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5 07:47:21

데스티니 라이징/무기



1. 개요2. 설명
2.1. 개조 부품
3. 제조사4. 신화 무기
4.1. 연사
4.1.1. 자동 소총
4.1.1.1. 낡은 맹세4.1.1.2. 잘못된 진입
4.1.2. 기관단총
4.1.2.1. 늑대 무리4.1.2.2. DEL5 쿨피
4.1.3. 파동 소총
4.1.3.1. 최후 통첩4.1.3.2. DEL2 미마화
4.1.4. 기관총
4.1.4.1. 초토화4.1.4.2. BVD4 아쿠탁
4.1.5. 자동 쇠뇌
4.1.5.1. 사이조4.1.5.2. HON3 아이벨라크스
4.2. 관통
4.2.1. 정찰 소총
4.2.1.1. 완전 봉쇄4.2.1.2. DEL3 라씨
4.2.2. 핸드 캐논
4.2.2.1. 공성계4.2.2.2. 보석금4.2.2.3. DEL7 시미트
4.2.3. 저격총
4.2.3.1. 마고이치4.2.3.2. 4만 항성년
4.2.4. 선형 융합 소총
4.2.4.1. 종착 지점
4.2.5. 활
4.2.5.1. 요시모토
4.3. 분산
4.3.1. 유탄 발사기
4.3.1.1. 현재 함대4.3.1.2. 유인 매복4.3.1.3. HON1 카놈 크록
4.3.2. 로켓 발사기
4.3.2.1. 뿔 넷의 숫양4.3.2.2. HON2 투툼알릭
4.4. 충격
4.4.1. 보조 무기
4.4.1.1. 주신구라4.4.1.2. DEL6 코코레치
4.4.2. 산탄총
4.4.2.1. 영원한 응징4.4.2.2. 테르모필레-804.4.2.3. IST2 니아아틱스
4.4.3. 융합 소총
4.4.3.1. IST1 파라타
4.4.4. 검
4.4.4.1. 노부나가4.4.4.2. 급조한 결말4.4.4.3. CLY2 카칼리크
5. 경이 무기
5.1. 연사
5.1.1. 자동 소총
5.1.1.1. 멋진 모습
5.1.2. 기관단총
5.1.2.1. 줄타기 곡예사5.1.2.2. 허클베리
5.1.3. 파동 소총
5.1.3.1. 분노 III
5.1.4. 기관총
5.1.4.1. 교수형 집행대5.1.4.2. 후계자
5.1.5. 자동 쇠뇌
5.1.5.1. 공작명왕
5.2. 관통
5.2.1. 정찰 소총
5.2.1.1. 북극성 창
5.2.2. 핸드 캐논
5.2.2.1. 옛 지사5.2.2.2. 진홍 핏자국
5.2.3. 저격총
5.2.3.1. 보레알리스5.2.3.2. 이자나기의 짐
5.2.4. 선형 융합 소총
5.2.4.1. 왕실 배반
5.2.5. 활
5.2.5.1. 삼위일체 악귀
5.3. 분산
5.3.1. 유탄 발사기
5.3.1.1. 사티야아릭스니 스마트 폭탄5.3.1.2. 드베르그 드릴
5.3.2. 로켓 발사기
5.3.2.1. 이중 꼬리 여우
5.4. 충격
5.4.1. 보조 무기
5.4.1.1. 합주곡
5.4.2. 산탄총
5.4.2.1. 샤페론5.4.2.2. 팔분면 폭동 진압기
5.4.3. 융합 소총
5.4.3.1. 요툰
5.4.4. 검
5.4.4.1. 자고새의 하늘
6. 기타

1. 개요

본 문서에서는 데스티니 라이징에 등장하는 신화 및 경이 무기에 대해 다룬다. 본편과는 달리 데스티니 라이징은 각각의 빛의 운반자가 사용할 수 있는 무기군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무기 선택지가 굉장히 제한되어 있으며, 빌드 채용도가 극히 낮은 전설 무기와 희귀 무기들은 서술하지 않는다.

2. 설명

총 3개의 무기를 장비할 수 있었던 본편과는 달리 데스티니 라이징의 빛의 운반자들은 주 무기파워 무기 두개만이 장비 가능하며, 플레이어블 수호자에 따라 장비할 수 있는 무기의 타입도 달라진다. 예를 들어 늑대는 주 무기로 자동 소총, 파워 무기로 유탄 발사기를 장비할 수 있는 식이다. 주 무기의 경우 잃어버린 자 시즌 이후의 데스티니 가디언즈와 동일하게 무한탄이며, 파워 무기는 드랍으로 탄을 수급해야 한다. 또한 데스티니 라이징은 물리 무기가 존재하지 않고 모든 무기가 에너지 무기인 점도 특징이다.

무기군은 주 무기와 파워 무기 2개의 대분류에서 다시 연사, 관통, 분산, 충격 계열의 네가지 분류로 나뉘며 이는 고난이도 활동에서 등장하는 용사 개념의 전투원인 진화체를 상대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각 계통이 본편의 무기군 계통으로 나뉘며, 무기의 업그레이드는 단일 무기가 아니라 업그레이드한 무기와 동일한 해당 무기 전체에 일괄 적용되기 때문에 본 문서의 서술도 개별 무기보다 무기군 위주로 서술한다.

무기 등급은 본편과 비슷하지만 다른데, 기본 무기 등급이 파란색의 희귀(Rare) 등급이며, 그 다음으로 보라색인 전설(Legendary), 그리고 더 상위 계열의 등급인 신화(Mythic) 등급이 있다. 신화 무기의 경우 신화 특성이라는 신화 무기에만 등장할 수 있는 희귀한 특성이 붙을 수 있으며, 때문에 신화 특성이 없거나 적은 전설 무기는 세팅에서 제외되고 원하는 신화 무기에 종결 취급 받는 신화 특성 퍽 2개를 붙이는 것이 데스티니 라이징의 파밍 목표가 된다. 이와는 별개로 본편에서 등장했던 경이 무기와 본작에서만 등장하는 신규 경이 무기들도 등장한다.

2.1. 개조 부품

무기 업그레이드 목록
탄약 조준경 탄창
경이 부품
열화우라늄탄 | 연사
Depleted Uranium Ammo
무기 피해량 +1.5% (최대 +15%)
SC 홀로 | 연사
SC Holo
몸 사격 피해량 +2.2% (최대 +22%)
돌격 탄창 | 연사
Assault Mag
무기 명중 피해량 +1.5% (최대 +15%)
구름폭발 유탄 | 분산
Cloudburst Grenades
무기 피해량 +1.5% (최대 +15%)
SPO-57 프론트 | 분산
SPO-57 Front
몸 사격 피해량 +1.5% (최대 +15%)
스프링휠 탄창 | 분산
Springwheel Mag
무기 폭발 피해량 +2.0% (최대 +20%)
패각 유탄 | 충격
Clam Grenades
무기 피해량 +1.5% (최대 +15%)
GA 포스트 | 충격
GA Post
몸 사격 피해량 +2.0% (최대 +20%)
폭풍 탄창 | 충격
Storm Magazine
무기 명중 피해량 +1.5% (최대 +15%)
탄도 탄약 | 관통
Ballistic Ammo
무기 피해량 +1.5% (최대 +15%)
SSO-05 저격수 | 관통
SSO-05 Sniper
정밀 피해량 +1.8% (최대 +18%)
자석 탄창 | 관통
Magnetic Magazine
무기 명중 피해량 +1.5% (최대 +15%)
무기 업그레이드 목록
탄약 조준경 탄창
신화 부품
적외선감지탄 | 연사
Infrared Sensor Ammo
무기 피해량 +0.9% (최대 +9%)
플래시 HS5 | 연사
Flash HS5
몸 사격 피해량 +1.4% (최대 +14%)
합금 탄창 | 연사
Alloy Magazine
무기 명중 피해량 +0.9% (최대 +9%)
뿔 유탄 | 분산
Horn Grenades
무기 피해량 +0.9% (최대 +9%)
SLO-12 포스트 | 분산
SLO-12 Post
몸 사격 피해량 +0.9% (최대 +9%)
플레어드 매그웰 | 분산
Flared Magwell
무기 명중 피해량 +1.2% (최대 +12%)
외피 제거 탄약 | 충격
Decladding Ammo
무기 피해량 +0.9% (최대 +9%)
메이랭 RDS | 충격
Meyrin RDS
몸 사격 피해량 +1.2% (최대 +12%)
퀵드로우 탄창 | 충격
Quick-Draw Mag
무기 명중 피해량 +0.9% (최대 +9%)
운동에너지 회수탄 | 관통
Kinetic Recovery Ammo
무기 피해량 +0.9% (최대 +9%)
ATA 정찰병 | 관통
ATA Scout
정밀 피해량 +1.2% (최대 +12%)
적응형 탄창 | 관통
Adaptive Magazine
무기 명중 피해량 +0.9% (최대 +9%)

방어구에 총 4개의 개조 부품을 장비할 수 있었던 데스티니 가디언즈와는 달리 데스티니 라이징에선 경이를 제외하고 무기에 총 3개의 개조 부품을 장비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조 부품은 무기의 기원 특성과 제 2특성 및 3특성의 레벨을 증가시킨다. 또한 개조 부품 자체의 성능을 업그레이드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개조 부품의 업그레이드는 개별 개조 모드가 아니라 장비 슬롯별로 장착한 무기에 종속되기 때문에 하나의 슬롯에 장비된 개조 모드를 최대치로 업그레이드 했다면 해당 슬롯에 장비 가능한 모든 개조 모드가 동일한 업그레이드 수치를 공유하게 된다. 따라서 원하는 무기에 신화 등급 부품을 장비해 업그레이드하며 사용하다가, 경이 등급 부품이 나오면 교체해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슬롯별로 다수의 개조 부품을 장착하고 그때그때 비용 소모 없이 실시간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

3. 제조사

모든 희귀/전설/신화 무기에는 제조사가 정해져있는데, 각 제조사마다 기원 속성이 존재한다. 제조사의 모든 무기를 한번 식 획득하면 해당 제조사의 기원 특성을 지닌 무기의 피해가 2.5% 증가한다.
  • 강석 제철소 (Jiangshi Steelworks)
    강석 메트로의 게릴라들이 제작한 무기로, 희귀와 전설 등급의 무기들만 존재한다. 몇몇 무기들은 강석 게릴라의 인원들이 고향을 기념하기 위해 남월 프로젝트 및 중국항공국의 상징을 그려넣었다. 그래서 그런지 2편 달 무기의 원형에 가까운 모습을 보인다.

    강석 제철소의 기원 속성은 전시 상황 (Wartime Conditions)으로, 해당 속성이 달린 무기로 교체하면 5초 동안 안정성과 정확도가 10식 증가하며 검의 경우 막기 저항과 지속 시간이 20식 증가한다. 업그레이드되면 해당 제조사 무기의 모든 피해가 2.5% 증가한다.
  • 스트리드 (Strid)
    스트리드라는 기업 도시에서 만드는 무기들로, 뛰어난 무기 제작자들을 데리고 있으며 전쟁군주와 강철 군주 상관없이 거래를 하고 있다. 이러한 탓에 스트리드는 완벽한 중립지대로 남게 되었지만 스트리드를 노리는 전쟁군주한테 점령당할 위기에 빠져있다. 홍해 균열의 방산업계는 완벽하게 스트리드가 장악한 상태인데, 스트리드가 헤이븐에 종속되기를 원하는 라데가스트가 스트리드 무기를 대량으로 구매해 홍해 균열의 상인들에게 팔고 있다.

