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14:34:11

레미콩

또봇 : 대도시의 영웅들 분기별 보스 메카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시즌 1
파일:또봇_로드리퍼_임시.png 파일:캐삭봇 프로필.jpg 파일:레미콩 프필.jpg
로드리퍼
Part 1
캐삭봇
Part 2
레미콩
Part 3
시즌 2
파일:디룩킹 프필.jpg 파일:어비스호 프로필.jpg 파일:레비아탄 프필.jpg
타란튤라킹
Part 1
어비스호
Part 2
레비아탄
Part 3
}}}}}}}}}

<colcolor=#fff><colbgcolor=#6487C5>
레미콩
Linehacker
파일:레미콩 프로필.jpg
로봇(합체) 형태
파일:레미콩 비클.jpg
레미젤라또 / 콩크리탄 레미콘 형태

1. 개요2. 구성 메카
2.1. 콩크리탄2.2. 레미젤라또
3. 사용 기술4. 작중 행적
4.1. Part 3
5. 전투력6.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또봇_메카_레미콩.gif
숫자는 적어지지만, 힘의 차이는 확실하지.
엔진박
또봇: 대도시의 영웅들의 악역 메카이자 시즌 1 Part 3의 최종 보스.

콩크리탄이 좌반신, 레미젤라또가 우반신으로 2단 합체한 형태로, 전체적인 외형의 모티브는 미식축구 선수.[1] 그래서인지 기술 중 럭비공 모양으로 공격하는 기술인 '콘크리트 볼'이 있다. 비클 모드는 타타대우 프리마를 기반으로 적절한 변형을 가한 것으로 보인다.

엔진박이 '숫자는 줄지만, 힘의 차이는 확실하다'라고 언급했듯이, 콩크리탄과 레미젤라또 각각의 출력보다 강력한 힘을 보여준다. 합체했을 때는 카사장조발레와 연결된 콩크리탄과 레미젤라또의 모션 인식이 끊어지고, 엔진박이 태블릿을 이용하여 조종했다.

2. 구성 메카

2.1. 콩크리탄

<colcolor=#fff><colbgcolor=#79BB7E> 콩크리탄
Concretron
파일:또봇_메카_콩크리탄.jpg
[clearfix]
파일:콩크리탄/변신.gif
녹색 레미콘이 변신하는 로봇. 카사장이 조종하며, 믹서 부분에서 콘크리트를 포탄처럼 발사할 수 있다.

이름의 유래는 고릴라를 뜻하는 + 콘크리 + 오랑우 or 으로 보인다.

2.2. 레미젤라또

<colcolor=#fff><colbgcolor=#6487C5> 레미젤라또
Goobot
파일:레미젤라또 프로필.jpg
파란색 레미콘이 변신하는 로봇. 조발레가 조종하며, 외형은 색을 제외하면 콩크리탄과 동일하다.

콩크리탄과 마찬가지로 콘크리트를 발사하기도 하지만, 상황에 따라 또봇 Z의 스파이더 글루와 유사한 끈적한 용액을 발사할 수도 있다. 작중 레미젤라또는 콘크리트 공격보단 이쪽이 더 강조되는 편.

이름의 유래는 레미 + 젤라또로 보이며, 두 단어 간의 조합에는 어감이 비슷한 레 미제라블도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3. 사용 기술

  • 콩크리트 탄
    믹서에서 생성한 컴파운드(콘크리트)를 발사한다. 콘크리트 생산량에는 한계가 있으며, 콩크리탄의 속성을 변경하여 각각 다른 형태의 탄을 발사할 수 있다.
    • 콩크리탄 - 속성 건조
      콩크리탄의 시멘트가 빠르게 굳도록 설정한다.
  • 점액탄(가칭)
    레미젤라또의 고유 기술. 믹서에서 점액탄을 발사하여 상대의 움직임을 봉쇄하거나, 트라이탄의 슈퍼 스파이더 윕 같은 형태로 발사해 적에게 이어붙인 뒤 적을 끌어당길 수 있다. 콩크리트 탄과 마찬가지로 생산량에 한계가 있다.
  • 철근 콘크리트 펀치
    콩크리탄의 필살기. 손목에 장착된 철근을 꺼내 두룬 뒤 콘크리트를 생성해 주먹을 이중으로 감싸서 공격하는 펀치 기술이다.
  • 콘크리트 볼
    레미콩이 사용하는 기술. 손목의 안 쪽에서 콘크리트를 생성한 후 럭비공 모양으로 빚어, 상대를 향해 던지는 기술이다. 작중에서 이 기술 한 번으로 SOS 합체를 풀어버리는 위력을 보여주었다.[2]

4. 작중 행적

4.1. Part 3

19화: 콩크리탄이 첫 등장. 도시를 휘젓고 다니다가 저지하러 달려온 또봇 닥, 또봇 쎈, 또봇 붐에게 콘크리트를 발사해 합체를 막고, 우위를 점하며 압도한다.

