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707070><tablebgcolor=#707070> | 선거구 제11구 Wahlkreis 11: Lübeck | }}} | |||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178,245명 (2025) | |||||
상위 주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
하위 행정구역 | ||||||
연방의원 | | 팀 클뤼센도르프 (Tim Klüssendorf) |
1. 개요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의 연방하원 선거구.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제2의 도시 뤼베크시 전체와 라우엔부르크 공작령 군(Kreis Herzogtum Lauenburg) 일부[1.1]를 담당한다.1949년에 지역구가 생긴 이래 사민당이 16번, 기민련이 5번 지역구에서 승리하여 사민당의 텃밭이라 할만하다. 그러나 사민당의 지지율은 갈수록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으며, 2025년 제21대에서 비례대표 득표율에서 기민련에게 1위를 빼앗겼다. 반면 지역구 현역의원 사민당 팀 클뤼센도르프는 여유있게 당선에 성공한다.
녹색당 역시 2020년대에는 20% 안팎의 득표를 꾸준히 하며 선전하고 있고, 좌파당은 평균 정도이다.
2025년 제21대에서 눈에 띄는 점은 AfD의 급부상으로서,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15%를 넘는 득표를 거두면서 4위를 기록했다. 이는 뤼베크 시를 벗어난 교외 지역, 예를들어 클링크라데, 뤼효, 슈투벤 등의 지역에서 AfD가 비례대표 1위를 차지하는 데에 힘입은 바 크다.
2. 역대 의원
- 가브리엘레 힐러-옴(Gabriele Hiller-Ohm) (사민당): 2002년 제15대부터 2013년 제18대까지 4선.
- 클라우디아 슈미트케(Claudia Schmidtke) (기민련): 2017년 제19대 1선.
- 팀 클뤼센도르프(Tim Klüssendorf) (사민당): 2021년 제20대부터 2025년 제21대까지 2선.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1구 | 2구 | 3구 | 4구 | 5구 |
- | 라이프 보딘 | 마크 헬프리히 | 요한 바데풀 | 루이제 암츠베르크 | |
6구 | 7구 | 8구 | 9구 | 10구 | |
잔드라 카르스텐젠 | 다니엘 쾰블 | 멜라니 베른슈타인 | 제바스티안 슈미트 | 헨리 슈미트 | |
11구 | |||||
팀 클뤼센도르프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4 | 비례 5 | 비례 6 | |
쿠르트 클라인슈미트 | 게레온 볼만 | 케르스틴 프르취고다 | 스벤 벤도르프 | 알렉시스 기어쉬 |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비례 5 | ||
로베르트 하베크[1] | 데니제 로프 | 콘스탄틴 폰 노츠 | 마이라 프리제마 | ||
비례 1 | 비례 2 | ||||
로렌츠 괴스타 보이틴 | 타마라 마치 |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비례 5 | ||
니나 쉬어 | 랄프 슈테그너 | 베티나 하게도른 | 트륄스 라이하르트 | ||
비례 1 | |||||
슈테판 자이들러[2]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rowcolor=#000> 뤼베크 뤼베크시 전체, 라우엔부르크 공작령 군 일부[1.1] | |||||||
후보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정당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
| 팀 클뤼센도르프 | 39,809 | 28.1% | 1위 | 30,026 | 21.1% | 2위 |
| |||||||
| 크리스토프 뢰치 | 33,695 | 23.8% | 2위 | 32,037 | 22.5% | 1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
| 브루노 회넬 | 27,477 | 19.4% | 3위 | 25,444 | 17.9% | 3위 |
| |||||||
| 케르스틴 프르취고다 | 21,972 | 15.5% | 4위 | 22,254 | 15.7% | 4위 |
| 비례 당선 | ||||||
| 안드레아스 뮐러 | 10,175 | 7.2% | 5위 | 14,921 | 10.5% | 5위 |
| |||||||
| 로베르트 쇠르크 | 4,028 | 2.8% | 6위 | 5,547 | 3.9% | 6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
카트린 오스터타크 | 2,350 | 1.7% | 7위 | 1,529 | 1.1% | 9위 | |
''' Volt ''' | |||||||
제바스티안 이징 | 1,960 | 1.4% | 8위 | 1,006 | 0.7% | 11위 | |
| |||||||
뤼더 묄러 | 286 | 0.2% | 9위 | 90 | 0.1% | 13위 | |
''' MLPD ''' | |||||||
- | - | - | - | 5,307 | 3.7% | 7위 | |
| |||||||
| - | - | - | - | 2,664 | 1.9% | 8위 |
| |||||||
- | - | - | - | 1,147 | 0.8% | 10위 | |
| |||||||
- | - | - | - | 198 | 0.1% | 12위 | |