    스트리드의 기원 속성은 무기대여법 (Lend-Lease Act)으로, 스트리드 제조사의 무기로 결정타를 기록하면 5초 동안 무기의 사거리가 20 증가하고, 안정성이 10 증가한다. 검의 경우 공격 사거리가 20 증가한다. 업그레이드되면 해당 제조사 무기의 모든 피해가 2.5% 증가한다.
  • 노박 (Novak)
    암흑기 후반기 때 러시아에서 만들어진 제조사로, 고물을 사용해 전통적인 방식으로 무기를 만드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있다. 그 외에도 노박은 총기 교관을 양성해 지구 곳곳으로 보내고 있으며, 교관들은 여러 정착지에게 총기 훈련을 시켜주고 있다. 워낙 범용성이 좋고 정착지에 널리 퍼진 제조사라 대부분의 아이들이 성인이 되면 노박의 무기를 첫 무기로 사용한다.

    노박의 기원 속성은 옐냐 수비대 (Yelnya Guards)로, 노박 무기로 전투원을 처치하면 전투원 6미터 이내의 본인이나 아군의 체력이 즉시 회복을 시작한다. 업그레이드되면 해당 제조사 무기의 모든 피해가 2.5% 증가한다.
  • 백로 (Heron)
    암흑기 때 등장한 제조사로, 한조 핫토리라는 제작자가 설립했다. 검은 무기고와 비슷한 모토를 가진 제조사로, 무기 하나하나에 장인정신이 담겨있고 무조건 수작업으로만 만들어진다. 워낙 정성이 많이 들어가는지라 다음 세대에 물려줄 수 있는 수준의 퀄리티로 만들며, 고객 또한 걸러가면서 받는다. 일본계 제조사라 모든 무기의 이름이 일본과 관련된 단어인 것이 특징이다.

    백로의 기원 속성은 편집증 (Paranoia)으로, 백로 무기로 전투원을 처치하면 이동 속도가 5초 동안 5% 증가하고 총 3스택까지 쌓을 수 있다. 업그레이드되면 해당 제조사 무기의 모든 피해가 2.5% 증가한다.
  • 리빅스 & 라이트/RwR (Riviks & Wright/RwR)
    헤이븐의 제조사 중 하나로, 케바르 휘하의 반달 중 한명인 리빅스와 미슈라의 사촌 동생 라이트가 함께 설립했다. 리빅스가 엘릭스니 무기를 인간이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면 라이트가 특유의 손재주를 발휘해 범용성 높은 무기로 만든다. RwR의 무기는 헤이븐에서 널리 사용되는 무기 시리즈이며, 모든 무기의 이름은 리빅스가 좋아하는 음식에서 따왔다.

    리빅스 & 라이트의 기원 속성은 문화 충돌 (Culture Clash)로, 최대 사거리 밖에서 주는 피해가 15% 증가하며 검의 경우 전투원에게 접근하면 충전 속도가 15% 증가한다. 업그레이드되면 해당 제조사 무기의 모든 피해가 2.5% 증가한다.
  • 결합 (Coherence)
    강철 군주들이 설립한 제조사로, 소속 강철 군주들은 자신의 전기, 태양, 공허의 힘을 주입시켜 무기를 만든다고 한다. 강철 군주만을 위한 무기라 누가 사용할 수 있는지를 까다롭게 지정하며, 헤이븐에 상주하고 있는 강철 군주 스코리와 일종의 제휴를 맺고 있다. 결합의 지도자는 강철 군주로 전향한 전쟁군주 산감-13이며, 빛 속성을 모두 마스터한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결합의 무기 명칭은 모두 전쟁군주와 관련된 일화에서 따왔다.

    결합의 기원 속성은 공감각 (Synesthesia)으로, 결합 무기를 재장전하면 다음 결정타를 기록할 때까지 무기의 사거리와 조작성이 20식 증가한다. 분산 무기군의 경우 투사체 속도가 35 증가한다. 업그레이드되면 해당 제조사 무기의 모든 피해가 2.5% 증가한다.
  • 일식의 대첨탑 (Eclipse Monolith)
    융합자 사제 이사키스가 인간의 기술력을 독해한 뒤 만들어낸 무기 시리즈다. 이사키스는 인류의 무기가 엘릭스니의 무기와 비슷한 구조를 가진 것을 간파하고 남월 우주정거장에 있던 기술들을 노획해 악마의 가문이 사용 가능한 무기로 재조립했다. 이러한 무기들이 대량 생산되어 악마의 가문에 풀렸고, 원래 인류의 무기였던 것을 헤이븐측에서 다시 노획하며 빛의 운반자들이 사용하는 무기군이 되었다.

    일식의 대첨탑의 기원 속성은 소란 (Disturbance)으로, 방어막이 파괴된 상태에서 무기로 처치하면 탄창의 20%가 즉시 재장전되며 검의 경우 강공격이 20% 충전된다. 이 효과는 10초에 3번까지 발동 가능하다. 업그레이드되면 해당 제조사 무기의 모든 피해가 2.5% 증가한다.

4. 신화 무기

4.1. 연사

무기 업그레이드 목록
탄약 조준경 탄창
열화우라늄탄 | 연사
Depleted Uranium Ammo
무기 피해량 +1.5% (최대 +15%)
SC 홀로 | 연사
SC Holo
몸 사격 피해량 +2.2% (최대 +22%)
돌격 탄창 | 연사
Assault Mag
무기 명중 피해량 +1.5% (최대 +15%)
적외선감지탄 | 연사
Infrared Sensor Ammo
무기 피해량 +0.9% (최대 +9%)
플래시 HS5 | 연사
Flash HS5
몸 사격 피해량 +1.4% (최대 +14%)
합금 탄창 | 연사
Alloy Magazine
무기 명중 피해량 +0.9% (최대 +9%)

4.1.1. 자동 소총

4.1.1.1. 낡은 맹세
낡은 맹세 ,(Sworn Oath),
자동 소총

어떤 영웅들은 한 가지 무기를 너무 오래 가지고 다닌 나머지 무기가 전설의 일부가 됩니다. 다른 이들은 무기를 형편대로 쓰는 반면에 말이죠.
파일:destiny_element_thermal.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건틀릿 작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적응형프레임.png 적응형 프레임 (Adaptive Frame)
균형 잡힌 손잡이로, 안정적이고 튼튼합니다.
공감각 (Synesthesia)
기원 속성
재장전하면 다음 결정타를 기록할 때까지 무기의 사거리와 조작성이 +20씩 증가합니다. 분산 무기군의 경우 투사체 속도가 +35 증가합니다.
Sworn Oath
4.1.1.2. 잘못된 진입
잘못된 진입 ,(Wrongful Ingress),
자동 소총

"우주에서 처음으로 온 존재는 여행자였어요. 두 번째는 범선이였을 것 같네요. 사람들이 또 다른 여행자일거라 생각하고 환영했을 걸 상상해보면..." -고스트
파일:destiny_element_void.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건틀릿: 돌격 - 감시하는 벽 클리어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속사프레임.png 속사 프레임 (Rapid-Fire Frame)
예비 탄약을 보다 많이 소지할 수 있습니다. 탄창이 비었을 때 재장전 속도가 다소 빨라집니다.
소란 (Disturbance)
기원 속성
방어막이 파괴된 상태에서 무기로 전투원을 처치하면 탄창의 20%가 즉시 재장전되며 검의 경우 강한 공격이 20% 충전됩니다. 이 효과는 10초에 3번까지 발동 가능합니다.
Wrongful Ingress

4.1.2. 기관단총

4.1.2.1. 늑대 무리
늑대 무리 ,(Wolfpack),
기관단총

수부타이는 상대를 포위하기 위해 몰락자 파이크 라이더의 전술을 채용한 첫 번째 빛의 운반자이자 전쟁군주였다. 이로 인해 세렝게티를 지나는 많은 행상인들이 큰 피해를 입었다.
-산감의 암흑기 전쟁 연대기 1권
파일:destiny_element_void.png 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건틀릿 맹공격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경량프레임.png 경량 프레임 (Lightweight Frame)
조작성이 탁월합니다. 이 무기를 장착하면 이동 속도가 빨라집니다.
공감각 (Synesthesia)
기원 속성
재장전하면 다음 결정타를 기록할 때까지 무기의 사거리와 조작성이 +20씩 증가합니다. 분산 무기군의 경우 투사체 속도가 +35 증가합니다.
Wolfpack
4.1.2.2. DEL5 쿨피
DEL5 쿨피 ,(DEL5 Kulfi),
기관단총

옥살산염 결정은 엘릭스니에게 치명적일 수도 있었기 때문에 리빅스는 파인애플 맛을 피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파일:destiny_element_arc.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영웅 공격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공격적프레임.png 공격적 프레임 (Aggressive Frame)
공격력이 높지만, 반동도 강합니다.
문화 충돌 (Culture Clash)
기원 속성
최대 사거리 밖에서 주는 피해가 15% 증가합니다. 검의 경우 전투원에게 접근하면 충전 속도가 15% 증가합니다.
DEL5 Kulfi

이름인 쿨피는 우유를 이용한 유제품인 말라이를 얼려서 만든 남부 아시아의 전통 빙과로, 과일을 섞어서 그릇에 담아 얼려서 내거나 막대를 꽃아 얼려서 하드 바처럼 먹는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 로어에 따르면 리빅스는 파인애플맛 쿨피를 만들어 먹어보고 싶었으나 파인애플에 들어 있는 옥살산 칼슘이 엘릭스니의 신진 대사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포기했다고. 참고로 옥살산염은 인간 남성에게는 저 악명높은 요로결석을 일으키는 주 원인 중 하나로, 정황상 엘릭스니는 배설계 관련 질환의 문제에서는 인간보다 훨씬 취약한 모양이다(...). 게다가 물에 잘 녹는 수용성 성분이기 때문에 더더욱 포기할 수밖에 없었을 듯.

4.1.3. 파동 소총

4.1.3.1. 최후 통첩
최후 통첩 ,(Ultimatum),
파동 소총

"악마의 가문에서 회수한 모든 자원은 헤이븐의 전술적 이점이 된다. 전쟁은 산수의 문제니까." - 라데가스트
파일:destiny_element_thermal.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건틀릿 작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적응형프레임.png 적응형 프레임 (Adaptive Frame)
균형 잡힌 손잡이로, 안정적이고 튼튼합니다.
소란 (Disturbance)
기원 속성
방어막이 파괴된 상태에서 무기로 전투원을 처치하면 탄창의 20%가 즉시 재장전되며 검의 경우 강한 공격이 20% 충전됩니다. 이 효과는 10초에 3번까지 발동 가능합니다.
Ultimatum
4.1.3.2. DEL2 미마화
DEL2 미마화 ,(DEL2 Sweet Ears),
파동 소총

미슈라가 준 이 간식을 처음 맛본 이후부터, 리빅스는 이걸 직접 만들어보기 위해 헤이븐의 공용 주방에 숨어서 조리합니다.
파일:destiny_element_arc.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영웅 공격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공격적프레임.png 공격적 점발사격 (Aggressive Burst)
4발의 탄약을 점발사격하여 큰 타격을 줍니다.
문화 충돌 (Culture Clash)
기원 속성
최대 사거리 밖에서 주는 피해가 15% 증가합니다. 검의 경우 전투원에게 접근하면 충전 속도가 15% 증가합니다.
DEL2 Sweet Ears

이름인 미마화는 베이징의 전통 설탕 꽈배기 간식인 탕얼둬(糖耳朵)를 말하는 것으로, 한자 이름부터가 설탕귀라는 뜻이며 실제로도 사람의 귀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4.1.4. 기관총

