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3 13:52:35

데바스테이터(트랜스포머 실사영화 시리즈)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데바스테이터}}}에 대한 내용은 [[데바스테이터(트랜스포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데바스테이터(트랜스포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데바스테이터(트랜스포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데바스테이터: }}}[[데바스테이터(트랜스포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데바스테이터(트랜스포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데바스테이터(트랜스포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Decepticon_Mark.png
파일:1000014851.png
데바스테이터
Devastator | デバステーター
합체 구성원[1] 믹스마스터 - (머리)
스캐빈저 - (등, 어깨)
오버로드 - (동체, 허벅지)
스크래퍼 - (오른팔)
스킵잭[2] - (왼다리)
롱 홀 - (오른다리)
하이타워 - (엄지손가락 외의 손을 제외한 왼팔)
스크랩메탈 -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왼손)
소속 디셉티콘
성우 파일:미국 국기.svg 프랭크 웰커[3]

1. 개요2. 행적3. 평가4. 게임
4.1. 패자의 역습 - 게임판(PS3, XBox, PC)
5. 능력 및 장비6. 완구7. 합체 구성원 논란8. 기타

1. 개요

트랜스포머 실사영화 시리즈데바스테이터로, 컨스트럭티콘이 합체하는 컴바이너다.

2. 행적

2.1.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



광산용 덤프트럭, 광산용 굴착기, 휠로더, 불도저, 크레인 등 한 덩치 하는 중장비들이 여럿 등장하여 합체해 그 위용이 엄청나다. 진공청소기처럼 주변 사물들을 입으로 빨아들여 분쇄하는 위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팔에 기관총과 어깨에 소형 미사일 런처도 달려있어 폭격을 가하는 장면도 있다.

머드플랩이 빨려들어가자 트림을 하나했으나 이어 오른쪽 얼굴을 부수고 나온 머드플랩과 밖에서 기다리던 스키즈 콤비에게 역으로 괴롭힘을 당한다. 너무 몸집이 크다 보니 동작이 황당하게 둔해서 쌍둥이가 크레인 와이어를 로프 삼아 날아다니는 묘기를 펼치자 손도 못 대보고 얻어맞기만 했다.

이후 쌍둥이와의 싸움에서 생각보다 체력이 많이 빠졌는지 힘겹게 피라미드에 올라가[4], 꼭대기 부분을 부숴 내부에 감춰진 태양 파괴장치를 드러낸다. 그러다 시몬스가 좌표를 불러준 대로 발사한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DDG-100 키드(KIDD)의 -강철미사일- 레일건 한 방에 오른팔을 맡고있던 스크래퍼가 떨어져나가 피라미드 아래로 굴러 떨어지며 믹스마스터가 맡고있던 데바스테이터 머리마저 떨어져나가면서 사망한다.

3. 평가

영화가 개봉하기 전에 공개된 예고편에서 보여준 미친 존재감으로 엄청난 화제성을 불러일으켰다. 그래서 패자의 역습 흥행을 이끈 아이콘 중 하나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본편에서는 옵티머스 프라임이나 아이언하이드, 범블비 같은 강력한 전투원도 아닌 어리버리한 오토봇 형제에게 쩔쩔매다가 레일건 단 한 방으로 죽어버려 관객들에게 허무함만 안겨줬다.

합체 장면 만큼은 엄청난 위용을 자랑하여 많은 관객들에게 큰 임팩트를 남겼지만, 정작 피라미드를 뜯어내 태양 파괴장치를 발견한 것 외에는 아무것도 한 게 없고 전투에선 참전하지도 않았다. 그래서 오토봇이나 인간 측 군인들에게 그 어떠한 피해를 주지 못하고 고작 인간 무기 한 방에 죽어버리니 결국은 디셉티콘의 병력만 여럿을 한꺼번에 잃어 전투에서 패배로 이어지게 되었다.[5]

4. 게임

4.1. 패자의 역습 - 게임판(PS3, XBox, PC)

파일:external/tfwiki.net/ROTFgame_360PS3PC_Devastatorbattle.jpg

전과도 없이 허무하게 당했던 영화판과는 달리 오토봇 미션에서 위압갑 있는 보스급 캐릭터로 등장한다. 약점을 어느 정도 공격하면 코어들이 노출되며, 이 코어들을 모두 파괴하면 쓰러진다. 컨셉아트에 기반했기에 머리 모양이 영화와 다르고 회색이다.

