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4c234c><tablebgcolor=#4c234c> | 도쿠시마현 선거구 徳島県選挙区 | }}} | |||
| 파일:도쿠시마 참의원.png | ||||||
| <colbgcolor=#4c234c><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651,117명 (2013) | |||||
| 구성 행정구역 | 도쿠시마현 | |||||
| 의원정수 | 2인 | |||||
| 국회의원 | {{{#!wiki style="margin: 0 -10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0 개선 | ||||
| | 나카니시 유스케 | |||||
| 2013 개선 | ||||||
| | 미키 토오루 | |||||
1. 개요
도쿠시마현 전역을 관할하는 일본의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의 선거구였다. 유권자 수는 약 65만 명이었고, 정수는 2인이며, 3년 마다 1인씩 번갈아가며 선출했다. 2013년 도쿠시마현의 지속적인 인구 감소에 따라 고치현 선거구와 합쳐 도쿠시마현·고치현 선거구로 재편되었다.2. 역대 국회의원
| | ||
| 연도(회차) | 의원명 | 소속 정당 |
| 1947(1회)[1] | ||
| 아카자와 요진[상] | ''' 혁신공동 ''' | |
| 키시노 마키오[하] | | |
| 1950(1회 보궐)[4] | 코로 미츠 | |
| 1950(2회) | ||
| 1953(3회) | 미키 요키치로 | |
| 1956(4회) | 코로 미츠 | |
| 1959(5회) | 미키 요키치로 | |
| 1962(6회) | 코로 미츠 | |
| 1965(7회) | 미키 요키치로 | |
| 1968(8회) | 쿠지메 켄타로 | |
| 1971(9회) | 오가사 코죠 | |
| 1974(10회) | 쿠지메 켄타로 | |
| 1977(11회) | 카메나카 토모요시 | |
| 1980(12회) | 나이토 켄 | |
| 1983(13회) | 카메나카 토모요시 | |
| 1986(14회) | 마츠우라 코지 | |
| 1989(15회) | 이누이 하루미 | ''' 연합 ''' |
| 1992(16회) | 마츠우라 코지 | |
| 1995(17회) | 키타오카 슈지 | |
| 1998(18회) | 타카하시 키세코[5] | |
| 2001(19회) | 키타오카 슈지 | |
| 2004(20회) | 코이케 마사카즈 | |
| 2007(21회) | 나카타니 토모지 | |
| 2010(22회) | 나카니시 유스케 | |
| 2013(23회) | 미키 토오루 | |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1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도쿠시마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 마츠우라 코지 | 224,668표 | 1위 |
| | 58.83% | 당선 | |
| | 사토 유지 | 113,914표 | 2위 |
| | 29.83% | 낙선 | |
| | 사와 카즈오 | 43,283표 | 3위 |
| | 11.33%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381,865표 | 투표율 70.27% |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618,478인 | ||
3.2. 제1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도쿠시마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 이누이 하루미 | 215,805표 | 1위 |
| ''' 연합 '''[A] | 54.36% | 당선 | |
| | 카메나가 토모요시 | 155,486표 | 2위 |
| | 39.16% | 낙선 | |
| | 사와 카즈오 | 25,712표 | 3위 |
| 6.48%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397,003표 | 투표율 65.59% |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627,707인 | ||
3.3. 제16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도쿠시마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 마츠우라 코지 | 163,569표 | 1위 |
| | 56.55% | 당선 | |
| | 가토 타카아키 | 94,562표 | 2위 |
| ''' 연합 '''[A] | 32.69% | 낙선 | |
| | 우에무라 히데아키 | 31,121표 | 3위 |
| 10.76%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700,877표 | 투표율 |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
3.4. 제17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도쿠시마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 키타오카 슈지 | 140,692표 | 1위 |
| | 47.12% | 당선 | |
| | 오타 히로미 | 72,346표 | 2위 |
| | 24.23% | 낙선 | |
| 民改連 | 이누이 하루미 | 63,425표 | 3위 |
| [8] | 21.24% | 낙선 | |
| | 마츠다 후미오 | 22,098표 | 4위 |
| 7.40%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298,561표 | 투표율 47.14% |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652,353인 | ||
3.5. 제1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도쿠시마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無 | 타카하시 키세코 | 164,544표 | 1위 |
| | 45.67% | 당선 | |
