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스웨덴 왕립해군 Svenska Marinen | ||||
| <colbgcolor=#315f97> 잠수정/잠수함 | 훼리오네급R, 넵툰급R, 하옌급M/R, 스피칸급R, 드라켄급R, 쇼르멘급R, 네이켄급R, 베스테르예틀란드급R, 쇠데르만란드급M, 고틀란드급, | ||||
| 어뢰정 | T32급R, 페르세우스급R, 플레야드급R, 스피카급R | ||||
| 초계정/고속정 | SVK1급R, V51급R, V57급R, B61급R, 달라로급R, 야게렌급R, 태퍼급, SB90급 | ||||
| 미사일 고속정 | 후긴급R, 커파렌급M/R, 노르셰핑급R | ||||
| 초계함 | 스톡홀름급, 예테보리급, 비스뷔급 | ||||
| 호위함 | {룰레오급} | ||||
| 구축함 | 로물루스급R, 에렌횔드급R, 클라스급R, 예테보리급R, 모데급R, 비스뷔급R, 욀란드급R, 요한 마우리츠 반 나소R, 반 암스텔급R, 할란드급R, 외스테르예틀란드급R | ||||
| 순양함 | 고틀란드급R, 트레 크로나급R | ||||
| 상륙정 | 아네급R, 스카귤급R, L1급R, SVK201급R, SVK301급R, N:R603급R, N:R401급R, G급, N:R801급, N:R101급, N:R451급, M10급 호버크래프트 | ||||
| 기뢰전함 | <colbgcolor=#315f97> 기뢰부설함 | MUL11/12급R, 엘브스나벤급R, 엘브스보리급R, 프루순드급 | |||
| 기뢰소해함/정 | 알홀마급R, M3급R, M15급R, 오루스트급R, 하노급R, 알코급R, 히싱엔급R, 고스텐급R, 렌소크급R, 코스테르급, 스튀르소급 | ||||
| 구조함 | 벨루아스 | ||||
| 지원함/모함 | 카를스크로나, 비스보리급M, 트로소, 애길 | ||||
| 정보수집/연구함 | 오리온, 우드, 아르테미스 | ||||
|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 }}} }}}}}} | ||
1. 개요
스웨덴 해군의 차세대 호위함.2. 제원
| 룰레오급 호위함 Luleå-Klass Fregatt | ||||
| | ||||
| <colbgcolor=#eee> 함종 | <colbgcolor=#FFF>호위함 | |||
| 이전급 | 비스뷔급 | |||
| 다음급 | 미정 | |||
3. 도입 과정
3.1. 차기 초계함 개발 사업
스웨덴 국방부는 2021년 1월 25일, 사브와 비스뷔급 초계함의 2세대를 연구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스웨덴 해군의 차기 주력함으로 도입하기 위함으로, 총 4척을 계획했다.#그러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안보 환경이 급변하면서 비스뷔급의 확장형을 도입한다는 구상은 폐기되었다.#
2023년 6월 21일, 스웨덴 국왕의 승인을 받아 차기 초계함 4척의 함명이 공표되었다. 동시에 사브의 개념설계안도 공개되었다.#
2024년 5월 16일, 밥콕과 사브가 룰레오급 설계를 위한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3.2. 차기 주력함 도입 사업 전환
2025년 4월, 스웨덴 측에서 빠른 도입을 위해 자체 개발이 아닌 기성품 전투함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이후 초계함 개발 사업을 포기하고 호위함 도입 사업으로 전환되었다.
3.3. 후보 및 선정
2025년 11월 4일, 룰레오급 호위함 사업에 참여하는 4개 후보가 공개되었다. 프랑스 나발 그룹, 스페인 나반티아, 영국 밥콕, 스웨덴 자국의 사브까지 4개 업체이며, 사브와 밥콕은 협력할 수도 있다고 한다.#2025년 11월 인도-퍼시픽 2025 방산 전시회에서 나반티아가 스웨덴에 제시할 알파 4000 호위함 설계안을 공개했다.#
2025년 11월 24일 열린 스웨덴과 프랑스 양국 국방장관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프랑스가 같은 해 10월부터 아미랄 로나크급 호위함을 공식 제안했다고 밝혔다. 또한 기자회견에서 스웨덴이 밝힌 바에 의하면 목표 도입 일정은 2030년까지 초도분 2척을 취역시키고 나머지 2척은 2035년 안에 취역시키는 것이라고 한다.#
4. 동형함 목록
| 스웨덴 왕립해군 | |||||||
| 함번 | 함명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상태 | ||
| 1 | K31 | HMS[1] 룰레오 (Luleå) | - | - | 2030년 예정 | 건조 예정 | |
| 2 | K32 | HMS 노르셰핑 (Norrköping) | - | - | 2030년 예정 | ||
| 3 | K33 | HMS 텔레보그 (Trelleborg) | - | - | 2035년 예정 | ||
| 4 | K34 | HMS 할름스타드 (Halmstad) | - | - | 2035년 예정 | ||
[1] 스웨덴어 Hans MajestätsSkepp의 약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