5. 능력 및 장비

  • 볼텍스 그라인더
    입과 목울 늘려 주변 사물들을 빨아들일수있다. 입 안에 있는 톱니바퀴들로 빨아들인 것들을 갈아버린 뒤 등에 난 구멍으로 배출한다.
  • 기관총탑
    팔에 달려있는 무장.
  • 미사일 런쳐
    양 어깨에 달려있다. 스키즈한테 1발을 발사하였다.
  • 갈고리
    앞발에서 발사되며 피라미드를 등반할 때 사용했다.

6. 완구

  • 슈프림급 데바스테이터(2009)
파일:external/samimatilainen.com/rotfdevastatorcombinertml0.jpg
얼굴이 회색이던 초기 CG를 모티브로 디자인되었으며 영화와는 달리 여섯 멤버가[6] 합체하며 멤버들 각각은 로봇으로 변신하지 못한다. 입을 크게 벌려주는 기믹이 있어 입 속 공간에 레전드급의 작은 로봇 정도는 넣어줄 수 있다. 발광, 음성 기믹도 있다. 영화에서는 몇마디 괴성만 내지를 뿐이었지만 완구는 "I am Devastator!", "Crush! Autobots!" / "Devastator! Destroy!" / "I am Decepticons!" / "Ha ha ha ha ha ha ha ha!" 등 몇 가지 대사가 있다. 가동성은 썩 좋지 않다.

타카라제는 영화와 좀 더 흡사하게 얼굴에 붉은 도색이 드문드문 되어있지만 하다가 만 느낌이라 오히려 평가가 좋지 않다.
  • 레전드급 데바스테이터(2009)
파일:external/static.seibertron.com/r_ez-devastator002.jpg
파일:external/static.seibertron.com/r_ez-devastator004.jpg
파일:external/static.seibertron.com/r_ez-devastator011.jpg
슈프림급과는 달리 합체 구성 멤버들이 각자의 로봇모드로도 변신가능하다. 합체 멤버 수는 슈프림급에는 없는 오버로드를 포함해 일곱이다. 레전드급 크기의 로봇 일곱이 대략 디럭스급 비슷한 크기로 합체한다.
파일:TF-Studio-Series-Devastator.jpg
영화 개봉 10년만에 개별 멤버들의 완전 변형 및 합체까지 구현되는 실사판 데바스테이터의 CHUG급 공식 제품이 출시되었다. MCM 코믹콘 2018에서[7] 비변형 목업[8] 처음 공개되었고, 2019년부터 순차적으로 개별 멤버들을 출시하여 세트를 완성하는 방식이다. 2020년 초에 모든 구성원들이 발매되었으며, 다음의 여덟 멤버들이 합체해 데바스테이터가 된다.

극중은 물론 2018년에 처음 공개한 목업에 비해서도 합체한 모습의 부품생략이 여러군데 있어서[10] 외형이 아쉽다는 평가를 받았다. 프로포션도 영화보다 앙상하고 네 발로 세우기가 어려운 점도[11] 아쉬움에 일조했다. 특히 안면 디테일은 훌륭한데 얼굴 양쪽 볼살 부품이 없고, 작중에서 볼텍스 그라인더를 가동했을때처럼 턱을 좌우로 벌릴 수도 없는게 단점. 이렇게 된 이유는 컨스트럭티콘 각각의 개별모드를 중심으로 먼저 설계하고, 합체모드는 정해진 도면없이 이후 설계해서라고 한다(제너레이션책 인터뷰).[12]하지만 그런 만큼 개별 로봇들에 대한 평은 좋은 편이다. 4족보행 모드로의 변형은 믹스마스터의 합체 방식을 약간 바꿔주면 가능하다. 영상 8분부터

초기 개발 당시에는 스캐빈저와 오버로드를 지금처럼 리더 클래스로 만드는 계획 외에도 스캐빈저를 더 거대한 커맨더 클래스[13]로, 오버로드를 보이저 클래스로 만드는 방식도 제안되었지만 무게중심과 균형을 맞추기 힘들어서 지금같은 형태로 정해졌다고 한다.

