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b1215, #a8181c 20%, #a8181c 80%, #7b1215); color: #f7c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류리크 왕조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다닐 알렉산드로비치 | 유리 3세 | 이반 1세 | 세묜 이바노비치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이반 2세 | 드미트리 돈스코이 | 바실리 1세 | 바실리 2세 | |
제9대 | 제8대2 | 제9대2 | 제10대 | |
유리 드미트리예비치 | 바실리 2세 | 유리 드미트리예비치 | 바실리 유리예비치 | |
제8대3 | 제11대 | 제8대4 | 제11대2 | |
바실리 2세 | 드미트리 유리예비치 | 바실리 2세 | 드미트리 유리예비치 | |
제8대5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
바실리 2세 | 이반 3세 | 바실리 3세 | 이반 4세 | |
키예프 · 블라디미르 · 모스크바 차르국 · 제국 · 공화국 · RSFSR · 연방 | }}}}}}}}} |
<colbgcolor=#9f0807><colcolor=#ffcc21> 모스크바 대공국 초대 대공 다닐 알렉산드로비치 Дании́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 |||
| |||
출생 | 1261년 11월~12월경? | ||
블라디미르-수즈달 | |||
사망 | 1303년 3월 5일 (향년 41세) | ||
모스크바 대공국 모스크바 | |||
재위 | 초대 모스크바 대공 | ||
1283년 ~ 1303년 3월 5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9f0807><colcolor=#fecd21> 이름 | 다닐 알렉산드로비치 (Дании́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 |
배우자 | 아그리피나 르보프나 | ||
자녀 | 유리 3세, 보리스, 이반 1세, 아파나시 등 | ||
아버지 | 알렉산드르 넵스키 | ||
어머니 | 알렉산드라 브라이치슬라브나 | ||
종교 | 정교회 | ||
왕조 | 류리크 왕조 | }}}}}}}}} |
1. 개요
모스크바 대공국의 초대 대공. 긴 이름을 줄여서 다닐 1세라고도 불린다. 1917년까지 이어지는 모스크바 대공국-루스 차르국-러시아 제국 연속체의 시작을 알린 인물이라고 볼 수 있다.2. 생애
2.1. 어린시절
1261년 블라디미르-수즈달에서 알렉산드르 넵스키의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1263년 아버지인 넵스키가 죽자, 야로슬라프 3세로부터 당시 블라디미르-수즈달의 작은 도시에 불과했던 모스크바를 물려받았으나, 1271년까지 삼촌인 트베리 공이 섭정으로 다스렸고 트베리 공이 죽은 이후에도 기록에 등장하지 않다가 1282년부터 친정을 시작한 기록이 나온다.
2.2. 모스크바 대공 즉위
대공으로 즉위한 이후, 크렘린에서 5마일 떨어진 곳에 모스크바 대공국 최초의 수도원인 에피파니 수도원과 다닐로프 수도원을 건설했다. 또한, 1280년대에 석조 교회 또한 설립했다.1293년에는 루스 공국들의 종주권을 지닌 킵차크 칸국에서 노가이 칸과 토흐타 칸의 내분이 일어나자 다닐은 노가이 칸을 지지하고 토흐탄을 인정하길 거부했다. 그러자 토흐타 칸과 그를 지지하는 루스 대공들에 의해 한차례 약탈당했다.
이후 랴잔 공국은 모스크바 대공국을 침략했으나 페레슬라블 근처에서 격퇴당하고, 1301년 다닐은 랴잔 공국과 전쟁을 성공적으로 치러 랴잔 대공을 사로잡고 콜롬나를 획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