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불을 놓고있는 미국의 소방대원 |
1. 화재시 불의 진행을 막기 위하여 일부러 화재를 일으키는 일
You wanna put out an oil fire, Sir, you set off a bigger explosion right next to it. Sucks away the oxygen. Snuffs the flame.
장군님, 불을 끄기 위해서는 근처에 더 큰 폭발이 필요합니다. 산소를 없애버리면 불이 꺼지는 거죠.
프라이스 대위
Backfire장군님, 불을 끄기 위해서는 근처에 더 큰 폭발이 필요합니다. 산소를 없애버리면 불이 꺼지는 거죠.
프라이스 대위
산불과 같은 대형 화재시 진화 방법 중 하나로, 일종의 제거소화다.
불이 연소되기 위한 연소의 3요소로 산소, 열, 그리고 가연물이 필요한데, 맞불은 불의 진행 방향에 불을 놓아 가연물이 될 수 있는 물질을 미리 태워 없애버려서 진행되던 불이 더 이상 번질 수 없게 하는 방식으로 불길을 제압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인 원리는 두 개의 불은 가까이 있으면 사이에 있는 공기는 뜨거워져 상승하게 되고 그 때문에 기압이 떨어진다. 저기압은 주변의 공기를 끌어들임으로서 양 불이 서로 다가가게 된다. 하지만 외풍이 거셀 때는 의미가 없다.
풍향이나 면적 등을 계산해서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하는 진화 방법으로, 맞불을 잘못 놓았다간 기존의 불에 맞불로 붙혔던 불까지 가세되어 오히려 맞불을 놓지 않았을 때보다 피해가 더 커질 수도 있다. 불과 불은 만나면 합연산이 아닌 곱연산으로 화력이 증폭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일반적인 화재와 다르게 유전/가스전 등에서는 가연물을 제거하기가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맞불로 폭발물을 사용해 산소를 태워서 진화를 한다. 걸프전 당시 이라크군이 후퇴하며 불을 지른 유정에 다이너마이트를 터뜨려 진화를 하기도 했으며 1966년도에는 우즈베키스탄의 메탄가스정 화재가 너무 커서 원자폭탄으로 맞불을 놔서 진화하기도 했다.
2. 어떤 사건에 대응하기 위해 역으로 일으키는 사건
어떤 이슈나 특정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그에 대응 또는 견줄 만한 상황을 일으키는 것을 맞불을 놓는다고 부른다.원래는 "맞불 작전"이라는 결합 단어로 관용어처럼 사용되고 있었으나, 서로 비등한 이슈를 가지고 다투는 모양새를 가리켜 작전이란 단어를 뺀 채 "맞불을 놓는다."고 비꼬기 시작한 데서 맞불이란 단어가 널리 사용되었다.
대개 특정 단체나 인신에 대한 언어적/정신적/사회 명예적인 공격이 가해졌을 때, 이에 대한 앙갚음 및 공식적인 이슈화를 위해 상대방의 공격에 비등한 다른 이슈거리를 들고 와 공격자를 역으로 공격할 때 쓴다. 이 때 서로 이슈거리가 비등해지는 등의 조건이 맞아떨어지면, 어느 정도 떡밥이 생성되어 다른 유저들도 같이 활활 타오르다가, 다른 이슈가 터지면 훅 사그러드는 식으로 그 흐름이 흘러간다. 다만 1번과는 다르게 이슈거리가
이슈에 대해 맞불을 놓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필요한데, 첫째는 공격자의 약점이 필요하고, 둘째는 그 약점이자 이슈거리가 자신이 받은 피해와 비등한 조건이어야 하며, 셋째는 그 이슈가 지나치게 크지도, 지나치게 작지도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공격자에게 맞불을 놓는다는 명분이 성립되고, 공격자가 제시한 이슈에 잡아먹히지 않게 되며, 이슈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사람[1]의 인상에 깊게 남아있지 않은 이슈의 경우 해당 이슈를 잠재우거나 다른 이슈로 물타기할 방도가 마련된다.
다만 맞불을 놓아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은 그다지 추천되지 않는 방식이다. 왜냐면 자신의 사과로 끝날 수 있는 일을 지기 싫어서, 혹은 사과할 수가 없는 인신상의 문제라서 분쟁으로 발전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인데, 같은 사회 안에서 화합 혹은 눈팅, 방관을 중시하는 대부분 사람들의 성향 상 팝콘과 같은 형태로 흘러가게 된다. 결국에는 몇몇 이 이슈에 자의적으로 탑승하거나 부득이하게 끌려간 관계자를 제외하고 그들만의 싸움으로 변질되며, 최후에는 사회 안에서 도긴개긴이란 취급을 받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다.
또한 몇몇 사회적 이슈에서 확인할 수 있다시피 맞불로 이슈가 진화되지 않고 오히려 번지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해서 놓아야 하는 불인 셈.
[1] 인터넷 유저, 업계 관계자, 관련 공직자 등 이슈에 따라 그 관련되어 있는 사람이 천차만별로 달라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