2020년 하반기에 다리가 스킵잭 버전으로 변경 된 합본팩이 발매되었다. 8기의 컨스트럭티콘 멤버들이 한 박스에 들어있기에 박스 크기가 상당하며, 전용 배경지로 극 중 데바스테이터가 타고 올라가 때려 부수던 피라미드 배경지가 제공된다. 출시 전 해외에서만 판매 될 것이라는 예상[14]과는 달리 KC 인증샷이 유출되어 국내에 발매 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오갔고, 놀랍게도 정식 발매되어 공식 온라인 샵을 비롯해 일부 대형마트에도 다량의 숫자가 진열되어 있었다.

여러모로 합체모드에 아쉬움이 있는지라 DNA 디자인 키트라는 비공식 3사에서 합체 모드 업그레이드 키트를 제작했고, 예약 한정 특전으로 레킹볼 1쌍도 제공했다. 생략된 얼굴 디테일 부품과 등에 존재하는 날개(스캐빈저 부품)와 호스, 어깨 디테일 파츠와 등짝의 그라인더 배출구 디테일 업 부품 등이 포함된다. 그 외의 다른 비공식 업체들이나 개인 모델러들도 각자의 업그레이드 키트를 선보였다.

7. 합체 구성원 논란

파일:external/tfwiki.net/ROTF_Devastator_and_components_concept_art.jpg
컨셉아트에서 명시된 합체 멤버들

데바스테이터로 합체하는 멤버들의 구성과 수는 연출이 명확하지 않고 완전히 중구난방이라 팬들 사이에서 실사영화가 리부트된 현재에도 가장 큰 논란거리 중 하나다. 컨셉아트를 보면 초창기버전은 6체, 이후 버전은 7체지만, 영화에서는 이보다도 많은 컨스트럭티콘이 등장한다.

파일:의문의 덤프트럭과 스킵잭.jpg

영화 장면을 분석하면 확실히 모습을 보여 준 8대 외에도 완구로 나온 적이 없는 정체불명의 소형 불도저, 노란색 덤프트럭인 '페이로드', 볼보 굴삭기인 '스크랩메탈' 등이 합체를 앞두고 등장했기 때문에, 이들까지 포함해 10체 이상이라는 말도 있다. 심지어는 완구도 종류마다 합체하는 멤버의 수가 다르니 그야말로 대혼돈이다.

파일:의문의 쇼벨도저.png

스튜디오 시리즈 완구에는 '스크랩메탈'이 포함되는데, 사실 이 녀석은 메가트론의 부활을 위해 희생된 녀석이며 그 자리는 위 사진의 불도저 디셉티콘이 있어야 할 자리이다. 이 외에도 각 멤버들의 비클/로봇 모드 크기 차이가 심한 편이라 맡는 부위가 실제 크기에 맞는지의 문제 등 다양한 논란이 있다.[15][16]이에 대한 분석 글

파일:757px-Hightower-Scrapmetal-Continuity_Error.jpg

하이타워로 보이는 크레인 뒤에 스크랩메탈과 동일한 볼보 굴삭기가 보이는 것으로 보면 확실히 별 생각없이 찍은 거 같다.[17]