4.1.4.1. 초토화
초토화 ,(Scorched Earth),
기관총

분석에 따르면 전쟁군주 페레스는 후퇴 과정에서 최소 450헥타르의 농지를 불태웠으며, 물탱크 21체, 철로 65km, 그리고 200체 이상의 가옥을 파괴했습니다.
파일:destiny_element_thermal.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건틀릿 맹공격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속사프레임.png 속사 프레임 (Rapid-Fire Frame)
예비 탄약을 보다 많이 소지할 수 있습니다. 탄창이 비었을 때 재장전 속도가 다소 빨라집니다.
공감각 (Synesthesia)
기원 속성
재장전하면 다음 결정타를 기록할 때까지 무기의 사거리와 조작성이 +20씩 증가합니다. 분산 무기군의 경우 투사체 속도가 +35 증가합니다.
Scorched Earth

속사 프레임인지라 공격적 프레임의 1.5배에 달하는 연사력을 가져 DPS(초당 누적데미지)는 후술할 아쿠탁보다 높으나, 그만큼 에임이 심하게 튀는데다 조준 지원도 낮아 모바일 환경에서의 사용감과 탄 효율이 조금 낮은 무기다. 알아보기 매우 힘들지만 출시 트레일러에서 케이버가 사용하는 기관총이기도 하다.
4.1.4.2. BVD4 아쿠탁
BVD4 아쿠탁 ,(BVD4 Akutaak),
기관총

리빅스는 이것을 열정적으로 먹곤 했습니다... 라이트가 아쿠탁의 버터향이 어디서 나오는지 알려주기 전까진요.
파일:destiny_element_arc.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영웅 공격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공격적프레임.png 공격적 프레임 (Aggressive Frame)
공격력이 높지만, 반동도 강합니다.
문화 충돌 (Culture Clash)
기원 속성
최대 사거리 밖에서 주는 피해가 15% 증가합니다. 검의 경우 전투원에게 접근하면 충전 속도가 15% 증가합니다.
BVD4 Akutaak

아쿠탁은 알래스카의 원주민들이 만들어먹는 음식으로, 동물의 지방과 과일을 섞은 뒤 휘저어 공기를 넣어 만든, 서양의 아이스크림에 가깝다. 리빅스는 이게 크림이 들어가는 아이스크림 디저트인줄 알고 신나게 먹다가 라이트가 버터향이 동물 지방에서 나오는 것이라는 진실을 말해주자 충격을 받고 먹지 못하게 된 듯하다(...)

4.1.5. 자동 쇠뇌

4.1.5.1. 사이조
사이조 ,(Saizo),
자동 쇠뇌

흔들리지 않는 헌신과 용기로 기억되는 열 명의 전사들이 있었습니다.
파일:destiny_element_thermal.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영웅 건틀릿 돌격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속사프레임.png 속사 프레임 (Rapid-Fire Frame)
예비 탄약을 보다 많이 소지할 수 있습니다. 탄창이 비었을 때 재장전 속도가 다소 빨라집니다.
편집증 (Paranoia)
기원 속성
전투원을 처치하면 이동 속도가 5초 동안 5% 증가합니다. 총 3스택까지 중첩할 수 있습니다.
Saizo

이름인 사이조는 전국 시대에 활동했던 유명한 닌자인 키리가쿠레 사이조를 말하는 것으로, 이 인물은 사나다 10용사의 일원이었으며 로어에도 이같은 사실이 반영되어 있다. 다만 사나다 10용사는 실존 인물을 모티브로 후대에 창작된 가공의 인물들이다.
4.1.5.2. HON3 아이벨라크스
HON3 아이벨라크스 ,(HON3 Eibellakks),
자동 쇠뇌

손으로 뜯어낸 리이스의 난생 생물 고기를 고온에서 조리하면 체액이 연육제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밀봉하면 장기 보관도 할 수 있습니다. 안타깝게도 라이트는 먹는 족족 토하지만요.
파일:destiny_element_arc.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영웅 공격전, 건틀릿 맹공격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공격적프레임.png 공격적 프레임 (Aggressive Frame)
공격력이 높지만, 반동도 강합니다.
문화 충돌 (Culture Clash)
기원 속성
최대 사거리 밖에서 주는 피해가 15% 증가합니다. 검의 경우 전투원에게 접근하면 충전 속도가 15% 증가합니다.
HON3 Eibellakks

4.2. 관통

무기 업그레이드 목록
탄약 조준경 탄창
탄도 탄약 | 관통
Ballistic Ammo
무기 피해량 +1.5% (최대 +15%)
SSO-05 저격수 | 관통
SSO-05 Sniper
정밀 피해량 +1.8% (최대 +18%)
자석 탄창 | 관통
Magnetic Magazine
무기 명중 피해량 +1.5% (최대 +15%)
운동에너지 회수탄 | 관통
Kinetic Recovery Ammo
무기 피해량 +0.9% (최대 +9%)
ATA 정찰병 | 관통
ATA Scout
정밀 피해량 +1.2% (최대 +12%)
적응형 탄창 | 관통
Adaptive Magazine
무기 명중 피해량 +0.9% (최대 +9%)

4.2.1. 정찰 소총

4.2.1.1. 완전 봉쇄
완전 봉쇄 ,(Total Lockdown),
정찰 소총

"경비병이 사이렌을 울리면, 아무것도 움직이지 않아." -요새 죄수
파일:destiny_element_thermal.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건틀릿 작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속사프레임.png 속사 프레임
(Rapid-Fire Frame)
자동 발사되며, 예비 탄약을 보다 많이 소지할 수 있습니다. 탄창이 비었을 때 재장전 속도가 다소 빨라집니다.
소란 (Disturbance)
기원 속성
방어막이 파괴된 상태에서 무기로 전투원을 처치하면 탄창의 20%가 즉시 재장전되며 검의 경우 강한 공격이 20% 충전됩니다. 이 효과는 10초에 3번까지 발동 가능합니다.
Total Lockdown
4.2.1.2. DEL3 라씨
DEL3 라씨 ,(DEL3 Lassi),
정찰 소총

리빅스는 종종 라이트 몰래 황동 심과 마른 과일을 교환하곤 합니다.
파일:destiny_element_arc.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영웅 공격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정밀프레임.png 정밀 프레임 (Precision Frame)
반동이 수직으로 작용하여 제어하기 쉽습니다.
문화 충돌 (Culture Clash)
기원 속성
최대 사거리 밖에서 주는 피해가 15% 증가합니다. 검의 경우 전투원에게 접근하면 충전 속도가 15% 증가합니다.
DEL3 Lassi

이름인 라씨는 쿨피와 마찬가지로 남부 아시아의 전통 음료로, 요거트에 물과 향신료를 섞어서 만들며 설탕이나 마른 과일을 넣은 단맛과 소금을 넣은 짠맛의 두 가지 버전이 특징인 음료이다.

4.2.2. 핸드 캐논

4.2.2.1. 공성계
공성계 ,(Empty Fort Strategy),
핸드 캐논

붉은 매 여단의 지휘관 후 페이는 과감하게 산 호세의 민병대를 모조리 퇴각시켰다. 이러한 결정에 의구심을 품은 전쟁군주 프란치스코는 결국 공격 계획을 무산시켰다.
-산감의 암흑기 전쟁 연대기 2권
파일:destiny_element_thermal.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건틀릿: 돌격 - 범람 클리어, 이동 관문, 이동 관문 상인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적응형프레임.png 적응형 프레임 (Adaptive Frame)
균형 잡힌 손잡이로, 안정적이고 튼튼합니다.
공감각 (Synesthesia)
기원 속성
재장전하면 다음 결정타를 기록할 때까지 무기의 사거리와 조작성이 +20씩 증가합니다. 분산 무기군의 경우 투사체 속도가 +35 증가합니다.
Empty Fort Strategy
4.2.2.2. 보석금
보석금 ,(Parole),
핸드 캐논

"이 예쁜 놈이 악마의 가문 출신이라고? 부모는 정할 수 없는 법이라니까. 잘 다뤄주라고 늑대" -바지넷
파일:destiny_element_void.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건틀릿: 돌격 - 조립 시설 클리어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공격적프레임.png 공격적 프레임 (Aggressive Frame)
공격력이 높지만, 반동도 강합니다. 장거리 사격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소란 (Disturbance)
기원 속성
방어막이 파괴된 상태에서 무기로 전투원을 처치하면 탄창의 20%가 즉시 재장전되며 검의 경우 강한 공격이 20% 충전됩니다. 이 효과는 10초에 3번까지 발동 가능합니다.
Parole
4.2.2.3. DEL7 시미트
DEL7 시미트 ,(DEL7 Simit),
핸드 캐논

매운 맛 러스크가 없으면, 리빅스는 아침 식사로 시미트를 챙길 겁니다.
파일:destiny_element_arc.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영웅 공격전, 건틀릿 맹공격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적응형프레임.png 적응형 프레임 (Adaptive Frame)
균형 잡힌 손잡이로, 안정적이고 튼튼합니다.
문화 충돌 (Culture Clash)
기원 속성
최대 사거리 밖에서 주는 피해가 15% 증가합니다. 검의 경우 전투원에게 접근하면 충전 속도가 15% 증가합니다.
DEL7 Simit

이름인 시미트는 터키의 서민 음식으로, 도넛 모양으로 빚고 깨를 묻혀서 구워낸 빵이다. 대표적인 서민 음식이기 때문에 아침 식사로 홍차를 곁들이거나, 버터 또는 초코 스프레드를 발라서 먹기도 하고 반으로 잘라 토마토, 치즈 등을 넣고 샌드위치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고.

4.2.3. 저격총

4.2.3.1. 마고이치
마고이치 ,(Magoichi),
저격총

가장 보수가 높은 의뢰를 완료한 헌터만이 "마고이치"의 칭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일:destiny_element_void.png 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영웅 건틀릿 돌격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적응형프레임.png 적응형 프레임 (Adaptive Frame)
균형 잡힌 손잡이로, 안정적이고 튼튼합니다.
편집증 (Paranoia)
기원 속성
전투원을 처치하면 이동 속도가 5초 동안 5% 증가합니다. 총 3스택까지 중첩할 수 있습니다.
Magoichi

출시 트레일러에서 탄-2가 사용하던 저격총. 개머리판이 없고 조준경이 매우 긴 특이한 외형을 하고 있다. 이름인 마고이치는 전국 시대의 용병 집단인 사이카슈의 지도자 가문들 중 하나인 스즈키 가문에서 사용하던 습명 사이카 마고이치를 말한다.
4.2.3.2. 4만 항성년
4만 항성년 ,(40000 Sidereal Year),
저격총

전 간수는 요새의 수명을 주제로 건설 책임자와 한때 열띤 논쟁을 벌였습니다.
파일:destiny_element_thermal.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건틀릿 작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속사프레임.png 속사 프레임 (Rapid-Fire Frame)
예비 탄약을 보다 많이 소지할 수 있습니다. 탄창이 비었을 때 재장전 속도가 다소 빨라집니다.
소란 (Disturbance)
기원 속성
방어막이 파괴된 상태에서 무기로 전투원을 처치하면 탄창의 20%가 즉시 재장전되며 검의 경우 강한 공격이 20% 충전됩니다. 이 효과는 10초에 3번까지 발동 가능합니다.
40000 Sidereal Year

4.2.4. 선형 융합 소총

4.2.4.1. 종착 지점
종착 지점 ,(End of the Line),
선형 융합 소총

인류는 한때 다른 별에도 발을 디디곤 했습니다. 요즘은 우주 엘레베이터 최고의 권력자에게조차도 어려운 일이죠.
파일:destiny_element_arc.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건틀릿 작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정밀프레임.png 정밀 프레임 (Precision Frame)
긴 유효 사거리를 가진 정밀 에너지 탄환을 발사합니다. 반동이 수직으로 작용하여 제어하기 쉽습니다.
소란 (Disturbance)
기원 속성
방어막이 파괴된 상태에서 무기로 전투원을 처치하면 탄창의 20%가 즉시 재장전되며 검의 경우 강한 공격이 20% 충전됩니다. 이 효과는 10초에 3번까지 발동 가능합니다.
End of the Line

4.2.5.

