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1 12:58:43

뒤차기


1. 개요2. 역사




강진회 실전태권도의 이동희 관장이 설명하는 뒤차기.

1. 개요

가라테태권도의 발기술. 태권도에서 몇 안되는 근접전용 기술이며[1] 태권도가 실전성이 전혀 없다고 평가하는 사람들도 돌려차기, 뒤돌려차기, 뒤차기 세 기술만큼은 실전적이라고 호평할 정도로 강력한 기술이다.[2] 궤도 자체도 예측하기 힘들고 태권도 기술치고 동작도 작은 편이라 기본적으로 움직임을 눈으로 좇기 힘들고 만약 움직임이 보였다 해도 선방향 공격이 아닌 점방향 공격이라 킥캐치같은 대처도 어렵다. 맞으면 맞는대로 문제고, 막으면 막는 부위대로 데미지가 그대로 들어가서 사정권 밖으로 피하거나 미리 예측해서 피하는 것 말고는 답이 없다.

그뿐만 아니라 앞차기, 옆차기와 비교했을 때, 사람의 다리는 좌우가 아닌 전후로 움직이기 좋게 되어 있고, 상체의 경우 좌우나 뒤로 젖히기보단 앞으로 굽히기 편하게 되어 있는데, 상체를 옆으로 젖히고 다리도 반대편 옆로 젖힌 채 차야 하는 옆차기와 상체를 뒤로 젖히고 차야 하는 앞차기보다 상체를 앞으로 젖히고 다리도 뒤로 뻗는 뒤차기가 신체적으로 훨씬 편한 건 말할 필요도 없으며 엉덩이 근육도 훨씬 쓰기 좋다.
무에타이 경기에 출전한 태권도 선수들의 경우에도, 그 단단하기로 악명높은 맷집의 낙무아이들이 태권도 선수들의 뒤차기에 불의의 일격을 맞고 어이없이 쓰러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무에타이가 아니라도 종합격투기 무대에서도 뒤차기는 매우 위협적이며, 상당히 오랫동안 격투기 무대에서 치트키 비슷하게 쓰인 기술임에도 파훼법이 아직까지 딱히 나오지 않는 등 '정말 좋은 기술이다'라는 말로밖에 설명할 수 없는 기술. 모든 무술을 통틀어 가장 실전적인 기술만 살아남는다는 MMA에서도 뒤차기는 필수적으로 배워야 하는 기술일 정도다.

2. 역사

파일:ushirogeri4.gif
1954년 쇼토칸 가라테 영상의 우시로게리.

뒤차기의 유래인 '우시로게리'의 경우 오로지 가만히 선 채로 뒤쪽을 차는 기술이라는 오해가 퍼져 있는데, 일반적으로 알려진 뒤차기와 다른 이질적인 형태 때문에 생긴 오해이다.

옛 쇼토칸 가라테 영상들을 찾아보면 기본적으로 가만히 선 상태에서 뒤에서 오는 상대를 노리기도 하지만, 엄연히 몸을 돌려 전방을 차기도 하는 기술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태권도 이전에도 뒷 발길질로 전방을 차는 형태가 이미 완성되어 있었단 이야기이다

단 그 형태는 태권도식 뒤차기와는 꽤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상체를 측면으로 숙이면서 뒷발을 앞쪽으로 보내서 뒷발길질을 하는 방식이었다. (태권도로 비유하자면) 뒤돌려차기돌려차기를 반대 방향으로 돌며 하는 개념이라면 가라테의 우시로게리는 몸을 돌리는 옆차기를 반대 방향으로 돌며 하는 개념에 가까웠던 걸로 보인다.

이후 이 기술이 한국(청도관으로 추정)으로 넘어오며 좀더 실전에서 쓰기 쉽게 개량된 것으로 추측된다. 실제로 한국에서 5, 60년대에 찍힌 것으로 추정되는 이 영상을 보면 위 우시로게리와 현대식 뒤차기의 중간뻘로 추정되는 기술[3]을 쓰는 것으로 볼 때 우시로게리가 한국에서 뒤차기로 개량된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파일:IMG_7399.gif
태권도의 뒤차기.

태권도식 뒤차기의 경우, 우시로게리와는 달리 몸통 전체가 제자리에서 180도 돌며 뒷발길질을 한다. 좀더 자세한 차이를 얘기하자면 우시로게리는 먼저 상체를 굽힌 후 돈다면 뒤차기는 돌고 나서 상체를 굽힌다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즉 쉽게 말해서 상체를 굽힌 채 돌면 너무 느리니까 우선 선 채로 돌고 나서 상체를 굽히는 것.

우시로게리가 뒤쪽만 찬다는 이상한 오해가 생긴 건 (일반적으로 알려진 태권도식) 뒤차기보단 오히려 옆차기에 가깝게 생긴 희한한 궤도 때문인 것으로 보이는데, 우시로게리도 엄연히 앞쪽을 차는 기술이다. 태권도식 뒤차기가 우시로게리를 더 실용적으로 간소화했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물론 공수도의 전통적인 방식도 나름대로의 장점은 있다

흔히 본래 가라테에선 이 기술을 잘 안 썼고 향후 태권도에서 뒤차기를 역수입해 갔다는 인식이 있는데, 최소한 이건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극진공수도에서도 태권도식 (스포츠화된) 뒤차기를 더 많이 쓰는 경향이 보이기 때문.[4]태권도가 우시로게리를 배워 와서 더 실전적으로 개량해 가라테로 역수출했다고 보는 게 맞지 않나 싶다. 실제로 의외로 가라테에서 역수입한 태권도의 기술이 제법 있는 편이기도 하다

비슷한 케이스로는 발붙여차기가 있는데, 이쪽도 원류가 되는 쇼토칸 가라테의 기술[5]을 더 실전적으로 개량해서 태권도 고유의 기술로 정착한 케이스로, 뒤차기도 역시 우시로게리를 실전적으로 개량해 태권도 고유의 기술로 정착시킨 케이스라 볼 수 있다
[1] 태권도 자체가 손기술을 잘 쓰지 않고 정강이차기, 니킥, 로우킥 모두 금지이다 보니 근접용 기술 자체가 별로 없다. 내려차기가 그나마 사거리가 짧지만 이쪽도 근접용은 아니다.[2] 심지어 돌려차기, 뒤돌려차기는 선방향 공격이라 킥캐치 등의 카운터가 존재하지만 뒤차기는 점방향 공격이라 딱히 파훼법도 없다.[3] 얼핏 뒤돌아옆차기 같기도 하다.[4] 예외적으로 러시아지부는 위 전통 스타일 우시로게리를 고집하는 것 같다.[5] 옆으로 발 교차하며 이동해서 옆차기 를 쓰는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