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4 15:48:55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몬크메르어족에서 넘어옴
오스트로아시아계 민족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민족
비엣족 ( 징족 ) | 크메르인 | 몬족 | 문다인 | 오랑 아슬리 | 니코바르인 | 크무족 | 므엉족 | 바나족 | 와족 | 포랑족 | 덕앙족 | 페아르족 | 카시족 | 쯧족 | 까뚜족 | 망족 | 브라우족 | 브루족 | 써당족 | 흐레족 | 꺼호족 | 므농족 | 스띠엥족
<colbgcolor=#032da1>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자치지역 및 다수 거주지 파일:메갈라야.png 메갈라야 | 파일:안다만 니코바르 제도.png 니코바르 제도 | 파일:미얀마 몬주기.svg 몬주 | 파일:Flag_of_Wa_State.svg.png 와주
국가 및 지역
언어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신화 베트남 신화 | 캄보디아 신화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Austroasiatic Languages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letter-spacing: -0.5px;"
베트남어파 비에트므엉어군 베트남어 · 므엉어 · 응우온어
퐁-리하어군 퐁어 · 뚜온어 · 리하어
쯧어군 쯧어 · 아렘어
쿠오이어군 쿠오이어
크리어군 크리어 · 타븡어
까뚜어파 서부 까뚜어군 쿠이어 · 브루어
타오이어군 타오이어
파코어군 파코어
까뚜어군 까뚜어 · 푸옹어
크무어파 크무어군 크무어
믈라브리어군 믈라브리어
파이프람어군 파이어 · 퐁크니앙어
망어파 망어
파칸어파 볼류어 · 파칸어
크메르어파 크메르어
페아르어파 페아르어군 페아르어
총어군 총어 · 삼레어 · 카송어 · 수오이어
카시팔라웅어파 카시어군 카시어 · 와르어 · 프나르어
몬어파 몬어 · 냐쿠르어
팔라웅어군 푸만어
문다어파 북부 문다어군코르쿠어 · 호어 · 헤르와리아어 · 산탈리어
남부 문다어군 코르풋 문다어
아슬리 제어
니코바르어파 차우라테레사어군 차우라어 · 테레사어
중부 니코바르어군난코우리어 · 카모르타어 · 카찰어
남부 니코바르어군카르어 · 숌펜어
바나르어파 북부 바나르어군 제어 · 할랑어 · 카용어 · 모놈어 · 토드라어 · 바나르어 · 흐레어 · 카투아어
서부 바나르어군 라비어 · 냐헤운어 · 사푸안어 · 오이어 · 브라오어
중부 바나르어군 알락어 · 찌엉어 · 탐푸안어
동부 바나르어군 쿠아어
남부 바나르어군 꼬호어 · 므농어 · 멜카논어 · 트몬어
}}}}}}}}}

1. 개요2. 분류3. 기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80px-Se_asia_lang_map.png
[1]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역사
추정상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오늘날 현재의 중국 남부 지역에서 25000년에서 15000년 경에 처음 출현한것으로 보이며 이후 오늘날 인도차이나 반도로 남하한것으로 보인다. 또한 남하하는 과정에서 인도차이나 반도의 선주민인 네그리토 계열 민족들과 혈통적으로 혼혈된것으로 보인다.

1. 개요

베트남어, 크메르어 등을 포함하고 있는 동남아시아어족. 남아시아어족이라고도 한다.[2] 이외에 몬어 등을 포함하고 있다.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베트남어 등의 베트남어파와 우어[3] 등의 팔라웅어군 언어를 제외하면 대부분 성조가 없는 언어들이다. 유독 베트남어에 성조가 많이 존재하는 이유는 베트남 북부 지역이 오랫동안 중국의 강한 영향 아래에 있었기 때문이다.[4]

2. 분류

일반적으로 베트남어파(Vietic), 크메르어파, 카시팔라웅어파(Khasi-Palaungic), 문다어파, 몬어파, 아슬리 제어 등으로 나뉜다. 주요한 특징으로 많은 고유어 형태소가 강세 등이 붙는 일반적인 주음절에, 강세가 없고 단순한 모음(주로 슈와)이 있거나 모음이 없고 자음만으로 이루어진 부음절이 붙은 것으로 구성되는 1½음절 패턴(sesquisyllabic pattern)이 있다. 여러 언어에서 접요사가 존재하고, 성조는 크게 발달하지 않았다. 사용자 수로는 베트남어가 괄목할 만한 다수를 보이지만, 정작 베트남어는 단음절 형태소가 많고, 다른 오스트로아시아어족에는 대부분 없는 성조가 존재한다.

과거에는 베트남어를 오스트로아시아어족으로 보지 않는 의견도 있었으나, 연구가 계속 진행되면서 몬어, 크메르어 등과 유사한 점이 많이 발견되어 1940년대 이후로는 확실히 오스트로아시아어족으로 분류되고 있다. 단, 과거에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이라는 분류가 확실히 정립되지는 않았고 '몬크메르어족'이라는 분류가 빈번히 쓰였다. 이에 따라 베트남어는 몬크메르어족 내지 몬크메르어파(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하위 어파로서)의 하위 언어로 분류되었다.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은 기존의 몬크메르어족(파)에 문다어파를 덧붙이고 베트남어파를 몬어파 및 크메르어와 분리하여 성립되었다.

음절 성조, 단음절 형태소 등 베트남어의 이질적 특성은 과거 베트남어 화자들이 다른 언어 화자들과 교류하면서 주변의 언어들과 언어동조대를 이루었고, 이에 따라 성조 분화(tone split) 및 부음절 소실 등의 현상이 발생해 생겨났다고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증거로 베트남어와 같은 베트남어파에 속하는 아렘어(Arem language)를 포함한 여러 언어는 1½음절 패턴을 포함한 전형적인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특성을 보인다. 다만 같은 베트남어파에 속하는 므엉(Mường)어, 쿠오이(Cuối)어 등은 베트남어의 이질적 특성을 공유하며, 쿠오이어는 베트남어의 6성조보다 많은 8성조 체계이다.

사용자가 많은 베트남어크메르어형태론이 꽤 단순한 편인데, 모든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가 그렇지는 않다. 가령 인도 동부의 메갈라야주를 중심으로 약 1백만 명의 사용자가 있는 카시어는 명사와 동사 형태론에서 상당히 정교한 접두사접요사의 체계를 갖추고 있고, 명사를 4개의 문법적 성(남성 단수, 여성 단수, 지소성diminutive 단수, 복수)으로 분류하여 성에 따라 명사에 각기 다른 접사를 사용한다.

3. 기타

오스트로시아어족과 오스트로시아어족은 엄연히 다른 어족이다. 다만 역사적인 사료들을 언어학적으로 비교, 분석해본바로는 고대의 중국 남부에서 화자가 많았으리라는 추측이 있으며, 두 어족이 같은 뿌리를 가진다는 '오스트로어족' 가설은 존재한다.

오스트로시아어족에는 상술한 것처럼 베트남어크메르어, 몬어 등이 속하고, 오스트로시아어족에는 마인어, 자바어, 타갈로그어(필리핀어), 마오리어 등이 속한다. 참고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도 대부분 성조가 없는 언어들이고, 마인어, 자바어, 타갈로그어, 마오리어는 모두 성조가 없다.


[1] 지도 출처: 위키미디어 공용[2] Austro-가 라틴어로 남쪽을 뜻한다.[3] 4개 성조가 있다.[4] Tonal Features and the Development of Vietnamese To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