4.2.5.1. 요시모토
요시모토 ,(Yoshimoto),

한밤 중에 강렬한 폭풍이 국지에 당도했습니다.
파일:destiny_element_arc.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영웅 건틀릿 돌격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경량프레임_활.png 경량 프레임 (Lightweight Frame)
'''리커브 활. 이 무기를 장착하면 활시위를 당기는 속도와 이동 속도가 빨라집니다.'''
편집증 (Paranoia)
기원 속성
전투원을 처치하면 이동 속도가 5초 동안 5% 증가합니다. 총 3스택까지 중첩할 수 있습니다.
Yoshimoto

4.3. 분산

무기 업그레이드 목록
탄약 조준경 탄창
구름폭발 유탄 | 분산
Cloudburst Grenades
무기 피해량 +1.5% (최대 +15%)
SPO-57 프론트 | 분산
SPO-57 Front
몸 사격 피해량 +1.5% (최대 +15%)
스프링휠 탄창 | 분산
Springwheel Mag
무기 폭발 피해량 +2.0% (최대 +20%)
뿔 유탄 | 분산
Horn Grenades
무기 피해량 +0.9% (최대 +9%)
SLO-12 포스트 | 분산
SLO-12 Post
몸 사격 피해량 +0.9% (최대 +9%)
플레어드 매그웰 | 분산
Flared Magwell
무기 명중 피해량 +1.2% (최대 +12%)

4.3.1. 유탄 발사기

4.3.1.1. 현재 함대
현재 함대 ,(Present Fleet),
경량 유탄 발사기

전쟁군주 카타뇨는 개조된 모래 준설기의 함대로 지브롤터에서 발렌시아에 걸친 해안선을 지배했다.
-산감의 암흑기 전쟁 연대기 1권
파일:destiny_element_arc.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건틀릿 맹공격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경량프레임.png 경량 프레임 (Lightweight Frame)
휴대용 단발 유탄 발사기로, 원격에서 폭발시킵니다. 버튼을 길게 눌러 발사하고, 버튼을 놓아 폭발시킵니다.
공감각 (Synesthesia)
기원 속성
재장전하면 다음 결정타를 기록할 때까지 무기의 사거리와 조작성이 +20씩 증가합니다. 분산 무기군의 경우 투사체 속도가 +35 증가합니다.
Present Fleet
4.3.1.2. 유인 매복
유인 매복 ,(Tsurinobuse),
유탄 발사기

총알, 수류탄, 박격포가 하늘에서 비내리듯 쏟아졌고, 전쟁군주 류조지와 그의 호위병들은 7분만에 섬멸당했다.
-산감의 암흑기 전쟁 연대기 3권
파일:destiny_element_void.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건틀릿: 돌격 - 조립 시설 클리어, 이동 관문, 이동 관문 상인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속사프레임.png 속사 프레임 (Rapid-Fire Frame)
예비 탄약을 보다 많이 소지할 수 있습니다. 탄창이 비었을 때 재장전 속도가 다소 빨라집니다.
공감각 (Synesthesia)
기원 속성
재장전하면 다음 결정타를 기록할 때까지 무기의 사거리와 조작성이 +20씩 증가합니다. 분산 무기군의 경우 투사체 속도가 +35 증가합니다.
Tsurinobuse
4.3.1.3. HON1 카놈 크록
HON1 카놈 크록 ,(HON1 Khanom Khrok),
유탄 발사기

"이거 네 그 팔 넷 달린 친구한테 전해줘. -고철이랑 코코넛 통조림 교환은 더 이상은 안돼!"
파일:destiny_element_thermal.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영웅 공격전, 건틀릿 맹공격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적응형프레임.png 적응형 프레임 (Adaptive Frame)
균형 잡힌 손잡이로, 안정적이고 튼튼합니다.
문화 충돌 (Culture Clash)
기원 속성
최대 사거리 밖에서 주는 피해가 15% 증가합니다. 검의 경우 전투원에게 접근하면 충전 속도가 15% 증가합니다.
HON1 Khanom Khrok

이름인 카놈 크록은 태국의 전통 디저트로, 쌀가루, 설탕, 코코아 밀크를 섞은 반죽을 무쇠팬에 구워 만드는 핫케이크에 가까운 음식이다.

4.3.2. 로켓 발사기

4.3.2.1. 뿔 넷의 숫양
뿔 넷의 숫양 ,(Four-horned Ram),
로켓 발사기

충분한 화력을 가진 락픽을 버티는 문은 별로 없습니다. 뭐, 버티는 벽도 별로 없습니다.
파일:destiny_element_arc.png 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건틀릿: 돌격 - 범람 클리어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공격적프레임.png 공격적 프레임 (Aggressive Frame)
공격력이 높지만, 반동도 강합니다.
소란 (Disturbance)
기원 속성
방어막이 파괴된 상태에서 무기로 전투원을 처치하면 탄창의 20%가 즉시 재장전되며 검의 경우 강한 공격이 20% 충전됩니다. 이 효과는 10초에 3번까지 발동 가능합니다.
Four-horned Ram
4.3.2.2. HON2 투툼알릭
HON2 투툼알릭 ,(HON2 Tutum'Alik),
로켓 발사기

리이스의 희귀한 식물성 오일과 해조류로 만든 이 차가운 에피타이저는 라이트가 구토감을 느끼지 않는 유일한 엘릭스니 음식입니다.
파일:destiny_element_void.png 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영웅 공격전, 건틀릿 맹공격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적응형프레임.png 적응형 프레임 (Adaptive Frame)
균형 잡힌 손잡이로, 안정적이고 튼튼합니다.
문화 충돌 (Culture Clash)
기원 속성
최대 사거리 밖에서 주는 피해가 15% 증가합니다. 검의 경우 전투원에게 접근하면 충전 속도가 15% 증가합니다.
HON2 Tutum'Alik

4.4. 충격

무기 업그레이드 목록
탄약 조준경 탄창
패각 유탄 | 충격
Clam Grenades
무기 피해량 +1.5% (최대 +15%)
GA 포스트 | 충격
GA Post
몸 사격 피해량 +2.0% (최대 +20%)
폭풍 탄창 | 충격
Storm Magazine
무기 명중 피해량 +1.5% (최대 +15%)
외피 제거 탄약 | 충격
Decladding Ammo
무기 피해량 +0.9% (최대 +9%)
메이랭 RDS | 충격
Meyrin RDS
몸 사격 피해량 +1.2% (최대 +12%)
퀵드로우 탄창 | 충격
Quick-Draw Mag
무기 명중 피해량 +0.9% (최대 +9%)

4.4.1. 보조 무기

4.4.1.1. 주신구라
주신구라 ,(Chushingura),
보조 무기

낭비가 아니라, 오늘 밤을 위한 준비라고! 오늘 밤!
파일:destiny_element_void.png 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건틀릿 작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경량프레임.png 경량 프레임 (Lightweight Frame)
조작성이 탁월합니다. 이 무기를 장착하면 이동 속도가 빨라집니다.
편집증 (Paranoia)
기원 속성
전투원을 처치하면 이동 속도가 5초 동안 5% 증가합니다. 총 3스택까지 중첩할 수 있습니다.
Chushingura
4.4.1.2. DEL6 코코레치
DEL6 코코레치 ,(DEL6 Kokoretsi),
보조 무기

"열 한번째 실패다. 절대로 라이트가 요리중에 렌치 컬렉션을 보자며 끌고가지 못하게 해야한다, 꼭 기억해야한다!"
파일:destiny_element_thermal.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영웅 공격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공격적프레임.png 공격적 점발사격 (Aggressive Burst)
4발의 탄약을 점발사격하여 큰 타격을 줍니다.
문화 충돌 (Culture Clash)
기원 속성
최대 사거리 밖에서 주는 피해가 15% 증가합니다. 검의 경우 전투원에게 접근하면 충전 속도가 15% 증가합니다.
DEL6 Kokoretsi

이름인 코코레치는 발칸 반도와 아나톨리아 지역에서 유래한 내장 요리로, 양과 염소의 부속 고기를 작은창자로 감싸고 꼬챙이에 꿰어 직화로 돌려가며 구워서 만드는 요리이다. 간식에서 이름을 따온 다른 RwR의 무기들과는 달리 후술할 IST1 파라타와 함께 주식에서 이름을 따온 것이 특징.

4.4.2. 산탄총

4.4.2.1. 영원한 응징
영원한 응징 ,(Eternal Retribution),
산탄총

"도주를 시도했다가 다시 붙잡힌 자들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는 아무도 몰라." -요새 죄수
파일:destiny_element_void.png 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건틀릿 맹공격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속사프레임.png 속사 프레임 (Rapid-Fire Frame)
자동 발사되며, 예비 탄약을 보다 많이 소지할 수 있습니다. 탄창이 비었을 때 재장전 속도가 다소 빨라집니다.
소란 (Disturbance)
기원 속성
방어막이 파괴된 상태에서 무기로 전투원을 처치하면 탄창의 20%가 즉시 재장전되며 검의 경우 강한 공격이 20% 충전됩니다. 이 효과는 10초에 3번까지 발동 가능합니다.
Eternal Retribution

속사 프레임인만큼 순간 DPS는 매우 높지만 발속이 빠른 만큼 탄 소모도 극심하고, 발사하는 시간에 비해서 장전도 잦고 길기 때문에 지속적인 교전 능력보다는 중대형 전투원을 대상으로 극딜에 적합한 편이다. 경이 산탄총인 팔분면 폭동 진압기와 비슷한 사용 방법 및 입지를 공유하는 셈. 시네마틱 캐릭터 트레일러에서 그윈이 사용하는 산탄총이기도 하다.
4.4.2.2. 테르모필레-80
테르모필레-80 ,(Thermopylae-80),
산탄총

지나가는 이여, 볼로스의 사람들에게 우리가 그들의 명령에 따라 최후의 숨이 멎을 때까지 전선을 지켰음을 알리게나.
-산감의 암흑기 전쟁 연대기 4권
파일:destiny_element_thermal.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건틀릿: 돌격 - 감시하는 벽 클리어, 이동 관문, 이동 관문 상인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속사프레임.png 속사 프레임 (Rapid-Fire Frame)
예비 탄약을 보다 많이 소지할 수 있습니다. 탄창이 비었을 때 재장전 속도가 다소 빨라집니다.
공감각 (Synesthesia)
기원 속성
재장전하면 다음 결정타를 기록할 때까지 무기의 사거리와 조작성이 +20씩 증가합니다. 분산 무기군의 경우 투사체 속도가 +35 증가합니다.
Thermopylae-80
4.4.2.3. IST2 니아아틱스
IST2 니아아틱스 ,(IST2 Niaatiks),
산탄총

리빅스는 상품에 "좋아하는" 엘릭스니 전통 음식의 이름을 붙여보라고 라이트를 설득했지만, 라이트에겐 선택지가 많지 않았습니다.
파일:destiny_element_arc.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영웅 공격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공격적프레임.png 공격적 프레임 (Aggressive Frame)
큰 타격을 주며 반동이 강한 무기입니다. 처치 후 발사 속도를 증가시킵니다.
문화 충돌 (Culture Clash)
기원 속성
최대 사거리 밖에서 주는 피해가 15% 증가합니다. 검의 경우 전투원에게 접근하면 충전 속도가 15% 증가합니다.
IST2 Niaatiks

4.4.3. 융합 소총

4.4.3.1. IST1 파라타
IST1 파라타 ,(IST1 Parantha),
융합 소총

헤이븐에서 가장 인기있는 가정식 아침 식사 메뉴들 중 하나로, 리빅스도 아침 식사로 가장 좋아합니다.
파일:destiny_element_arc.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건틀릿 맹공격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정밀프레임.png 정밀 프레임 (Precision Frame)
반동이 수직으로 작용하여 제어하기 쉽습니다.
문화 충돌 (Culture Clash)
기원 속성
최대 사거리 밖에서 주는 피해가 15% 증가합니다. 검의 경우 전투원에게 접근하면 충전 속도가 15% 증가합니다.
IST1 Parantha

이름인 파라타는 남부 아시아에서 처음 만들어진 납작빵으로, 발효시키지 않은 반죽을 팬에 구워 감자나 채소, 치즈 등을 소로 넣어 먹기도 하고, 반죽에 처음부터 소를 넣어서 굽기도 하는 음식이라고.

