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마우 항쟁
1. 개요
케냐의 독립 운동 중 가장 격렬했던 무장 저항 운동. 1952년부터 1960년까지 영국 식민 정부에 맞서 키쿠유족을 중심으로 전개된 반식민 저항 투쟁이다. 게릴라전, 정치 선전, 대중 조직 활동 등이 복합적으로 진행되었으며,케냐의 독립 여정을 상징하는 사건이다.마우마우 항쟁(Mau Mau Uprising)은 주로 키쿠유족, 엠부족, 메루족등 중앙 고지대 민족 집단들에 의해서 전개되었다.
2. 명칭
"마우마우(Mau Mau)"라는 명칭의 기원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며, 식민정부와 서방 언론이 부여한 명칭이다. 당시 항쟁 세력은 스스로를 '케냐의 자유 전사들(Kenya Land and Freedom Army, KLFA)'라고 불렀다. "Mau Mau"는 영어 단어를 반복한 왜곡된 표현이며, 키쿠유어에서 유래한 ‘무음(秘密)’이나 ‘자유와 땅(Mzungu Aende Ulaya, Mwafrika Apate Uhuru)’이라는 해석도 존재한다.3. 배경
3.1. 식민 통치와 토지 문제
* 1895년 케냐는 영국령 동아프리카으로 선포되었고, 1920년 케냐 식민지로 공식 편입되었다.* 케냐 중부의 비옥한 고지대는 ‘화이트 하이랜드(White Highlands)’로 불리며 백인 정착민에게 독점 제공됨. 원주민은 토지를 빼앗기고 강제로 노동시장에 편입됨.
* 키쿠유족의 토지 박탈은 경제적 붕괴와 문화적 박탈감을 유발하였고, 무장 투쟁의 뿌리가 되었다.
3.2. 정치적 억압과 민족주의 고조
* 1940~50년대, 케냐 아프리카 연합(KAU)을 비롯한 민족주의 조직들이 결성되어 정치 투쟁을 시도하였으나, 영국은 이를 탄압.* 온건한 정치 세력이 무력화되자, 급진 세력들이 무장 투쟁으로 방향을 전환.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복귀한 흑인 참전용사들이 식민 통치에 대한 회의를 품고 항쟁에 가담하기도 했다.
4. 전개
4.1. 비상사태 선포 (1952)
* 1952년 10월, 영국은 마우마우 활동을 명분으로 전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무장 진압을 시작했다.* KAU 지도자 조모 케냐타는 마우마우와의 연계 혐의로 체포되었으며, 이는 반발을 더욱 키움.
4.2. 마우마우의 활동 방식
* 마우마우는 주로 숲과 산악 지형을 활용한 게릴라전을 펼쳤다.* 백인 정착민, 정부 협력자(흑인 엘리트 포함), 경찰 기지 등을 공격함.
* 충성 맹세(oath taking)를 강제하며, 내부 반역자에 대한 처형도 많았음.
4.3. 식민정부의 진압 작전
* 영국은 약 55,000명 이상의 병력을 동원해 항쟁을 진압했고, 수용소와 고문, 공개 처형을 포함한 강경 대응에 나섰다.* 특히 랄프 터너 경 등의 식민 경찰은 "심문" 과정에서 체계적인 고문과 인권 침해를 자행하였다.
* 당시 체포된 인원은 80,000명이 넘고, 수용소는 150개 이상에 달했다.
5. 결과
| 항쟁 기간 | 1952년 ~ 1960년 |
| 사망자 수 | 11,000~25,000명 추정 (비공식 추정 70,000명 이상) |
| 영국인 사망자 | 약 100명 (대부분 백인 정착민) |
| 체포자 | 약 80,000명 |
| 처형자 | 최소 1,000명 이상 |
* 데단 킴라티(Dedan Kimathi)는 마우마우 최고 지휘자로 1956년 체포되어 사형당했다. 현재는 케냐의 독립 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
* 케냐는 1963년 조모 케냐타의 지도 아래 독립을 달성했다. 그는 공식적으로 마우마우와는 거리를 두었지만, 민족 감정을 결집시키는 데 활용되었다.
6. 이후 평가
* 초기에는 마우마우가 ‘야만적 테러 조직’으로 묘사되었으나, 이후 역사 재평가를 통해 식민 저항 운동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2013년, 영국 정부는 마우마우 항쟁 당시의 고문, 인권 침해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하고 약 2,000여 명의 피해 생존자에게 2천만 파운드 이상을 보상하였다.
* 2003년, 케냐 정부는 데단 킴라티를 공식 독립영웅으로 지정하고, 나이로비 중심가에 그의 동상을 세움.
7. 문화
* 1980년 영화 《The Kitchen Toto》, 2005년 다큐멘터리 《White Terror》 등에서 마우마우 항쟁과 수용소 고문 문제가 다뤄짐.* 케냐 현대 문학과 예술에서도 마우마우는 민족 정체성과 저항의 상징으로 빈번하게 등장한다.
8. 관련 문서
* 케냐* 영국령 케냐
* 조모 케냐타
* 게릴라전
* 비상사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