20화: X, Y, Z가 지원을 위해 합체한 또봇 트라이탄이 나타나자, 콘크리트 포를 발사해 발을 묶으며 잠시 선전하지만, 슈퍼 점프와 슈퍼 킥의 연계에 당해 패배했다.

21화: 콩크리탄과 레미젤라또가 함께 등장한다. 래봇들이 또봇들을 흩어지도록 유인한 다음, 콩크리탄과 레미젤라또가 둘로 나뉘어 또봇들을 속박해 압도한다. 마지막으로 남았던 Y와 쎈을 콩크리탄이 처리하려 했지만, 쎈과 탱커봇이 시간을 버는 사이에 Y가 다른 또봇들을 구출한 덕분에 합체 또봇들이 한 자리에 모인다. 이에 2 대 2로 태그 매치를 벌이지만, 콩크리탄은 트라이탄의 슈퍼 드랍에 당하고, 레미젤라또는 SOS 익스텐더에 턱을 정통으로 맞으면서 패배한다.

22화: 탈출한 최매기를 쫒기 위해 카사장조발레가 콩크리탄과 레미젤라또를 조종하여 추격한다. 콩크리탄이 콘크리트 포로 우주개발본부 차량과 최매기가 타고 있던 래봇의 발을 묶은 뒤에 공격하려고 하지만, Y의 공격에 저지당한다. 이후 레미젤라또가 기습으로 X, Y, Z를 쓰러트린다.
파일:또봇_메카_레미콩.jpg
23화: 콩크리탄과 레미젤라또가 X, Y, Z를 몰아붙이던 도중에 지원을 온 쎈이 콩크리탄을 공격한다. 이 틈을 타서 X, Y, Z가 트라이탄으로 합체하여 콩크리탄과 레미젤라또를 쓰러트린다. 이후 트라이탄이 로켓 연료 탱크를 분리하기 위해 로켓에 접근하자, 엔진박이 최후의 수단으로 레미콩으로 합체시키고, 트라이탄과 SOS를 동시에 밀어붙이는 강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결국 SOS를 놓치게 되고,[3] 트라이탄의 슈퍼 콤보에 당해 압도당한다. 최후의 슈퍼 드랍으로 땅에 떨어지려던 중에 해킹 장치를 해제하려던 닥의 존재를 눈치챈 엔진박이 콘크리트를 발사해 방해하지만, 레미콩은 그대로 땅에 꽂혀 몸의 일부가 박살난다.
파일:레미콩/생존.jpg
하지만 엔진박의 조작으로 겨우 일어나서 마지막 발악으로 로켓을 조준하지만, 트라이탄 슈퍼 킥에 콩크리탄 부분의 포가 박살나고 이어 레미젤라또 부분의 포까지 뜯겨지며 결국 완전히 리타이어 당한다.

5. 전투력

합체 이전의 콩크리탄과 레미젤라또의 전투력부터 상당한 수준으로, X, Y, Z와의 3:1 힘겨루기에서 승리하거나 트랜스포메이션 이전을 공략하여 4대의 또봇들을 한번에 무력화 시켜버리는[4] 등 순수 전투력에서도, 기술 및 전략 부분에서도 난적이지만[5][6] 합체 또봇들에게 쉽게 패배하는 모습에서 알 수 있듯 성능은 기껏해야 로드리퍼를 웃도는 정도이다.

그러나 레미콩의 경우 트라이탄과 SOS를 혼자서 막아내는 과정에서 이 둘을 힘에서 이기는 괴력을 발휘하거나, 어마어마한 기술 위력으로 땅에 적중시킨 콘크리트 탄의 충격만으로 트라이탄을 일시적으로 쓰러트리거나 콘크리트 볼 한방으로 SOS의 합체를 해체시키며[7] Part 3 및 시즌 1의 피날레를 장식하는 최종 보스다운 강함을 보여주었다. 심지어 슈퍼콤보를 맞고 반파된 상태에서 트라이탄을 끝까지 물고 늘어지며[8] 엔진박의 의도대로 로켓 발사를 성공시켰으며, 인명 구조와 로켓 발사 저지를 위해 나선 닥과 붐을 제압하여 로켓과 함께 방출되는 상황까지 몰고가며 그 강함을 입증했다.