4.4.4.

4.4.4.1. 노부나가
노부나가 ,(Nobunaga),

칼로 흥한 자는 칼로 망한다.
파일:destiny_element_arc.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건틀릿 돌격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경량프레임.png 경량 프레임 (Lightweight Frame)
[강한 공격]: 강한 돌진 공격을 가합니다.
강한 공격은 에너지가 가득 차 있을 때 더 강한 위력을 발휘합니다.
편집증 (Paranoia)
기원 속성
전투원을 처치하면 이동 속도가 5초 동안 5% 증가합니다. 총 3스택까지 중첩할 수 있습니다.
Nobunaga
4.4.4.2. 급조한 결말
급조한 결말 ,(Makeshift Ending),

방책을 넘어 탈출에 성공한 소수의 도망자들은 고철을 주워 무기를 만들었고, 이 무기들은 다시 붙잡힌 후 압수되었습니다.
파일:destiny_element_thermal.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건틀릿 맹공격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적응형프레임.png 적응형 프레임 (Adaptive Frame)
[강한 공격]: 강한 어퍼컷 공격을 가합니다.
강한 공격은 에너지가 가득 차 있을 때 더 강한 위력을 발휘합니다.
소란 (Disturbance)
기원 속성
방어막이 파괴된 상태에서 무기로 전투원을 처치하면 탄창의 20%가 즉시 재장전되며 검의 경우 강한 공격이 20% 충전됩니다. 이 효과는 10초에 3번까지 발동 가능합니다.
Makeshift Ending
4.4.4.3. CLY2 카칼리크
CLY2 카칼리크 ,(CLY2 Kakalik),

모래처럼 생긴 속씨 식물의 열매를 곱게 갈아서 구워낸 엘릭스니 음식입니다.
파일:destiny_element_void.png 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신화 무기 엔그램 및 영웅 공격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적응형프레임.png 적응형 프레임 (Adaptive Frame)
[강한 공격]: 강한 어퍼컷 공격을 가합니다.
강한 공격은 에너지가 가득 차 있을 때 더 강한 위력을 발휘합니다.
문화 충돌 (Culture Clash)
기원 속성
최대 사거리 밖에서 주는 피해가 15% 증가합니다. 검의 경우 전투원에게 접근하면 충전 속도가 15% 증가합니다.
CLY2 Kakalik

5. 경이 무기

5.1. 연사

5.1.1. 자동 소총

5.1.1.1. 멋진 모습
멋진 모습 ,(Sweet Business),
자동 소총

회수 기록 0010: 163 태양일 - 안젤린-아사프 홀 센터, 스틱니 크레이터, 포보스
파일:destiny_element_thermal.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합성 경이 엔그램 및 이동 관문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월급날.png 월급날 (Payday)
탄창이 커집니다. 비조준 사격 시 정확도가 증가합니다. 특수 화기 또는 중화기 탄약을 획득하면 이 무기가 즉시 재장전됩니다.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영업시간.png 영업 시간 (Business Time)
사격을 지속하면 사거리와 발사 속도가 증폭됩니다.
Sweet Business

데스티니 가디언즈에도 등장하는 미니건 형태의 자동 소총이다. 데스티니 라이징에선 물리 속성이 없어짐에 따라 태양 속성으로 변경되었다. 1촉매 시 발사 속도가 1200까지 증가하며 최대 발사 속도 상태에서 입는 피해가 크게 감소하고, 2촉매 시 무기를 수납하면 자동으로 장전하게 된다. 딜링의 핵심인 3촉매 시 최대 발사 속도를 2초간 유지하면 안정성을 30 희생해서 피해량이 20% 증가한다.

데스티니 가디언즈의 라이브 트레일러에서도 등장했을 만큼 유서 깊고 상징적인 무기인지라 공식 앱 아이콘과 출시 트레일러에서도 늑대가 이 무기를 들고 있으며. 실제로 늑대가 사용해도 무난하나 인게임에서는 방벽 시전 시 자동 소총으로 가하는 피해가 추가 폭발을 일으키는 핀날라와의 시너지가 조금 더 좋은 편이다. 가챠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캐릭터 일러스트에서도 핀날라는 멋진 모습을 들고 있으며, 핀날라 일러스트를 완성하면 멋진 모습의 고전 경제학 스킨을 지급하는 것은 덤이다.
지식[ 펼치기 ]
██████[ 접 기 ]
"이 무기의 주인에게,


5.1.2. 기관단총

5.1.2.1. 줄타기 곡예사
줄타기 곡예사 ,(Riskrunner),
기관단총

회수 기록 0050: 396 태양일 - 전투 바지선 "프러시안 블루", 4번 공역, 하이페리온
파일:destiny_element_arc.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합성 경이 엔그램 및 영웅 공격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전기 도체.png 전기 도체 (Arc Conductor)
전기 피해를 받으면 무기의 위력과 전기 저항이 증가합니다.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초전도체.png 초전도체 (Superconductor)
전기 도체가 활성화되면 발사한 사격이 일정 확률로 연쇄 번개가 되고 탄약을 반환합니다.
Riskrunner

데스티니 가디언즈에도 등장하는 기관단총이다. 1촉매 시 전기 속성 직업 능력을 사용해도 전기 도체 특성을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되고. 2촉매 시 전기 도체 특성이 활성화 되었을 때 무기 피해량이 16.6% 증가하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전기 피해 저항을 부여한다. 3촉매 옵션은 전기 도체 특성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초전도체 특성으로 가한 연쇄 번개의 피해량이 33% 증가하여 다인전 성능을 크게 강화시킨다. 때문에 원전인 데스티니 가디언즈처럼 데스티니 라이징에서도 전기 속성 공격을 주로 가하는 몰락자 진영을 하드카운터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경이 무기.
지식[ 펼치기 ]
██████[ 접 기 ]
"푸나리스가 우리곁을 영원히 떠나기 전에, 클로토 프로젝트를 위해 목숨을 바친 이 친구에게 눈물 대신 묵념의 시간을 통해 작별 인사를 하겠습니다."


5.1.2.2. 허클베리
허클베리 ,(The Huckleberry),
기관단총

회수 기록 0001: 151 태양일 - 플리머스 외곽, 뉴 햄프셔, 북아메리카
파일:destiny_element_void.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합성 경이 엔그램 및 이동 관문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황소타기.png 황소 타기 (Ride the Bull)
방아쇠를 당기는 동안 발사 속도와 반동이 증가합니다. 이 무기로 결정타를 기록하면 탄창이 재장전됩니다.
윤회 (Reincarnation)
속성
이 무기로 결정타를 기록하면 6초 동안 피해량이 15% 증가합니다. 최대 6회 중첩됩니다. 빛의 운반자에게는 피해가 크게 감소합니다. 빛의 운반자나 강력한 전투원을 처치하면 여러 명을 처치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The Huckleberry

데스티니 가디언즈에도 등장하는 기관단총이다. 데스티니 라이징에선 물리 속성이 없어짐에 따라 공허 속성으로 변경되었다. 1촉매 시 전투원을 처치하면 자동으로 탄창을 재장전함과 동시에 최대 발사 속도 상태에서 재장전 시 발사 속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2촉매 시에는 데스티니 라이징에서 추가된 윤회 특성을 강화한다. 3촉매의 성능은 최대 발사 속도 상태에서 피해량이 50% 증가하는 단순하지만 강력한 옵션으로, 새벽의 수호물 내부에서 버프 지속시간 동안 주 무기 기관단총을 재장전 없이 무한탄창으로 사용 가능한 졸더가 사용하면 시너지가 매우 강력한 모습을 보여준다.
지식[ 펼치기 ]
██████[ 접 기 ]
연구소의 비상등이 깜빡이자 파지직거리는 소리가 들렸고, 환풍기가 다시 돌아가는 소리가 들렸다. 하지만 예비 전력은 환풍기의 일반 속도를 발전시키기에는 부족했기에 평소보다 험악한 소리가 났다. 시그나르는 관측실의 관객들을 응시하며 편광판을 떼내고 한숨을 쉬었다.


5.1.3. 파동 소총

5.1.3.1. 분노 III
분노 III ,(Furies III),
파동 소총

믿을만한 인공지능 무기로써, 분노 III는 목표를 더 효율적으로 쓰러뜨릴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스스로를 업그레이드합니다.
파일:destiny_element_thermal.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개벽의 시즌 패스 보상
신경 전류 (Neural Currents)
속성
지속 사격시 이 무기의 발사 속도는 540까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전쟁 기계 학습 (War Machine Learning)
속성
연속 명중 시 대상 주변에 치명적인 역장이 생성됩니다. 이 역장을 명중시키면 더 큰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Furies III

개벽의 시즌 1막 시즌 패스에서 얻을 수 있었던 전쟁지능 테마의 경이 무기. 그리스 신화의 3여신인 에리니에스를 모티브로 3발 점사 사격을 단일 전투원한테 3회 명중시켜 지속 사격을 가하면 발사 속도가 증가하는 동시에 해당 적을 두르는 세라프 역장이 생성되며, 이 역장을 사격하면 정밀 타격을 노리지 않아도 피해가 치명타로 들어간다. 1촉매 시 역장에 가하는 사격의 피해량이 17.5% 증가하고 역장이 더 오래 지속되며, 2촉매 시 연속으로 역장을 명중하면 탄창의 일부가 반환된다. 3촉매의 성능은 역장에 가하는 사격의 피해량이 추가로 32.5% 증가하는 단순하지만 강력한 옵션.

2편의 신성완벽한 폭동을 적절히 섞은 무기로, 3촉매까지 활성 시 역장을 씌운 전투원에게 가하는 치명타 피해가 무려 50%나 증가하여 중화기에 맞먹는 딜량을 뽑아낸다. 때문에 원래 이미 강력한 에스텔라보다는 약간 화력이 부족한 케이버에게 더 유용한 무기로, 케이버는 방벽 뒤에서 사격 시 주위 전투원에게 연쇄 번개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보스, 엘리트 전투원을 상대로 하는 중화기 경이보다는 지속력이 더 좋고 탄약에 대한 부담없이 사용 가능한 주 무기 경이인 분노 III와의 시너지가 좋다.

