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9 23:39:28

더 포에버 윈터/리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더 포에버 윈터
파일:포윈로고.png
자원 무기 이너드 캐릭터 리그
진영 상인 및 NPC 지역 패치 내역
해당 문서는 해외 위키에 등록된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1. 개요2. 리그(Rig)
2.1. 경형 리그(Light Rigs), 중간형 리그(Medium Rigs)2.2. 중형 리그(Heavy Rigs)2.3. 초중형 리그(Super heavy Rigs)
3. 등짐 부착물4. 대형 아이템

1. 개요

더 포에버 윈터의 리그와 그 개조 부품을 서술하는 문서.

리그(RIG)는 플레이어가 착용하는 루팅용 모듈러 배낭으로, 파츠는 상중하 + 좌중우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아이템별로 부피 개념이 있어서 RIG에 부착하는 부품에 따라서 적재 가능한 부피가 증가한다. 높은 등급의 RIG 부품을 장착하면 등뒤에서 날아오는 총탄의 피해를 확률적으로 낮춰준다.

등짐을 기반으로 칸에 알맞는 부품을 넣는 게 아니라 상황에 맞는 등짐을 구입해야 한다. 예로 각 등짐에 있는 적재칸 크기(Small, Medium, Large)는 바꿀 수 없고 오직 적재칸의 등급(저급, 고급)만 개조할 수 있다. 대형 아이템 짐칸도 총탄 피해 감소율만 바꿀 수 있으며, 다른 아이템 적재나 총기 적재로 교체할 수 없다.

2. 리그(Rig)

2.1. 경형 리그(Light Rigs), 중간형 리그(Medium Rigs)

모든 캐릭터들이 사용할 수 있는 리그. 초소형 리그를 제외한 모든 리그는 기본적으로 혹은 스킬을 찍어 장착할 수 있다.
  • 스탠다드(Standard)
  • 스탠다드 건러너(Standard Gunrunner)
  • 인핸스드(Enhanced)
  • 인핸스드 건러너(Enhanced Gunrunner)
  • 이큅먼트 러너(Equipment Runner)
  • 미디움 이큅먼트 건러너(Medium Equipment Gunrunner)
  • 타이니(Tiny)
    스캐브걸 전용.

2.2. 중형 리그(Heavy Rigs)

올드맨, 마스크맨, 백맨, 건헤드가 사용할 수 있는 대형 리그.
  • 헤비 컨테이너 건러너(Heavy Container Gunrunner)
  • 팩 뮬(Pack Mule)
    8개의 아이템 수납 모듈을 가진 리그로 대형 아이템을 제외한 온갖 아이템 파밍에 특화되어 있다.

2.3. 초중형 리그(Super heavy Rigs)

백맨, 건헤드만 사용할 수 있는 대형 리그.
  • 헤비 이큅먼트 건러너(Heavy Equipment Gunrunner)
  • 더 랙(The Rack)
    중앙의 모듈을 제외한 모든 모듈이 대형 아이템을 수납할 수 있는 리그. 팩 뮬과 정 반대 컨셉으로 대형 아이템 수납을 중시한 리그. 한번에 많은 물통을 모으기에 적합하지만 탄약 수와 아이템 루팅에는 부적합하다.

3. 등짐 부착물

말은 부착물이라 하지만 대형 아이템칸을 차지하며, 핫키 Q로 가동할 수 있다. 개조로 대형 아이템칸을 추가로 늘리거나 부착물을 버리지 않는 이상 물 포함 다른 대형 아이템을 들을 수 없어 사용 여부를 고민해야 한다. 아주 드물게 맵에 스폰하는 경우도 있으나, 주로 가챠박스를 회수해 열 때 얻을 수 있다.
  • 전술 카메라: 투시 장치로 벽 너머에 있는 적과 및 아이템의 위치를 보여준다. 루팅 오브젝트는 노란색, 적은 빨간색으로 표시되며, 작동중에는 이동속도가 약간 느려지긴 해도 이동이 가능하다. 월핵 기능을 부여하다보니 사실상 거의 준 필수 아이템으로, 루팅 포인트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고 적들의 동향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이 아이템의 유무 하나만으로 난이도가 천지차이 수준으로 달라진다. 다만 스캐너에는 아예 표시되지 않는 일부 병종이 있고, 구현 문제인지 새로 스폰된 적은 스캐너에 표시되지 않을 때가 가끔 있어 스캐너에 적이 없다고 방심하는 것은 금물이다. 활성화시 이동속도가 느려지는 페널티도 있어 껐다 켰다를 반복하며 다니는 것을 추천.

