPS에게 승리, 노비, 울산, AK에게 승리하고 엣지에게 알리사와 펭을 사용하여 2:2 5라운드까지 간 승부에서 패배하며 3위를 기록, 파이널 복귀에 실패했다.
STL 팀배틀 S2에서는 결승 진출전에서 엣지에게 패배했으나 나머지 두 선수인 꼬꼬마, 랑추에게는 압도적인 폼으로 승리를 거두었고, 결승에서도 좋은 활약을 보이며 S1과 달리 친정팀인 광동 프릭스를 상대로 우승을 차지하여 유종의 미를 거뒀다.
시즌을 총평하면 데뷔 시즌에 슈퍼 토너먼트 2회, 마스터 티어 2회 우승이라는 결코 적지 않은 기록을 세웠으나 하필 참가한 주요 대회에서 모두 저점이 터지며 용두사미로 마무리 지었다. 물론 데뷔 시즌에 이만한 성적을 거둔 프로 선수도 극히 드물기에 향후 커리어로 보여주는 것이 관건일 것이다.
3.2.2. 2025년
STL CHAMPHIONS에서는 신캐릭터인 클라이브를 사용, 그룹 스테이지에서 유일하게 클라이브의 장점을 살린 플레이로 top8에 진출했다. 로하이, 무릎에게 승리하고 승자조 결승에서 울산을 상대로 2세트를 선점하나 울산도 클라이브를 꺼내자 역으로 밀렸고, 패자조 결승에서는 다시 클라우디오를 사용했으나 망자의 조커픽인 리디아에게 막히며 3위를 기록했다.2025년 4월 18일~20일에 치러진 AbuDhabiGaming Nations Cup에 무릎, 로하이 선수와 함께 한국 대표로 출전하였다. 파키스탄을 상대로 한 최종 결승에서 본인의 상징 캐릭터인 클라우디오로, 파키스탄 선수(William, Atif Butt, Arslan Ash)를 올킬하여 우승을 확정짓고 대회 MVP로 선정되었다. 사진
2025 EVO JAPAN에서는 승자조 TOP8에서 무릎에게 패배, 패자조에서 울산, 핀야, 게임하는 망자에게 승리했으나 결승전에서 다시 만난 무릎에게 2세트를 선점하였으나 3세트를 연속으로 패배하며 준우승을 기록했다. 패자조에서 올라가는 과정에서 클라우디오의 신기술인 66LK RP의 홀드를 이용하여 벽압박을 굳히는 방식으로 승리를 챙겼는데, 무릎에게는 이러한 승리 패턴이 통하지 않으며 2세트를 따라잡혔고 또 다른 주력픽인 펭을 꺼냈으나 시즌 2의 신기술인 4RK 2타를 무릎이 횡신으로 파해하며 막혔다.
5월 24일~26일, 미국 시카고에서 개최된 TWT 마스터급 콤보 브레이커에 출전하였다. 1일차에선 전승으로 TOP 24에 진출하였다. TOP8 승자조에서 엣지와 아티프를 패자조로 보내고 승부조 파이널에선 EVO Japan 이후 1주일 만에 성사된 리벤지 매치에서 무릎을 꺾어 설욕전에 성공한다. 최종결승전의 아티프와의 재결전에선 파키스탄 킬러라는 별명에 걸맞게 브라켓 리셋을 내주지 않고 무난하게 우승을 차지하며 2019년 무릎의 우승 이후 6년만에 콤보 브레이커의 우승패를 다시 한국에 가져오는 쾌거를 이뤘다.
5월 31일, 호주 멜버른에서 열렸던 BAM 2025에도 참가하였는데 TOP 32까지 승자조로 진출했지만 아슬란에게 패하여 패자조로 떨어졌고 이후 아이뮤지션과 다니엘 마도를 차례대로 꺾었지만 TOP 8 진출 문턱에서 랑추에게 패하여 대회를 마무리한 동시에 2주 연속 우승에는 실패하였다.
상반기 행적을 요약하면 작년에는 한 수 아쉬웠던 국제전 커리어를 본격적으로 쌓아올리며 한국 철권의 새로운 상수로 자리잡았다. 가장 긍정적인 성과라면 그동안 마스터 티어 대회에서의 우승이야 거두었지만 에보 등 가장 티어가 높은 대회에서 유독 저점이 터져버리는게 문제였는데, 에보 재팬 결승 진출로 그러한 평가를 어느 정도 씻어내는데 성공했다. 특히 BAM부터서 CEO까지 파키스탄이 강세를 보이는 와중 파키스탄 킬러라는 별명이 생길 정도로 뛰어난 교전 능력을 보여준 물골드의 부재를 아쉬워하는 의견이 많았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주요 국제 대회에서도 활약상이 기대되는 선수다.