다만 당시의 트라이탄과 SOS가 레미콩을 따돌리고 인명 구조와 로켓 발사를 저지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을 상대로 압도했다고 볼 수는 없으며, 이후 슈퍼 콤보 한 방에 반파당하기도 했다.[9] 만일 처음부터 또봇 팀이 작정하고 전투했다면 레미콩도 캐삭봇처럼 쉽게 패배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슈퍼 콤보를 맞은 상황에서도 공격을 시도했다는 점은 고평가 받으며[10], 합체 또봇 두 대를 상대로 고전시키며 또봇 팀으로 하여금 최악의 상황 직전까지 몰고 갔다는 점에서 최종전이 대도시의 영웅들 모든 파트를 통틀어 가장 짧았음에도 대도시의 영웅들 시리즈에서 가장 인정 받는 로봇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간단하게 제압당하거나 최종보스로 등장한 이후 줄줄이 패배했던 다른 메카들과 달리 굴욕적인 패배가 없었기 때문에 더욱 좋은 평가를 받는다.

6. 여담

  • 이름의 유래는 레미 + 고릴라를 뜻하는 영단어 으로 보이며, 각각 레미젤라또와 콩크리탄의 이름의 유래이기도 하다.
  • 전작의 레미콘봇에 이은 2번째 레미콘 형태의 악당 로봇이다.
  • 초록색 레미콘과 좌우로 합체하는 점은 엑스카이저의 등장 로봇 울트라 레이커[11], 가오가이가의 등장 로봇 격룡신과 유사하다.
    • 이후 유사한 합체 방식을 사용하는 합체 또봇이 등장했다.
  • 시즌 1 최종 보스 메카 중 유일하게 로봇 모드는 전작 메카의 모델링을 재활용하지 않았으며[12], 카사장 일당 로봇들 중 유일하게 합체형 메카다.


[1] 전작 18기에 등장한 불도저봇과 동일하다.[2] 다만 이때 SOS가 로켓발사 저지를 최우선으로 하다보니 무방비 상태였던 것을 감안해야한다.[3] 콘크리트 볼 단 한번으로 SOS의 합체를 해체하긴 했지만, 셋으로 분리된 것이 오히려 역효과를 낳았다.[4] 또봇들을 완벽히 제압한 맨티스 몬스터조차 3대로 또봇 3대를 제압한 수준이였지만, 콩크리탄과 레미젤라또는 2대로 또봇 4대를 제압하는 위엄을 보여주었다. 이 정도 전투력은 최종보스에 해당하는 로봇들을 제외하면 최강 수준이다.[5] 실제로 콩크리탄과 레미젤라또는 또봇팀 측의 지원군이 오기 전까지 처음 상대하고 있던 또봇들을 상대로 밀린 적이 없다. 심지어 콘크리트와 점액탄을 명중시킨 경우, 말 그대로 또봇 팀을 아무것도 못하게 만들 수 있다.[6] 엔진박의 묘사에 의하면 방어력도 제법 준수한 편인 것으로 보인다.[7] 이전에 또봇의 합체를 분리시킨 사례는 9기의 나나나 노래 전법을 사용한 아크 타이런트 Ⅱ와 13기의 전기 충격으로 트라이탄을 분리시킨 왕지네봇 뿐이었다. 특히 레미콩은 마인드코어 연동에 문제를 주거나 내부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켜 분리시킨것이 아닌 순수 물리력으로 분리시켰기에 레미콩의 전투력이 더욱 부각된다.[8] 공격을 하진 못했지만, 나름 시간을 벌었다.[9] 이후 등장한 최종보스 로봇인 타란튤라킹어비스호는 슈퍼 콤보를 맞아도 리타이어는 되었지만 겉으로는 멀쩡했다.[10] 오리지널 또봇 시리즈에서 슈퍼 콤보에 정통으로 맞고 다시 일어나 공격을 시도했던 적은 내리꽃혔다기보단 거의 넘어지는 수준이였던 극장판M보스와 슈퍼 드랍을 테트란 파운드로 대체했던 본편 2기의 파트 3의 레비아탄을 제외하면 없다.[11] 특히 이쪽은 색상조합이 서로 반대라는 점을 제외하면 완전 판박이다.[12] 다만, 트럭 디자인은 전작의 덤프봇과 똥꾸봇을 연상시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3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3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