阨 막힐 액, 좁을 애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阜,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7획 |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アイ, ヤク | ||||||
일본어 훈독 | くる-しむ, せま-い, ふさ-がる | ||||||
厄 | |||||||
표준 중국어 | è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阨은 '막힐 액' 또는 '좁을 애'라는 한자로, '막히다' 또는 '좁다' 등을 뜻한다.2. 상세
뜻을 나타내는 阜(언덕 부)와 소리를 나타내는 厄(액 액)이 합쳐진 형성자이다.유니코드에는 U+9628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NLMSU(弓中一尸山)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이체자
- 阸(U+9638)
5. 유의자
- 막히다
- 梗(줄기/막힐 경)
- 𦇙[⿰糸舉](막힐 거)
- 掯(막힐 긍)
- 坉(막힐 둔)
- 否(막힐 비)
- 塞(막힐 색, 변방 새)
- 惾(막힐 수/종)
- 咉(막힐 앙)
- 邕/廱(막힐 옹)
- 苑(막힐 울)
- 濡(젖을/막힐 유)
- 陻(막을/막힐 인)
- 嵮(막힐 전)
- 阻(막힐 조)
- 窒(막힐 질)
- 滯(막힐 체)
- 좁다
6. 상대자
- 좁다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 砈(돌모양 나)
- 伌(곤할 애)
- 呃(볼멘소리 애, 닭소리 액)
- 𩚚[⿰𩙿厄](굶을 액)
- 軛/𦷖[⿰草厄]/𩉴[⿰革厄](멍에 액)
- 𧦠(새우는소리 액)
- 扼(잡을 액)
- 蚅(콩망아지 액)
- 䝈/𤜸[⿰犭厄](큰돼지 액)
- 𩵡[⿰魚厄](물고기이름 와)
- 𡛖[⿰女厄](예쁠 와)[1]
- 枙(옹이 와)
- 鈪(액)
- 𭅻[⿰危厄]
- 𱛉[⿰山厄]
- 𣲣[⿰氵厄]
- 𭜒[⿰忄厄]
- 𰠪[⿰牛厄]
- 𱭣[⿰牙厄]
- 𦙜[⿰⺼厄]
- 𥝂[⿰禺厄]
- 𬡉[⿰衤厄]
- 𧣂[⿰角厄]
- 𮛊[⿰𧾷厄]
- 𮜯[⿰身厄]
- 𬪾[⿰重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