5.1.4. 기관총

5.1.4.1. 교수형 집행대
교수형 집행대 ,(Gallows),
기관총

질서 속에서, 나는 분해된다. 혼돈 속에서, 나는 다시 태어난다. 죽음조차 포기한 이 새로운 시대에 어서 와라.
파일:destiny_element_void.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합성 경이 엔그램 및 건틀릿 맹공격
보스노바 유탄 (Bosenova Grenades)
속성
피해를 입히면 추적 공허 수류탄 두 개가 충전되어 발사됩니다.
편광 강선 (Polarized Rifling)
속성
이 무기는 전투가 오래 지속될수록 사거리가 점차 늘어나다가 더 이상 피해가 감쇠하지 않고, 전투에서 벗어나면 사거리가 초기화됩니다.
Gallows

건틀릿: 맹공격 중 이사키스의 성막 전투에서 얻을 수 있는 레이드 경이다. 성능은 2편의 변덕스러운 폭풍의 기관총 버전으로, 지속 사격을 하면 총열 아래의 언더배럴에서 공허 유탄 2개가 생성되어 같이 발사된다. 이 공허 유탄의 성능이 기본적으로 매우 강력한데, 그 때문인지 촉매제 옵션도 1촉매 시 공허 유탄 발사 속도 증가, 2촉매 시 무기 연사력 20% 증가, 3촉매 시 공허 유탄의 폭발 피해가 40% 증가하는 단순한 옵션들에다가 전부 기관총이 아닌 유탄의 DPS와 피해량을 강화한다.

기관총과 유탄을 같이 발사하기 때문에 딜이 워낙 잘 나오고, 공허 유탄이 공허 속성 보호막은 물론이고 분산 진화체 또한 카운터 할 수 있어서 에스텔라 유저들이 애용한다.
5.1.4.2. 후계자
후계자 ,(Heir Apparent),
기관총

회수 기록 0062: 338 태양일 - "엘리고스 벡스 V" 순양함. 해왕성 궤도
파일:destiny_element_thermal.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합성 경이 엔그램 및 건틀릿 작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중화기 납탄 투척자.png 중화기 납탄 투척자 (Heavy Grenade Launcher)
조준 시 무기를 회전시킵니다. 이 무기는 완전히 회전하고 있을 때만 발사할 수 있습니다.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거상의 방어구.png 거상의 방어구 (Armor of the Colossus)
생명력이 최대일 때 이 무기를 회전시키면 전기 방어막으로 자신을 보호합니다.
Heir Apparent

데스티니 가디언즈에도 등장하는 기갑단 거상의 기관총이다. 1촉매 시 전기 방어막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전기 피해 저항 25%, 공허와 태양 피해 저항 38%를 부여하며, 방어막이 파괴되면 탄창의 50%를 재장전한다. 2촉매 시 사격을 연속으로 명중시키면 피해량이 최대 25%까지 증가하여 목표가 쓰러질 때까지 유지되며, 3촉매 시 2촉매 옵션으로 증가하는 피해량이 25%에서 50%까지 상승한다.

5.1.5. 자동 쇠뇌

5.1.5.1. 공작명왕
공작명왕 ,(Mahamayuri),
자동 쇠뇌

모든 것은 유한하다. 모든 현상은 스스로 발생하지 않는다. 열반이 곧 평온이다.
파일:destiny_element_arc.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합성 경이 엔그램 및 건틀릿 맹공격
트리무르티 (Trimurti)
속성
3발의 화살을 발사합니다.
다라니의 화살 (Dharani's Bolt)
속성
비조준 사격으로 발사한 화살은 표적을 관통합니다. 조준 사격으로 발사한 화살은 확산 범위가 크게 줄어들고 정밀 피해가 증가합니다.
Mahamayuri

건틀릿: 맹공격 중 대첨탑 침투 전투에서 얻을 수 있는 레이드 경이다. 쇠뇌 볼트를 부착시켜 터트리는 무기군의 기본 속성이 삭제된 대신 한발에 3개의 볼트를 방사한다. 조준 사격하면 볼트의 분산도가 감소하며 치명타 피해가 증가한다. 레이드 경이 중 제일 정신나간 성능을 가진 경이로, 본래는 연사 진화체 특화여야 할 무기가 모든 진화체를 카운터할 수 있을 수준의 딜량을 보여준다. PvP 특화 능력을 가진 닝 페이의 파워 무기라서 PvP에서 닝 페이가 미쳐날뛰게 해주는 원흉 중 하나다.

촉매제 옵션 또한 1촉매 시 비조준 사격으로 발사한 볼트의 관통 피해가 25% 증가하며, 2촉매 시 조준 사격의 발사 속도가 15% 증가하여 비조준 사격과 조준 사격 각각의 성능이 완성된다. 3촉매까지 활성화하면 한발에 발사하는 볼트의 갯수가 3개에서 4개로 증가하는 대신 각각의 볼트의 피해랑이 90%로 감소하는데, 기본으로 중화기 무기이기 때문에 체감 감소량이 미미하여 실질적으로는 피해량이 1.2배 증가하는 것과 동일하다. 대신 탄약 소비량은 체감이 큰 편.

5.2. 관통

5.2.1. 정찰 소총

5.2.1.1. 북극성 창
북극성 창 ,(Polaris Lance),
정찰 소총

회수 기록 0012: 251 태양일 - 버려진 안데스 초소, 홀 크레이터, 포보스
파일:destiny_element_thermal.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합성 경이 엔그램 및 영웅 공격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경제적인 사격.png 경제적인 사격 (The Perfect Fifth)
정밀 공격이 적중하면 탄약을 반환합니다. 정밀 공격이 네 번 적중하면 다음 공격 시 대상을 소각하는 지연 태양 폭발성 탄약을 발사합니다.
나노 염증 (Nanoinflammation)
속성
대상에게 걸린 약화 효과 하나당 이 무기로 받는 피해가 15%씩 증가합니다. 3회 중첩됩니다. 빛의 운반자에게 가하는 피해가 크게 감소합니다.
Polaris Lance

데스티니 가디언즈에도 등장하는 아나 브레이가 직접 제작한 정찰 소총으로, 로어에 따르면 데스티니 라이징에서도 동일하게 아나 브레이가 제작한 무기이며 출시 트레일러에서 탄-2가 사용하는 모습으로도 등장한다. 1촉매 시 정밀 결정타가 원소 폭발을 일으키며, 2촉매 시 지연 태양 폭발성 탄약으로 인해 대상이 입는 소각 피해가 100% 증가한다. 3촉매의 성능은 무기로 가하는 모든 폭발 피해가 75% 증가하는 단순하지만 강력한 옵션으로, 정찰 소총인 동시에 폭발 공격을 가하기 때문에 관통 진화체에 더불어 분산 진화체에도 대처가 가능하다.

5.2.2. 핸드 캐논

5.2.2.1. 옛 지사
옛 지사 ,(The Old Prefect),
핸드 캐논

적들이 갈 수 있는 곳이라면, 내 군사들도 갈 수 있다.
파일:destiny_element_thermal.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합성 경이 엔그램 및 건틀릿 작전
호랑이의 몸날림 (Tiger's Throw)
속성
이 무기는 산탄을 발사합니다.
용의 숨결 (Dragon's Breath)
속성
연속적으로 공격하면 대상을 불태우고 더 큰 피해를 입힙니다.
The Old Prefect

데스티니 가디언즈에 나오는 확산 발사 프레임과 비슷한 성능을 가진 태양 속성 샷건 핸드 캐논이다. 1촉매 시 사격을 명중해서 충분한 소각 스택을 누적시키면 목표에게 대형 태양 원소 폭발을 발생시키며, 2촉매 시 소각 피해와 연속 명중으로 가하는 약화 효과가 20% 증가한다. 3촉매 시에는 연속 명중으로 가하는 폭발 피해와 반경이 50% 증가하여 다인전 성능이 더욱 강화된다. 산탄을 발사하는 만큼 사거리가 매우 짧은 편이기 때문에 핸드 캐논보다는 산탄총에 가까운 느낌으로 운용해야 하며, 폭발 효과 덕분에 분산 진화체도 카운터가 가능한 독특한 무기.
5.2.2.2. 진홍 핏자국
진홍 핏자국 ,(Crimson),
핸드 캐논

회수 기록 0014: 247 태양일 - 최후의 도시, 남아메리카
파일:destiny_element_arc.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합성 경이 엔그램 및 이동 관문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금지된무기.png 금지된 무기 (Banned Weapon)
이 무기는 3발의 탄약을 점발사격합니다.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잔인한치유.png 잔인한 치유 (Cruel Remedy)
이 무기로 적을 처치하면 무기 사용자가 치유됩니다. 또한 정밀 사격으로 처치하면 탄창이 충전됩니다.
Crimson

데스티니 가디언즈에도 등장하는 핸드 캐논이다. 데스티니 라이징에선 물리 속성이 없어짐에 따라 전기 속성으로 변경되었다. 1촉매 시 3점사 중 마지막으로 명중하는 탄약의 피해량이 30% 증가하고, 2촉매 시 안정성이 대폭 증가하는 동시에 발사 속도가 540까지 증가한다. 3촉매 시에는 3점사 중 마지막으로 명중하는 탄약의 피해량이 추가로 60% 증가한다. 데스티니 가디언즈처럼 체력 회복 성능과 손에 감기는 뛰어난 사용감에 더불어서, 2촉매 옵션의 발사 속도 증가 덕분에 관통 진화체에 더불어 연사 진화체까지 대응이 가능한 무기.

5.2.3. 저격총

5.2.3.1. 보레알리스
보레알리스 ,(Borealis),
저격총

회수 기록 0056: 404 태양일 - 감로주의 바다, 달
파일:destiny_element_void.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합성 경이 엔그램 및 영웅 공격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고유본질.png 본질 (The Fundamentals)
재장전 키를 길게 누르면 이 무기의 피해 유형이 태양, 전기, 공허 순으로 계속 변경됩니다. 해당 무기의 피해 유형과 일치하는 원소 결정체를 적용하거나 획득하면 일시적으로 무기의 공격력이 증가합니다.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이온 반환.png 이온 반환 (Ionic Return)
일치하는 피해 유형으로 전투원의 방어막을 파괴하거나 궁극기를 사용 중인 수호자의 방어막을 파괴하면 탄창에 예비 탄약이 채워지며 보너스 피해 탄약을 받습니다. 일치하는 피해 유형의 이온 반환 탄약으로 전투원의 방어막을 파괴하면 특성이 회복됩니다.
Borealis

데스티니 가디언즈에도 등장하는 저격총이다. 본편과 동일하게 자유로운 3원소 속성 전환이 가능하며, 1촉매 시 보스와 강력한 전투원에게 가하는 피해량이 20% 증가한다. 2촉매 시에는 무기와 동일한 속성의 보호막에 가하는 피해량이 45% 증가하며, 3촉매 시 무기와 동일한 속성의 보호막을 파괴하면 발생하는 원소 폭발의 피해량이 100% 증가하여 원전인 데스티니 가디언즈처럼 대 보호막 철거용 무기로 운용이 가능하다. 다만 데스티니 가디언즈의 원본처럼 원소 속성 전환에 걸리는 시간이 긴 편이라, 다인 활동에서는 제성능을 발휘하기도 전에 다른 화력팀원들이 먼저 보호막을 철거해 버릴수도 있다는 점이 흠.
5.2.3.2. 이자나기의 짐
이자나기의 짐 ,(Izanagi's Burden),
저격총

회수 기록 0011: 208 태양일 - 빈터베르크, 칼러 아스텐, 유럽
파일:destiny_element_thermal.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합성 경이 엔그램 및 건틀릿 작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이자나기연마된칼날.png 연마된 칼날 (Honed Edge)
재장전 키를 길게 누르면 탄창을 소모하면서 추가 사거리와 피해량을 가진 탄약 1개를 장전합니다.
무법자 개조 (Outlaw Refit)
속성
정밀 결정타 시 재장전 속도를 60만큼 증가시킵니다.
Izanagi's Burden

데스티니 가디언즈에도 등장하는 저격총이다. 데스티니 라이징에선 물리 속성이 없어짐에 따라 태양 속성으로 변경되었다. 1촉매 시 연마된 칼날 특성으로 장전한 특수 탄약의 정밀 피해가 15% 증가하며, 2촉매 시 탄창이 비었을 때 재장전 속도가 +20 증가한다. 3촉매 시에는 보스와 강력한 전투원에게 가하는 정밀 피해가 15% 증가한다.