''' 독일 연합 ''' | |||||||
계 | 유효표 | 141,752 | 142,170 | ||||
무효표 | 1,247 | 829 | |||||
총 투표수 | 142,999 | 142,999 | |||||
투표율 | 80.2% | 80.2% | |||||
결과 | 유지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획득 |
3.2.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1구 | 2구 | 3구 | 4구 | 5구 |
로베르트 하베크 | 아스트리트 다메로 | 마크 헬프리히 | 죈케 릭스 | 마티아스 슈타인 | |
6구 | 7구 | 8구 | 9구 | 10구 | |
크리스티안 클링크 | 랄프 슈테그너 | 베른트 베르크트 | 베티나 하게도른 | 니나 쉬어 | |
11구 | |||||
팀 클뤼센도르프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비례 5 | |
우베 비트 | 게레온 볼만 | 요한 바데풀 | 잉고 개데헨스 | 페트라 니콜라이젠 | |
비례 6 | 비례 7 | 비례 8 | 비례 9 | 비례 10 | |
| 멜라니 베른슈타인 | 볼프강 쿠비키 | 귀데 옌젠-보른회프트 | 크리스티네 아셴베르크-두그누스 | |
비례 11 | 비례 12 | 비례 13 | 비례 14 | 비례 15 | |
막시밀리안 모르트호르스트 | 루이제 암츠베르크 | 잉그리트 네슬레 | 콘스탄틴 폰 노츠 | 데니스 롭 | |
비례 16 | 비례 17 | 비례 18 | |||
브루노 회넬 | 코르넬리아 뫼링 | 슈테판 자이들러[2]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rowcolor=#000> 뤼베크 뤼베크시 전체, 라우엔부르크 공작령 군 일부[1.1] | |||||||
후보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정당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
| 팀 클뤼센도르프 | 44,315 | 34.1% | 1위 | 39,704 | 30.5% | 1위 |
| |||||||
| 클라우디아 슈미트케 | 28,266 | 21.8% | 2위 | 23,628 | 18.1% | 3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
| 브루노 회넬 | 27,809 | 21.4% | 3위 | 29,229 | 22.4% | 2위 |
| 비례 당선 | ||||||
| 하이케 슈테게만 | 9,700 | 7.5% | 4위 | 13,626 | 10.5% | 4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
| 다비트 예니혜스 | 8,538 | 6.6% | 5위 | 8,827 | 6.8% | 5위 |
| |||||||
| 에밀 탕카체예프 | 4,020 | 3.1% | 6위 | 5,785 | 4.4% | 6위 |
| |||||||
알렉산더 샤흐트 | 2,193 | 1.7% | 7위 | 1,329 | 1.0% | 10위 | |
| |||||||
그레고르 포트 | 1,788 | 1.4% | 8위 | 1,296 | 1.0% | 11위 | |
| |||||||
우타 켐퍼 | 1,594 | 1.2% | 9위 | 1,531 | 1.2% | 8위 | |
''' dieBasis ''' | |||||||
파비오 코파노 | 765 | 0.6% | 10위 | 550 | 0.4% | 13위 | |
''' Volt ''' | |||||||
예니퍼 보부자 | 298 | 0.2% | 11위 | 106 | 0.1% | 18위 | |
''' du. ''' | |||||||
토르스텐 케르크호프 | 220 | 0.2% | 12위 | - | - | - | |
| |||||||
뤼더 묄러 | 189 | 0.1% | 13위 | 71 | 0.1% | 19위 | |
''' MLPD ''' | |||||||
빌프리트 링크 | 91 | 0.1% | 14위 | 46 | 0.0% | 21위 | |
''' DKP ''' | |||||||
루츠 닐젠 | 89 | 0.1% | 15위 | 67 | 0.0% | 20위 | |
''' LKR ''' | |||||||
| - | - | - | - | 1,666 | 1.3% | 7위 |
| |||||||
- | - | - | - | 1,495 | 1.1% | 9위 | |
''' 동물보호당 ''' | |||||||
- | - | - | - | 663 | 0.5% | 12위 | |
''' Todenhöfer ''' | |||||||
- | - | - | - | 196 | 0.2% | 14위 | |
''' Die Humanisten ''' | |||||||
- | - | - | - | 166 | 0.1% | 15위 | |
''' NPD ''' | |||||||
- | - | - | - | 134 | 0.1% | 16위 | |
''' ÖDP ''' | |||||||
- | - | - | - | 122 | 0.1% | 17위 | |
''' V-Partei ''' | |||||||
계 | 유효표 | 129,875 | 130,237 | ||||
무효표 | 1,580 | 1,218 | |||||
총 투표수 | 131,455 | 131,455 | |||||
투표율 | 73.3% | 73.3% | |||||
결과 | 획득 | 획득 |
[1.1] 베르켄틴 행정구역 전체, 잔데스네벤-누세 행정구역 중에서 그리나우, 그로스보덴, 그로스솅켄베르크, 클링크라데, 라벤츠, 리나우, 뤼효, 잔데스네벤, 쉬프호르스트, 쇤베르크, 쉬어렌죌렌, 지벤보이멘, 지르크스펠데, 슈타인호르스트, 슈투벤, 벤토르프[1.1] [1.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