| | 마츠우라 코지 | 132,408표 | 2위 |
| | 36.75% | 낙선 | |
| | 후지타 히토시 | 42,520표 | 3위 |
| 11.80% | 낙선 | ||
| | 야노 카즈토모 | 16,125표 | 4위 |
| | 4.48% | 낙선 | |
| | 나라 타케시 | 4,693표 | 5위 |
| 자유연합 | 1.30%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360,290표 | 투표율 56.91% |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661,092인 | ||
3.6. 제19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도쿠시마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 키타오카 슈지 | 198,387표 | 1위 |
| | 54.30% | 당선 | |
| | 키무라 키요시 | 116,278표 | 2위 |
| | 31.83% | 낙선 | |
| | 후지타 히토시 | 26,159표 | 3위 |
| 7.16% | 낙선 | ||
| | 타카가이 치요코 | 19,759표 | 4위 |
| | 5.41% | 낙선 | |
| | 마에카와 코이치 | 4,781표 | 5위 |
| 자유연합 | 1.31%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365,364표 | 투표율 57.24% |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668,446인 | ||
3.7. 제20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도쿠시마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 코이케 마사카즈 | 166,032표 | 1위 |
| | 47.06% | 당선 | |
| | 토죠 쿄코 | 153,057표 | 2위 |
| | 43.38% | 낙선 | |
| | 쿠보 타카유키 | 33,718표 | 3위 |
| 9.56%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352,807표 | 투표율 54.60% |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669,529인 | ||
3.8. 제2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도쿠시마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 나카가와 토모지 | 206,457표 | 1위 |
| | 53.68% | 당선 | |
| | 키타오카 슈지 | 150,306표 | 2위 |
| | 39.30% | 낙선 | |
| | 하나오카 아츠시 | 25,727표 | 3위 |
| 6.73%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382,490표 | 투표율 58.46% |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667,524인 | ||
3.9. 제22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도쿠시마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 나카니시 유스케 | 142,763표 | 1위 |
| [9] | 38.31% | 당선 | |
| | 요시다 마스코 | 136,934표 | 2위 |
| [10] | 36.75% | 낙선 | |
| | 코이케 마사카즈 | 67,803표 | 3위 |
| | 18.20% | 낙선 | |
| | 후루타 모토노리 | 17,889표 | 4위 |
| 4.80% | 낙선 | ||
| | 타케오 아케미 | 3,785표 | 5위 |
|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 1.02% | 낙선 | |
| 無 | 토요카와 타카시 | 3,462표 | 6위 |
| | 0.93%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372,636표 | 투표율 58.24% |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658,828인 | ||
3.10. 제2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도쿠시마현 선거구 | 의원정수 1 | ||
| <rowcolor=#373a3c,#dddddd> 후보 | 득표수 | 비고 | |
| <rowcolor=#373a3c,#dddddd>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 미키 토오루 | 179,127표 | 1위 |
| [11] | 57.52% | 당선 | |
| | 나카타니 토모지 | 90,498표 | 2위 |
| | 29.06% | 낙선 | |
| | 카미무라 쿄코 | 29,733표 | 3위 |
| 9.55% | 낙선 | ||
| | 코마츠 유키 | 12,037표 | 4위 |
|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 3.87% | 낙선 | |
| <rowcolor=#373a3c,#dddddd> 계 | 총 투표 수 | 311,395표 | 투표율 49.29% |
|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 651,117인 | ||
[1] 제1회 일본 참원선은 당시 선거법에 따라 상위 당선자와 하위 당선자 두 그룹으로 각 1명(2인 선거구는 2명, 2인 이상 선거구는 3~4명)씩 나눠 상위 당선자의 임기를 6년, 하위 당선자의 임기를 3년으로 지정하고 선거를 진행하였다.[상] 상위 당선자[하] 하위 당선자[4] 녹풍회 키시노 마키오 의원이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사퇴했다.[5] 미키 다케오 전 총리의 장녀[A]
·· 추천[A]
·· 추천[8]
추천[9] 추천[10] 추천[11] 추천
·· 추천[A]
·· 추천[8]
추천[9] 추천[10] 추천[11]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