데스티니 라이징의 세계관에선 검은 무기고가 완전히 해체되기 전, 검은 무기고의 기술을 수집하는 빛의 운반자들이 검은 무기고의 생존자들을 약탈하던 전쟁군주들을 처치하는데 성공하면서 앙리에트 메이랭이 에이다-1을 위해 히페리온 핵을 빼돌리지 않았고, 그 이자나기의 짐이 완제품 형태로 남았다는 설정이다. 무기가 회수된 시점은 유키 사토우가 전쟁군주들과 대치하던 때로, 본편에서는 유키가 수류탄으로 자폭해서 앙리에트와 에이다-1을 탈출시켰지만 데스티니 라이징의 세계에선 유키가 자폭하기 직전 검은 무기고의 기술을 수집하던 빛의 운반자들이 전쟁군주들을 모조리 처치하고 유키를 진정시켜 안전핀을 다시 꽂아넣는다.

5.2.4. 선형 융합 소총

5.2.4.1. 왕실 배반
왕실 배반 ,(Royal Contravene),
선형 융합 소총

회수 기록 0048: 377 태양일 - 거미의 무덤, 난파선 만, 리프
파일:destiny_element_arc.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합성 경이 엔그램 및 건틀릿 작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와이어 소총.png 와이어 소총 (Wire Rifle)
재장전 키를 길게 누르면 조준경을 전환하고 무기의 발사 모드를 변경합니다.
저격수 조준경 (Marksman Sights)
속성
충전 시간은 길지만 더 큰 피해를 주는 장거리 조준경입니다. 탄환 한 발을 발사하면 근처 대상에게 연쇄적으로 이어지며 적중 시 대상을 실명시킵니다. 탄약 및 충전 레벨이 표시됩니다. 이 조준경을 선택하면 기본 장착된 상태로 생성됩니다.
전투 조준경 (Comebat Sights)
속성
충전 시간이 빠르고 조작성이 좋은 저배율 조준경입니다. 연속 적중 시 충전 시간을 더욱 단축하는 3발 점발사격을 발사합니다. 능력 에너지가 표시됩니다. 이 조준경을 선택하면 기본 장착된 상태로 생성됩니다.
Royal Contravene

데스티니 시리즈에 앞서 등장한 경이 선형 융합 소총, 여왕의 배반자(The Queenbreaker)의 데스티니 라이징 버전이다. 외형과 성능이 모두 동일한 무기임에도 불구하고 이름이 다른 이유는 세계관 상으로 아직 늑대의 가문 엘릭스니들이 마라 소프를 배반하기 이전이기 때문. 게다가 여왕의 배반자는 데스티니 1 당시에는 이름이 여왕배반자의 활(Queenbreaker's Bow)이었으므로 시리즈마다 명칭이 다르다는 작명 규칙의 고증에 충실한 이름이라고 볼 수 있다.

1촉매 옵션은 무기의 탄창이 비었을 때, 전투원에게 명중한 횟수에 따라 일정량의 탄약을 자동으로 재장전한다. 2촉매 시 무기의 정밀 피해가 20% 증가하며, 3촉매 시에는 저격수 조준경 활성화 상태에서 가하는 연쇄 번개의 피해량이 33% 증가하고 정밀 피해로 입히는 연쇄 번개의 피해량이 추가로 증가하여 원전인 데스티니 가디언즈처럼 선형 융합 소총 특유의 경직성을 극복하고 대인전과 다인전 모두에서 유연하게 대처 가능한 무기가 된다.

5.2.5.

5.2.5.1. 삼위일체 악귀
삼위일체 악귀 ,(Trinity Ghoul),

회수 기록 0019: 215 태양일 - 홍해 사막, 지구 (설계도만 회수됨)
파일:destiny_element_arc.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개벽의 시즌 패스 보상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전자기 분할.png 전자기 분할 (Split Electron)
발사 시 여러 개의 화살로 분산됩니다. 조준하여 시위를 완전히 당기면 분산이 감소합니다.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번개봉.png 번개봉 (Lightning Rod)
적을 정밀 조준하여 처치하면 다음 발사 시에 연쇄 번개 효과를 부여합니다.
Trinity Ghoul

데스티니 가디언즈에도 등장하는 활이다. 1촉매 시 번개봉 특성이 무기로 결정타를 달성하거나 전기 속성 직업 능력을 사용하기만 해도 발동되도록 변경되며, 2촉매 시 번개봉 특성이 활성화 된 상태에서 정밀 타격을 가하면 지속 시간이 늘어나 최대 2회까지 발동하고, 번개봉 특성이 활성된 상태에서 결정타를 가하면 지속 시간이 초기화된다. 3촉매 성능은 번개봉 특성으로 가하는 연쇄 번개의 피해량이 25% 증가한다.

5.3. 분산

5.3.1. 유탄 발사기

5.3.1.1. 사티야아릭스니 스마트 폭탄
사티야아릭스니 스마트 폭탄 ,(Satiyaaliksni Smart Bomb),
유탄 발사기

"아... 모든 엘릭스니 유탄 발사기의 조상이다. 수많은 가문이 만들었다. 나를 무시한다- 너의 빛을 더 좋아한다. 내 생각에는." -케바르
파일:destiny_element_arc.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합성 경이 엔그램 및 이동 관문
공중 폭발 유탄 (Airburst Grenades)
속성
이 무기는 직사로 발사됩니다. 투사체가 목표물 근처에 접근하면 폭발합니다.
적색 거성 (Red Giant)
속성
발사 버튼을 길게 누르고 있으면 수류탄이 충전되며, 폭발 피해가 최대 50% 증가하고 반경이 25% 증가합니다.
Satiyaaliksni Smart Bomb

캠페인 진행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중탄 유탄 발사기이며 공격전에서 경이를 얻지 못하고 캠페인만 정직하게 따라가면 처음으로 획득하게 될 경이이다. 본편의 폭발적인 빛 특성을 경이로 가져온 무기로, 1촉매 시 궁극기가 충전된 상태에서 재장전 키를 길게 누르면 궁극기 에너지의 50%를 소모해 궁극기 유탄 5발을 장전시킬 수 있다. 궁극기 유탄은 중탄과는 별개의 취급이라 탄이 없어도 장전되며, 다음 사격의 피해를 증가시키는 폭발적인 빛과는 달리 5개의 궁극기 유탄을 모두 소모해야 중탄을 사용할 수 있다.

2촉매 시에는 무기의 충전 시간이 단축되며 충전 사격으로 발사한 유탄의 폭발 피해량이 100% 증가한다. 이 효과는 궁극기 게이지로 충전한 궁극기 유탄과 일반 중화기 유탄 모두에 적용되는 점이 특징. 3촉매 옵션은 궁극기 유탄의 기본 폭발 피해량이 30% 증가하는 단순하지만 강력한 능력이다.

설정상 이 무기는 모든 엘릭스니 유탄 발사기의 원형이 되는 무기로, 사티야아스크라는 엘릭스니가 여러 가문의 켈들을 모아 제작을 제안한 무기였다. 회오리(Whirlwind)와 여행자의 도주 이후 이 무기는 고향 행성을 떠난 몰락자들의 손에 들려 지구까지 흘러 들어왔고, 임무 도중에 이를 발견한 늑대가 몰락자 기술과 지식에 해박한 케바르의 도움을 받아 재조정하여 최종적으로 빛의 운반자의 빛을 주입해 충전하는 빛의 무기로 완성시키게 된다. 그래서인지 실제로도 궁극기 쿨다운이 짧은 늑대와 궁합이 좋은 편인 무기이다.
5.3.1.2. 드베르그 드릴
드베르그 드릴 ,(Dvergar Drill),
경량 유탄 발사기

우린 더 잘 해야한다. 다른 이들보다 더 잘 해야한다.
파일:destiny_element_void.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황야의 시즌 패스 보상
크라크 드릴 (Krak Drill)
속성
'''목표물에 직격하면 파고들어가 폭발하는 고속 유탄을 발사해 여러번의 피해를 줍니다.'''
시그문드의 파멸 (Sigmund's Bane)
속성
엘리트 및 강력한 적한테 주는 직격 피해가 40% 증가합니다. 결정타를 기록하면 무기의 재장전 속도가 잠시 증가합니다.
Dvergar Drill

황야의 시즌 1막 시즌 패스 보상으로, 첫 후미 장전식 유탄 경이이며 드릴이라는 이름답게 총열과 총신이 상시 회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1촉매 시에는 투사체를 전투원에게 직접 명중시켜 처치했을 시, 유탄이 폭발하여 주위에 기본 폭발 피해량의 50%의 피해를 입힌다. 2촉매 시에는 사티야아릭스니 스마트 폭탄처럼 투사체가 직사로 날아가게 되며 유탄의 직격 피해량이 15% 증가한다. 3촉매 시에는 투사체가 지형지물에 명중하여 폭발했을 때의 피해량이 기본 폭발 피해량의 두배로 증가하기 때문에 직격타를 노리지 않아도 되는 일반 유탄 발사기처럼 편하게 운용이 가능해진다.

설정상 검은 무기고를 이탈한 연구진들이 개발하던 무기로, 북유럽 출신인 헬가 라스무센 휘하의 연구진들이 개발해서 그런지 헬가의 취향이 반영된 무기다. 드베르그 드릴의 개발 목표는 장갑판을 뚫는 것으로, 검은 무기고의 위상 에너지 기술로는 불가능해서 아예 물리적으로 파고드는 기술을 완성했으며, 매이랭이 개발 비용을 가지고 뭐라고 할게 뻔해서 다가오는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탈주한 것이 밝혀진다. 무기 개발을 이끈 마빈 갤러거라는 연구원은 앞으로 올 위기라그나로크에 비교하며, 라그라로크에 대비하기 위해 발키리를 내보낸 오딘의 강력한 무기인 궁니르를 드베르그 드릴의 모티브로 삼았다.

5.3.2. 로켓 발사기

5.3.2.1. 이중 꼬리 여우
이중 꼬리 여우 ,(Two-Tailed Fox),
로켓 발사기

회수 기록 0022: 425 태양일 - 떠오르는 태양의 탑, 이나리하라, 금성
파일:destiny_element_void.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합성 경이 엔그램 및 영웅 공격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이중 로켓.png 이중 로켓 (Twintails)
같은 표적을 추적할 수 있는 로켓 2개(공허와 태양)를 발사합니다.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먹잇감 추적.png 먹잇감 추적 (Play With Your Prey)
공허 로켓은 적을 제압합니다. 태양 로켓은 지속적으로 피해를 줍니다.
Two-Tailed Fox

데스티니 가디언즈에도 등장하는 로켓 발사기다. 많은 경이들 중에서도 데스티니 가디언즈의 원본과 가장 비슷한 무기 중 하나로, 1촉매 시 공허와 태양 속성 로켓 외에도 추가로 전기 속성 로켓을 발사하는 기능이 추가되고, 2촉매 시 전기 속성 로켓의 피해량이 다른 두 로켓과 동일해지며, 3촉매 시 무기로 발사하는 모든 로켓의 폭발 피해량이 18% 증가하게 된다. 3촉매까지 완료시 보레알리스처럼 전 속성 보호막에 대처 가능한 데다 로켓 피해량이 54% 증가하여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오픈 직후인 현 시점에서는 사용 가능한 캐릭터가 대표적인 비주류 캐릭터인 아이코라인데다 아이코라가 유일하다는 점이 문제인 경이.