7월 13일, Second Wind에서는 디펜딩 챔피언 랑추를 승자조 결승에서 3:2로 꺾고 최종 결승에서 랑추에게 0:3으로 브래킷 리셋을 허용했으나 3:2로 우승에 성공했다. 이로써 TWT 글로벌 리더보드 랭킹 1위를 기록했는데, 작년에는 TWT 랭킹 1위를 갱신하고 EVO, EWC에서 미끄러지게 되어 올해는 징크스를 극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7월 26일 STL S1 FINAL에서는 그룹 스테이지에서 CBM, 엣지에게 승리. 27일 TOP8에서는 승자조에서 쿠단스, 패자조에서 빵쟁이에게 패배해 탈락했다. 공교롭게도 대회 결과를 보면 우승자와 준우승자에게 패배한 셈이 되었다.
EVO에서는 승자조 TOP 24에서 아슬란에게 패배, 패자조에서 비랄, 머일, 로하이에게 승리하고 아티프에게 패배해 4위를 기록했다. 비록 시즌 초반 쌓아온 파키스탄 킬러라는 이미지는 다소 퇴색되었지만 참가한 한국 선수들 중 가장 높은 성적을 거두었다.
2025 EWC에서는 죽음의 조로 평가받는 H조에 배정되었으나 하피즈, 누만을 전부 꺾고 페이즈 2에 진출, 페이즈 2에서 아티프에게 승리하고 승자전에서 로하이에게 패배, 패자조에서 아티프를 또 한 번 꺾으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아티프를 이기고 강렬한 세레머니를 했는데, 친 파키스탄성 해설로 악명 높은 SPAG의 도발과 파키스탄 팬덤의 악질적인 응원이라는 뒷배경이 알려지며 그럴만 했다는 반응이 많다.#[8] 플레이오프에서는 CBM에게 패배해 탈락했다.
Tekken nexus에서는 second wind에 이어 다시 한 번 랑추를 결승전에서 꺾으며 우승했다. 이로써 TWT 글로벌 리더보드 순위를 2위까지 올리며 TOP 4 순위권을 굳히고 있다.
4. 주요 대회 성적
이하는 국내외 주요 대회 출전 성적이다. 팀전 대회는 TM 부호와 팀원을 병기하였다.- 2015년 한국대표선발전 학생부 우승
- Tekken Stars Cup 1 준우승
- Tekken Stars Cup 8 우승
- Tekken Stars Cup 9 우승
- Tekken Stars Cup 12 우승
- Tekken Stars Cup 13 우승
- Tekken Stars Cup 15 3위
- 2017 ATL Season 1 7위
- 2018 ATL Season 1 우승
- 2018 Japan Master Cup 10 준우승
- 2019 Rox n Roll Tekken World Tour [Master급] 13위
- 2019 Afreeca 고인물게임대회 철권태그2 부문 우승
- Tekken Stars Cup 17 준우승
- TWT(Dojo 96+) – Seoul Fight Night 3위
- 제1회 야식크래쉬 팀전TM 우승
- Fighters SPIRIT 2022 우승
- ATL HOT6 Cup 2 우승
- 2022.12.31 Tekken Stars Cup 우승
- 제1회 국회의장배 e스포츠 철권 대회 개인전 3위
- 제1회 국회의장배 e스포츠 철권 대회 한일대항 팀전 우승
- 2023 ATL Season 1 LCQ 우승
- 2023 EVO Japan 7위
- 2023.5.13 LG OLED 10주년기념 금성전파사 철권배틀 우승
- 2023 ATL Season 3 파이널 3위
- 2023 ATL Super Tournament Autumn 준우승
- FIGHTERS SPIRIT 2023 TEKKEN7 우승
- 2023 ATL GRAND FINAL 3위
- 2024년
- TWT(Master+) – EVO Japan 2024 Tekken 7 9위[9]
- TWT(Master) – COMBO BREAKER 2024 Tekken 7 9위
- 2024 DreamHack Dallas 4위
- TWT – ATL Super Tournament Summer 2024 우승
- TWT(Dojo) – DreamHack Summer 2024 준우승
- TWT – Only The Best 2024 준우승
- TWT – VSFighting XII 2024 우승
- TWT – STL Super Tournament Autumn 2024 우승
- SOOP Tekken League 2024 Season2 DAY2 준우승