    이름은 '카메라'지만 아이콘과 인게임 모델링을 보면 유라시아군의 사이보그 좀비 병사의 머리를 통째로 재활용해 쓰고 있는[1] 괴악한 아이템이다.
  • IED: 급조폭발물. 접근 지뢰처럼 작동하며 설치 후 붉은 빛이 들어와야 작동을 하며 앉은 상태에서 회수가 가능하다. 적 다수가 몰려올 때나 기갑 유닛 파괴, 추적 방지용으로 설치해 터뜨릴 수 있다. 당연하지만 폭발시 인근에 있으면 데미지를 입는다.
  • 공압 점프팩: 등짐에 장착 가능한 공압 부스터. 일반 점프보다 3배 높이로 뛸 수 있어 지형지물을 뛰어 넘거나 지형 오브젝트에 끼어서 난감할 때 용이하다. 특히나 적들의 어그로를 뿌리치고 도망갈 때 유용하다. 일반 점프시 소모되는 스태미나도 아낄 수 있다는 소소한 장점도 있다.
  • 20mm 터렛: 지형지물에 설치할 수 있는 20mm 기관포 터렛. 헌터킬러나 추적해오는 적 병력들을 저지할 수 있다. 하지만 실상은 계륵. 20mm 기관포라고 하지만 대미지는 일반 기관총 수준이며 따로 체력이 있어 공격당하면 터지는데다, 어그로도 잘 끌린다. 주 사용처는 고철처리장 넥서스 같은 탈출시 일정 시간 기다려야 하는 탈출로. 플레이어보다 어그로 순위가 높아 2개 정도만 깔아둬도 주변 적들의 어그로를 분산시켜 생존율을 올려준다.
  • 등짐 조명: 등짐에 달 수 있는 조명장치. 어두운 곳을 비출 수 있다. 다행히 현재 NPC들은 플레이어의 불빛에 반응하지 않는다. 하지만 총기 부착물에 엄연히 라이트가 있기 때문에 쓸 일이 전혀 없다. 야간맵이나 계단의 관문같은 어두운 맵에서 확정적으로 발견할 수 있으며 터널에서도 종종 등장한다.
  • 엑소 스태미나 장비: 스태미나 소모를 10% 줄여주는 보조장비. 다른 장비와 다르게 패시브로 작동하기에 장착만 하면 선택하지 않아도 자동 적용된다. 3진영의 3단계 IFF 1개씩에 엑소 부품 1개로 제작 가능한 부착물로 구매는 불가능. 3단계 IFF를 진영별로 하나씩 총 3개를 요구하여 만들기 매우 어려운데 반해 성능 체감은 잘 안되서 계륵이라는 평가가 있다.

4. 대형 아이템

등짐 하부에 수납이 가능한 대형 아이템이다. 부착물을 들고 다니면 루팅이 불가능하니 유의할 것.
  • 물 : 설정 상 스캐빈저들과 피난민들이 필요한 아이템으로 파란색 통에 담겨 있다. 대형 아이템으로 회수한 물은 보관함에 넣으면 바로 물탱크로 합쳐진다. 물탱크가 가득 차 있는 경우 경험치 1,250 exp로 환산되며, 캐릭터 경험치도 가득인 경우 무려 25,000 크레딧으로 환산된다. 즉 경험치 손해를 감수하고 프레스티지 안찍고 물통런을 하면 거금도 쉽게 벌 수 있다.
  • 폭발물: 사격하여 폭파시킬 수 있다. 일부 퀘스트에 필요한 물건이다.
  • 대형 툴박스: 원문은 Large Lockbox. lockbox는 금고를 뜻한다. 얼리엑세스 기준 회수하면 열기가 나오나 아무런 아이템도 얻을 수 없다. 대신 상인에게 판매 시 11,000크레딧을 넘게 받을 수 있다. 위 물통의 절반도 안되긴 하나 바로 경험치나 돈으로 환산되는 물통과 달리 상인에게 직접 팔 수 있으므로 상인의 우호도를 빠르게 높이기 좋다. 원래 최고가 아이템이었지만 가격이 깎이고 레일건 부품이나 ID칩, 가격 자릿수부터 다른 코덱스 등을 비롯한 새 아이템들이 등장하며 위상이 낮아졌다.
  • 가챠 상자: 위의 금고보다 조금 더 큰 상자 모양을 하고 있다. 해당 아이템을 들고 탈출하면 상자 열기 버튼이 생기며 누르면 회복 아이템, 총기, 등짐 부착물을 랜덤으로 준다. 초기에 쉽게 총기를 얻을 수 있는 방법.
  • 파일럿: 유로파 엑소를 파괴했을 때 가끔 나오는 조종사로 적 보병으로 등장하는 파일럿과 모델링이 같다. 스캐빈저 퀘스트 Bring her in이 요구하는 인물. 상인들에게 팔 수도 있는데 가격이 고작 597 크레딧으로 어지간한 잡템보다도 가격이 낮다. 심지어 퀘스트 보상은 매우 후한 걸 보면 고급인력이 맞는데도 이상하리만치 낮은 편. 썸네일 자세도 미묘해서 낮은 가격과 함께 더욱 처량해 보인다.
  • 레일건: 필드에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레일건. 중형 워커를 격파하거나 투시나 용맹의 어머니 같은 다른 보스급 메카닉들을 일시적으로 다운시킬 수 있지만[2] 조립에 지지대/탄약/레일건이 전부 필요하기 때문에 3인조 파티 플레이가 필수다. 거기다 적들도 한방에 다운되는게 아니라 반격을 하는지라 서로 싸우다 딸피가 되어 이긴 쪽을 어부지리로 잡거나 부활시켜줄 동료들을 믿고 다운당할 각오로 써야한다.
  • 제리캔: 가솔린이 들어있는 기름통. 몇몇 맵은 발전기가 존재하는데 제리캔을 소모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1] 오른쪽 안구를 적출하고 그곳에 스캐너장치와 장치 포트의 전선을 쑤셔넣은 모양새를 띄고 있다.[2] 격파가 아니라 다운 되는 메카닉들은 80초 동안 쓰러져 있다가 재기동하며 그동안 드릴을 써야 드랍템을 얻을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