5.4. 충격

5.4.1. 보조 무기

5.4.1.1. 합주곡
합주곡 ,(Concerto),
보조 무기

혼돈 속에서 질서를 찾고, 표식을 새겨서, 영속성을 만들어 냅니다.
파일:destiny_element_void.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합성 경이 엔그램 및 영웅 공격전
카덴차 (Cadenza)
속성
'''결정타를 기록하면 카덴차가 발동하여 이 무기의 공격력이 20% 증가합니다. 최대 4회 ​​중첩되며, 사망 시 모든 중첩이 해제됩니다. 카덴자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결정타를 기록하면 이 무기가 완전히 재장전됩니다.'''
소합주곡 (Concertino)
속성
카덴차가 활성화되어 있을 때 파워 무기로 전환하면 자동으로 탄창이 채워지고 최대 2개의 카덴자 스택이 해당 무기로 전송됩니다.
Concerto

헤이븐 작전에서 얻을 수 있는 경이로, 음악 관련 용어와 유선형의 디자인 때문에 본편의 서로스 사가 제작한 것으로 강하게 의심받는 무기이다. 출시 트레일러에서 그윈이 사용하는 무기이기도 한데, 합주곡으로 결정타를 기록하면 첫번째 특성인 카덴차의 스택이 부여되며 이는 총 4스택까지 중첩시킬 수 있다. 카덴차의 성능은 본편의 살육의 기록의 상위 호환으로 빛의 운반자가 사망할 때까지 스택 당 20%의 딜증을 부여하며, 추가로 카덴차 스택이 있을 때 결정타를 기록하면 무기가 완전히 재장전된다.

두 번째 속성은 소합주곡으로, 카덴차 스택이 있을 때 파워 무기로 스왑하면 최대 2스택 분량의 카덴차 스택이 이전되며 최대 40%의 딜증을 부여한다. 해당 효과는 카덴차 현 (Cadenza String)이라는 버프의 존재 유무로 활성화 여부를 알 수 있으며, 안 그래도 높은 샷건의 피해량을 무기를 꺼내드는 것만으로도 뻥튀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윈이 극딜을 넣을 수 있게 해 주는 특성이다.

원래부터 특성간 시너지가 높아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기 때문에 촉매제 옵션 또한 1촉매 시 결정타를 기록하면 카덴차로 증가하는 공격력이 20%에서 25%로 증가, 2촉매 시 근거리의 목표에게 추가로 피해 30% 증가, 3촉매 시 결정타를 기록하면 카덴차로 증가하는 공격력이 25%에서 30%로 증가라는 단순한 구성을 지니고 있다. 수치 변경을 제외하고는 성능 변화가 거의 없는 셈.

5.4.2. 산탄총

5.4.2.1. 샤페론
샤페론 ,(The Chaperone),
산탄총

회수 기록 0006: 199 태양일 - 순찰레스, 코리엔테스, 남아메리카
파일:destiny_element_void.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합성 경이 엔그램 및 이동 관문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정밀납탄.png 정밀 납탄 (Precision Slug)
정밀 납탄 한 발을 발사합니다.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로드본.png 로드본 (The Roadborn)
이 무기로 정밀 결정타 처치를 기록하면 잠시 동안 조작성, 사거리, 발사 속도 및 정밀 피해 보너스가 부여됩니다.
The Chaperone

데스티니 가디언즈에도 등장하는 산탄총이다. 데스티니 라이징에선 물리 속성이 없어짐에 따라 공허 속성으로 변경되었다. 원래는 아만다 홀리데이의 어머니가 원본을 제작하고 후일 아만다가 텍스 메카니카에 의뢰하여 원본을 재현한 무기였으나, 데스티니 라이징에서는 설정상 클로토 프로젝트의 화력팀이 방문한 평행우주의 물건으로 여기서는 아만다 홀리데이파나마 협곡을 건너는데 실패하여 어머니와 함께 사망했으며, 본작의 샤페론은 아만다 일행의 시신이 매장된 무덤에서 회수된 무기다.

1촉매 시 정밀 피해로 결정타를 기록하면 자동으로 무기가 재장전되며, 2촉매 시에는 정밀 피해량이 15% 증가한다. 3촉매 시에는 로드본 특성을 정밀 사격 명중으로도 발동할 수 있게 되어 원전인 데스티니 가디언즈의 로드본 특성과 동일한 성능을 지니게 되며, 원본처럼 PvP 활동에서 정밀 사격으로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는 납탄 저격총샷건이 된다.
5.4.2.2. 팔분면 폭동 진압기
팔분면 폭동 진압기 ,(Octant Riot Disperser),
산탄총

"옛 경찰서의 무기고에서 이런 총들이 부서져 있는 걸 찾았지. 우리의 조상들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았던 모양이야. 현명한 판단이지." - 목영
파일:destiny_element_arc.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합성 경이 엔그램 및 건틀릿 맹공격
화포 일제 사격 (Salvo of Artillery)
속성
재장전 버튼을 길게 누르면 남은 총알을 모두 한꺼번에 발사하는 일제 사격 모드가 활성화됩니다.
천둥같은 굉음 (Deafening Rumbles)
속성
이 무기의 일제 사격으로 인한 피해는 발사된 펠릿의 수에 따라 크게 증가합니다.
Octant Riot Disperser

건틀릿: 맹공격 중 창공의 위협 전투에서 얻을 수 있는 레이드 경이다. 성능은 이자나기의 짐의 샷건 버전으로, 재장전 키를 길게 눌러 단발 사격 모드와 전탄 압축 사격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전탄 압축 사격은 융합 소총처럼 충전식으로 발사되며 현재 탄창에 들어있는 모든 탄을 한번에 발사해 순간 폭딜을 가하는 방식으로, 1촉매 옵션도 전탄 압축 사격의 피해량이 20% 증가하고 명중한 전투원을 스턴시켜 후속 공격이 용이해진다. 반면 단발 사격은 2촉매 시 탄창이 빌 때까지 매 사격마다 피해량이 30%씩 증가하여 꾸준히 피해를 입히는 데 특화되어 있다. 3촉매 성능은 재장전 시 한번에 두 발씩 재장전하여 장전 시간을 절반으로 감소시키는 심플한 유틸 옵션.

여담으로 이 무기는 설정상 대붕괴 이후 혼란하던 시기에 실제로 강석 메트로에서 시위대를 처리하는데 사용되었으나, 특정 시점에서 필요가 없어져 경찰서의 무기고에 방치되었던 무기이다. 뭔가 중국다운 무기다 후일 폐허가 되어 버려진 경찰서의 무기고에서 이를 발견해서 회수한 목영은 시위대를 상대로 이 무기를 사용하지 않기로 한 결정은 현명했다는 짧은 코멘트를 로어에 남긴다.

5.4.3. 융합 소총

5.4.3.1. 요툰
요툰 ,(Jotunn),
융합 소총

회수 기록 0019: 210 태양일 - 베르구시아 대장간, 유럽 데드 존, 지구
파일:destiny_element_thermal.png파일:destiny_ammunition_primary.png
출처: 합성 경이 엔그램 및 건틀릿 작전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폭발 탄약.png 폭발 탄약 (Charged Shot)
방아쇠를 길게 누르면 적을 추적한 후 폭발하여 불타는 탄약을 충전합니다.
파일:데스티니가디언즈_연민의무기.png연민의 무기 (Sympathetic Arsenal)
속성
처치 후 5초 이내에 재장전하면 보관된 무기도 같이 재장전됩니다.
Jotunn

데스티니 가디언즈에도 등장하는 융합 소총이다. 1촉매 시 전투원에게 둘러 쌓였을 때 충전 시간이 50% 감소하고 피해량이 15% 증가하며, 2촉매 시에는 전투원을 처치하면 주변으로 폭발이 확산되며 엘리트 전투원과 빛의 운반자를 처치하면 확산 범위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3촉매 성능은 무기 명중 및 처치시 확산되는 폭발의 피해량이 60% 증가하여 외형대로 밀집된 전투원들 한가운데로 파고들어 난사하는 방식으로 운용하는 상남자스런 무기가 된다.

설정상 검은 무기고의 기술을 수집하는 빛의 운반자들이 니오베 연구실의 베르구시아 대장간을 사용해 만들어냈다. 원래 클로비스 브레이 소속이였던 헬가 라스무센의 인풋이 들어간 무기라고 한다.

5.4.4.

5.4.4.1. 자고새의 하늘
자고새의 하늘 ,(Partridge Sky),

젊은 시절엔, 은화살로 달도 쏘아 떨어뜨릴 수 있는 병사 천 명을 이끌었지, 이제 적들이 하늘을 장악했으니, 우리는 검을 들 때를 기다려야 해.
파일:destiny_element_thermal.png파일:destiny_ammunition_heavy.png
출처: 합성 경이 엔그램 및 상시 이벤트
은화살 (Arrows of Silver)
속성
[강한 공격]: 불길의 파편을 던져 지면에 불을 붙입니다. 에너지가 충전되어 있을 때는 더욱 강력합니다.
전투의 함성 (Battle Cry)
속성
충전된 강한 공격으로 피해를 입히면 4초 동안 휘두르는 속도가 20% 증가하고, 일반 공격의 피해량이 20% 증가합니다. 빛의 운반자에게는 피해가 크게 감소합니다.
Partridge Sky

상시 이벤트로 최초 획득한 뒤 경이 엔그램 합성으로만 추가 획득이 가능한 극악한 파밍 난이도를 지닌 경이 검 무기. 그 대신 검신이 상시 불타오르는 화염검으로 스킨 없이도 멋진 외형을 지니고 있다. 성능은 1편의 경이 검인 어린 늑대의 포효와 번개 시전자를 섞은 듯한 검으로, 강 공격으로 태양 속성 검기를 날리고 딜증 + 공격 속도 버프를 받아 운용하도록 설계되었다. 검기로 붙이는 불은 생각보다 지속 시간이 길기 때문에 움직임이 적은 고정형 전투원에게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는 경이.

1촉매 시 검기를 명중시켜 붙인 불과 충전된 강한 공격의 피해량이 20% 증가하며, 2촉매 시 강한 공격이 추가로 20%의 폭발 피해를 가해서 분산 진화체에도 대응이 가능해진다. 3촉매 시에는 전투의 함성 특성을 강화한다.

6. 기타

  • 방대한 인게임 정보 때문에 데이터베이스와 API를 제공하는 다양한 사이트들이 존재하는 데스티니 가디언즈처럼, 데스티니 라이징 또한 Game8 WikiLightbearer.app에서 무기의 데이터베이스 및 빌드 구성을 지원한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데스티니 라이징|데스티니 라이징]]}}}{{{#!if external != "o"
[[데스티니 라이징]]}}}}}}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데스티니 라이징?uuid=edcc6a1c-07e0-4166-ac30-b00fdba5d6e8|r19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데스티니 라이징?uuid=edcc6a1c-07e0-4166-ac30-b00fdba5d6e8#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데스티니 라이징?from=196|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데스티니 라이징|데스티니 라이징]]}}}{{{#!if external != "o"
[[데스티니 라이징]]}}}}}}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데스티니 라이징?uuid=edcc6a1c-07e0-4166-ac30-b00fdba5d6e8|r19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데스티니 라이징?uuid=edcc6a1c-07e0-4166-ac30-b00fdba5d6e8#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데스티니 라이징?from=196|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