- 2024 STL CHAMPIONS 3위[10]
- 2025년
- Abu Dhabi Gaming Nations CupTM 대한민국팀[11] 우승
- TWT(Master+) – EVO Japan 2025 Tekken 8 준우승
- TWT(Master) – COMBO BREAKER 2025 Tekken 8 우승
- 2025 SOOP Tekken League Season1 DAY2 우승
- TWT(Challenger) SECOND WIND 2025 우승
- TWT(Master+) – EVO 2025 Tekken 8 4위
- TWT(Dojo) ACE CUP TWT2025 DOJO Vol.3 우승
- TWT(Challenger) TEKKEN NEXUS 2025 우승
- TWT(Dojo) 2025 ROX3CUP 鉄拳8 준우승
- TWT(Dojo) 大阪ZERO DOJO#3 우승
5. 여담
- 소위 무로울로 불리는 무릎, 로하이, 울산에게 모두 상대 승률이 밀리는 편이다. 특히 로하이의 경우는 로하이가 자주 팀원으로 섭외하던 멤버라 더 잘 알기 때문인지 승률이 더 적은 편. 무릎 역시 장기전같은 데스에서는 무적이라서 계급이 많이 떨어졌고 대회에서도 밀리는 편이다. 울산과는 입대 전부터 대결마다 열세였으며 전역 후에도 여전히 울산에게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물론, 이 셋을 상대로 승률이 앞서는 선수 자체가 거의 없기도 한것을 감안해야 한다. 다만 철권 8로 시리즈가 넘어온 동시에 광동 입단 후에는 무릎 정도를 제외하면[12] 상성관계를 따지는 것이 무의미할 정도로 대다수의 프로 선수들에게 우위를 점하고 있다.
- 파키스탄 킬러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파키스탄의 프로 선수들을 상대로 뛰어난 전적을 내고 있는 중이다. 특히 이런 상대 전적이 부각되는 상대는 파키스탄의 최강자 중 한 명인 아티프 버트. 2025 EWC를 기준으로 최근 대 아티프 전적 5 : 1을 기록할 정도로 뚜렷한 우세를 보이는 중이다. 같은 팀의 울산 선수와 더불어 파키스탄 킬러라는 별명을 가진 유이한 한국 선수다.
- 성균관대학교에 재학 중이다. 이 때문인지 커뮤니티에서는 물골드의 프로 데뷔를 바라는 의견이 많음에도 학력도 좋은 사람이 굳이 이 판에 들어올 이유가 있겠냐는 식의[13] 문답이 자주 이루어지며 그럼에도 프로게이머를 안 하기에는 아쉬운 실력이었기에 우리들의 유흥을 위해서 프로게이머를 해달라는 드립이 달리곤 했다. 결국 2024년 실제로 프로게이머로 데뷔했다. 그리고 ATL 슈퍼 토너먼트 우승 후 그간 수 많은 사람들이 염원했던 말인 물골드 프로 해라라는 제목으로 후기를 올렸다.
[1] 철권7 FR에서 사용하는 닉네임이다.[2] 프로 데뷔 이후 사용하는 정식 아이디.[3] 팀명 변경: KWANGDONG FREECS → DN FREECS, 2024년 12월 26일[4] 게임하는망자 말구 와의 친분 때문인지 트위치 닉네임을 '먈규' 로 쓰고 있다 게임하는망자의 트위치 채널에 자주 나타난다 오늘 떡밥 뭔가요[5] 역시 개인적인 친분이 있는지 오대일 의 닉네임을 도용한 닉네임을 쓰고 있었다(...)[6] 한국은 계급이 없어 일본 원정을 가서 일본 최강의 에디 골드인 GON을 격파하고 올라갔다.[7] 더블, 게임하는 망자를 모두 패자조로 보냈으며 라에프에게 압승을 거둠과 동시에 물골드와도 팽팽한 승부를 벌였고, 패자조 결승에서 꼬꼬마에게 3:1로 승리했다.[8] 다만 상대인 아티프에는 악감정이 없고 오히려 아티프는 매너가 좋다.[9] KDF 입단 및 프로 데뷔 후 첫 대회.[10] DNF 게임단 명의 변경 후 첫 대회.[11] DNF 물골드, DRX 무릎, DRX 로하이[12] 무릎이 폼이 좋지 않았던 2024 EVO에서조차 물골드를 떨어뜨렸다.[13] 물론 일본의 토키도, G, 미국의 스피드킥, 크리스CCH, 네퓨 등 명문대, 엘리트 커리어를 쌓은 사람들이 격투 게임 프로게이머를 하는 사례도 있다. 다만 2020년대에 접어들며 철권 e스포츠가 워낙 상금풀이 적다보니 굳이? 라는 답이 먼저 나오게 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