8. 기타

  • 데바스테이터로 합체하는 컨스트럭티콘들 외에도 2편과 3편에서 동일 기종으로 보이는 로봇들이 여럿 등장한다.
  • KBS 더빙판에선 '데배스테이터'라고 번역됐다.
  • 다리 사이에 레킹볼 한 쌍이 묘한 모습으로 매달려 있다. 시모어 시몬스가 레일건의 유도를 위해 좌표를 따려고 데바스테이터에게 몰래 접근했을 때 이를 보고 "난 놈의 불알 밑에 있다."라고 말했다.
  • 원작의 합체 후 지능 하락 설정을 반영한 걸 넘어서 아예 극대화시킨건지, 합체한 상태에서는 대사는 커녕 최소한의 지능을 드러내는 장면도 없고 본능에 따라 움직이는 괴수에 가깝게 행동한다. 이런 묘사 때문에 G1 데바스테이터보단 어보미너스에 더 가까울 정도. 심지어 어보미너스조차 말은 할수 있었던 것을 생각하면 지능이 더 낮아보인다.
  • 데바스테이터의 CG는 ILM이 그 때까지 맡은 작업들 중에서 가장 힘든 작업이었다고 한다. 오죽하면 컴퓨터 발열이 너무 심해서 살짝 녹기까지 했다고. DVD 셔플먼트에는 컴퓨터에서 검은 연기가 나는 영상이 수록되어 있다. 위용있는 합체씬에 비해 본편에서의 분량이 그다지 길지 않은 것도 이 때문이다.

[1] 스튜디오 시리즈 합본팩 기준.[2] 램페이지의 노란색 리데코[3] 대사 없이 괴성만을 내지르기 때문에 타 국가 더빙판들도 웰커의 음성을 그대로 사용했다.[4] 몸체가 워낙 커다랗다 보니 손목에서 앵커를 발사해 피라미드에 고정하고 올라가는데도 앵커가 뽑혀나가며 굴러 떨어진다.[5] 다만 G1원작에 등장했던 데바스테이터 역시 큰 덩치와는 다르게 장갑이 그렇게 높은 수준이 아니라서 툭하면 역전의 한방에 우수수 분리되던걸 생각하면 노린건지 아닌지는 몰라도 의외로 원작고증이다. 물론 트랜스포머간의 전투에서라면 몰라도 합체전사라는 놈이 고작 인간측의 병기 한 방에 나가떨어진거라 재평가받을 여지조차 없다. 하다못해 분리된 파츠들이 다시 개별 멤버들로 돌아가 전선에 합류한 것도 아니고...[6] 믹스마스터, 스캐빈저, 스크래퍼, 하이타워, 롱홀, 스킵잭[7] 이듬해에는 스캐빈저와 오버로드만 미도색 상태인 거의 완성된 버전이 전시되었다.링크[8] 대부분의 멤버들의 설계가 끝나기도 전에 완성된 모습을 예상하기 위한 모형이라 최종본과는 차이가 많다.[9] 하이타워 본체를 변형시킨 후 머리를 뜯어내 엄지손가락 위치에 다시 결합한다.[10] 얼굴의 볼살, 등의 날개와 호스, 기관포와 미사일 무장, 다리의 바퀴와 궤도 디테일, 그리고 레킹볼.[11] 이는 기본 포즈를 이족보행으로 상정하고 개발했기 때문이다. 처음 공개된 목업이나 박스아트도 이족보행을 기준으로 나왔다.[12] 이에 대한 반성의 의미인지 이후 컴바이너 제품을 개발 할 때는 처음부터 합체 형태까지 상정하여 개발을 진행한다고.[13] 워 포 사이버트론 시즈에서 처음 출시한 리더보다 거대한 트랜스포머 제품 등급.[14] 당시 믹스마스터를 제외한 나머지 멤버들이 전부 국내에서 정발되지 않았기에 이런 예상은 당연했다.[15] 일단 영화 합체장면에서는 믹스마스터, 오버로드, 스크래퍼, 스캐빈저, 하이타워, 롱홀, 스크랩메탈, 스킵잭, 페이로드, 소형 불도저가 보인다.[16] 영화를 보면 하이타워 뒤에 스크랩메탈로 보이는 볼보 굴삭기가 있고 하이타워와 스케빈저의 합체부분의 이미 합체돼있는 정체 불명의 노란 부분, 하이타워 뒤에서 은글 슬쩍 변신하는 페이로드가 보인다.[17] 사실 제대로 확인하는 것도 어려운 게 당장 몇몇 비클들은 졸트마냥 축지법을 쓰는지 보였다 안보였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