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1 12:30:57

로더(리스크 오브 레인)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 }}}[[]]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ror1logo_1.png


UES 컨택트 라이트의 생존자들
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_Commando_Select.png
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_Enforcer_Select.png
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_Bandit_Select.png
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_Huntress_Select.png
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_HAND_Select.png
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_Locker.png
[[코만도(리스크 오브 레인)|
코만도
]]
[[인포서(리스크 오브 레인)|
인포서
]]
[[밴딧(리스크 오브 레인)|
밴딧
]]
[[헌트리스(리스크 오브 레인)|
헌트리스
]]
[[HAN-D|
HAN-D
]]
-
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_Engineer_Select.png
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_Miner_Select.png
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_Sniper_Select.png
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_Acrid_Select.png
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_Mercenary_Select.png
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_Loader_Select.png
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_CHEF_Select.png
[[엔지니어(리스크 오브 레인)|
엔지니어
]]
[[마이너(리스크 오브 레인)|
마이너
]]
[[스나이퍼(리스크 오브 레인)|
스나이퍼
]]
[[애크리드(리스크 오브 레인)|
애크리드
]]
[[머셔너리(리스크 오브 레인)|
머셔너리
]]
[[로더(리스크 오브 레인)|
로더
]]
[[셰프(리스크 오브 레인)|
셰프
]]


1. 개요2. 능력치3. 스킬
3.1. KNUCKLEBOOM3.2. DEBRIS SHIELD3.3. HYDRAULIC GAUNTLET3.4. M440 CONDUIT
4. 평가
4.1. 장점4.2. 단점
5. 아이템 운영
5.1. 우선권이 필요한 아이템5.2. 우선권까지는 아니더라도 욕심 낼만한 아이템5.3. 비추천/비상성 아이템

1. 개요

파일:attachment/로더(리스크 오브 레인)/risk_Loader.png
...and so he left, ready to rebuild his life, brick by brick.
...그리하여 그는 떠났다. 자신의 삶을 다시 차곡차곡 쌓아올릴 준비가 된 채로.
언락조건 한 번의 게임에서 30 종류의 아이템을 획득

Risk of Rain의 생존자. 1.2.0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모티브는 에이리언 2에 나오는 파워 로더.

2. 능력치

능력치
구분 기본 능력치 레벨당 상승치 구분 기본 능력치 레벨당 상승치
최대 체력 115 +42 공격력 10 +3
체력 회복 0.6 +0.18 공격 속도 빠름 -
방어력 0 +? 사거리 근접 -
이동 속도 1.3 - 기타 상승치 - -

3. 스킬

3.1. KNUCKLEBOOM

파일:attachment/로더(리스크 오브 레인)/risk_Loader_Skill_1.png Z - Knuckleboom
120% 데미지로 적들을 두들겨팬다. 매 3타마타 240%의 데미지를 주며 적들을 공중으로 띄운다.
근접 생존자 중에서는 괜찮은 평타. 3타마다 중형 몹도 공중으로 띄울 수 있고, 로더의 기본공속도 괜찮기에 깔작거리는 플레이에 안정성을 더해준다.

3.2. DEBRIS SHIELD

파일:attachment/로더(리스크 오브 레인)/risk_Loader_Skill_2.png X - Debris Shield(쿨타임 5초)
3초 동안 자신의 체력의 100%에 달하는 쉴드상태가 되고, 이동속도를 올린다.[1]
생존기. 게임 내 설명과는 다르게 3초동안 무적이된다. 그리고 이동속도를 올린다고 하지만 쉴드가 꺼지기 전에 잠깐 이동속도가 본래 속도보다 떨어지기 때문에 기본이속이면 그렇게 더 많이 빨라지지 않는다. 오히려 기본 이속으로 뛰어넘을 수 있는 곳에서 x를 키고 뛰면 못넘고 떨어지기도 한다.

3.3. HYDRAULIC GAUNTLET

파일:attachment/로더(리스크 오브 레인)/risk_Loader_Skill_3.png C - Hydraulic Gauntlet(쿨타임 3초)
전방으로 건틀릿을 발사하고, 몬스터나 벽에 적중한다면 그 앞으로 이동한다. 적에게는 210%의 데미지와 기절을 준다.
로더 기동성의 핵심. 조건부 이동기이며 쿨타임이 짧아서 자주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게임내 설명문에 쓰여있지 않지만 설치해놓은 전류 막대로도 이동이 가능하다. 적에게 쓴다면 C-Zx3-C로 치고 빠지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3.4. M440 CONDUIT

파일:attachment/로더(리스크 오브 레인)/risk_Loader_Skill_4_2.png V - M440 Conduit(쿨타임 10초)
전류 막대를 하나 설치한다. 두번째 막대를 놓은 후에 전류를 활성화시켜 사이를 지나는 적에게 초당 80%의 데미지를 준다. 9초 지속.
파일:attachment/로더(리스크 오브 레인)/risk_Loader_Skill_4_2_AS.png 강화V - M700X Discharge Conduit(쿨타임 10초)
전류의 색이 바뀌며 처음 작동시 적을 기절시킨다.
로더의 광역기. 보통은 도망치면서 설치했다가 두번째 막대를 설치하고 반대로 턴하여 적들에게 지속적으로 데미지를 주는 방식으로 쓰인다. 사거리나 높이 제한이 없기에 플레이어에 따라 창의적으로 쓰일 수도 있으나, 지나치게 멀리 벌여놓으면 딜로스와 쿨타임 손실이 있는 만큼 적절하게 깔아주자.

4. 평가

소수의 적에게는 C와 Z를 이용한 콤보, 다수의 적에게는 V를 이용한 지속딜과 X를 사용한 탱킹으로 먹고 사는 생존자. 다만 두 가지 스킬이 지형의 영향을 받기에 싸우기 좋은 곳을 찾아 플레이 해야하는 운영이 필요하다.

4.1. 장점

  • 높은 안정성 - 스킬의 넉백과 기절 그리고 높은 스텟덕분에 상위권의 안정성을 가진다.

4.2. 단점

  • 지형에 영향을 받음 - C와 V를 온전히 활용하기 위해서 지형에 신경쓰는 플레이가 필요하다.

5. 아이템 운영

5.1. 우선권이 필요한 아이템

  • 이동 관련 유틸리티 아이템 - C를 100% 활용하기 위해서는 후푸 깃털이나 제트팩등이 필요하다.
  • 쿨감소 아이템 - 로더의 기술 활용을 돕는 외계인 머리 등의 아이템이 필요하다.
  • 근접 딜링템 - 근접 생존자라도 적과 오래 붙어있는 건 좋지 않다.

5.2. 우선권까지는 아니더라도 욕심 낼만한 아이템

  • 공속 관련 아이템 - 로더의 3번째 평타를 칠 때 까지의 시간을 최대한 줄여 빠르게 에어본을 함으로써 보다 적게 피격당하면서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로더의 공속은 평균 이상이므로 팀플에서는 기본공속에 만족하고 주사기 등은 양보해 주자.
  • 실드, 최대 체력 관련 아이템 - 기본적으로 로더는 먹어주는 것이 좋다. 그러나 팀플에 헌트리스나 핸디가 있거나 하면 다른 플레이어에게 양보해주는 것이 좋다.

5.3. 비추천/비상성 아이템

  • 블레이징 스텝 계열 아이템,하이퍼 쓰레더 - 근접 생존자에게는 효율이 낮다.

[1] 게임 내 설명은 이렇지만... 자세한건 아래 후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