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3 23:23:02

니니아/철혈여제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니니아
<colbgcolor=#000><colcolor=#CACACA>
철혈여제컵
<bgcolor=transparent> 파일:철혈여제컵_포스터.png
주최 니니아, 쾅준
게임 종목 리그 오브 레전드
일정 8월 1일 ~ 8월 3일
해설진 루루카, 니니아, 쾅준
참가자 아웃챈트
포키쨩, 샤메이, 달콤레나, 니니아, 독케익
새벽세시
해블린, 유봄냥, 후추, 계춘회, 연리
걸뱅
심해덤, 치코쟝, 박홍시, 정령왕, 찡스
카린이 모은 팀
니야, 냐미, 쾅준, 유세라, 카린
상금
1등 구독권 200장
2등 구독권 100장
3등 구독권 60장
4등 구독권 40장

1. 개요2. 대회 정보
2.1. 참가팀2.2. 대회룰
3. 개막식4. 스크림5. 예선6. 본선7. 결과8. 여담

1. 개요

2025년 8월 1일, 3일간 진행된 니니아쾅준이 개최한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이다.

경매 방식이 아닌 팀 섭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참가자 대부분의 티어가 아이언, 브론즈인 저티어 대회이다.

2. 대회 정보

2.1. 참가팀

아웃챈트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포키쨩
샤메이
달콤레나
니니아
독케익


새벽세시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해블린
유봄냥
후추
계춘회
연리


걸뱅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심해덤
치코쟝
박홍시
정령왕
찡스


카린이 모은 팀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니야
냐미
쾅준
유세라
카린

2.2. 대회룰

대회룰

1. 소프트피어리스로 진행
2. 밴 실수 발생 시 직전 상황까지의 밴 까지는 유지하면서 실수 한 쪽 밴 카드를 1개 차감
3. 픽에서 실수 발생하면 구독권 30장 제출 후 직전상황까지 재진행
4. 진영 선택은 핀볼로 진행
5. 경기 중단은 언제든지 가능하나 중단 시간이 5분이 넘어갈 경우, 몰수패
6. 시합 노쇼시 조건없이 몰수패
7. 사전 고지 없는 포지션 변경 금지
8. 감독, 코치 금지

3. 개막식

개막식


케이크커팅


축하공연

4. 스크림

스크림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모든 팀이 서로 맞붙었으며, 승수에 따라 2일차에 진행되는 본경기 대진표에서 본인 팀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우선권이 주어졌다.
스크림 대진 결과
상대 전적 아웃챈트 새벽세시 걸뱅 카모팀 승수
아웃챈트 - 새벽세시 걸뱅 카모팀 0승
새벽세시 새벽세시 - 새벽세시 새벽세시 3승
걸뱅 걸뱅 새벽세시 - 카모팀 1승
카모팀 카모팀 새벽세시 카모팀 - 2승

5. 예선

대회는 스크림 결과로 결정된 대진표에 따라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예선전 모든 경기는 Bo3로 치러졌으며, 1경기에서는 2:0으로 카모팀이, 2경기에서는 2:1로 아웃챈트가 승리하며 결승 진출전에 올랐다.

그러나 1경기 종료 후 결승 진출전을 기다리던 중, 카모팀의 유세라가 컨디션 난조와 청심환 복용으로 잠에 들어 경기 시작 시간까지 기상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1] 이에 ‘시합 노쇼 시 조건 없이 몰수패’ 규칙에 따라 아웃챈트가 부전승으로 본선 결승전에 진출하게 됐다.
예선
예선 4강 결승 진출전 결승 진출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dedfdf> 1경기 Bo3
<nopad><colkeepall> 걸뱅 0
<nopad> 카모팀 2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dedfdf> 3경기 Bo3
<nopad><colkeepall> 카모팀
몰수패
<nopad> 아웃챈트
부전승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dedfdf> 결승 진출
<nopad><colkeepall> 아웃챈트
}}}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dedfdf> 2경기 Bo3
<nopad><colkeepall> 아웃챈트 2
<nopad> 새벽세시 1 }}}

6. 본선

예선 대진 결과에 따라 패자조, 최종전, 결승전 순으로 경기가 진행되었으며, 패자조는 단판, 최종전은 Bo3, 결승전은 Bo5로 치러졌다.
본선
패자조 최종전 결승전 우승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dedfdf> 예선 2등
<nopad><colkeepall> 카모팀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dedfdf> 예선 1등
<nopad><colkeepall> 아웃챈트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dedfdf> 3경기 Bo5
<nopad><colkeepall> 아웃챈트
3
<nopad> 걸뱅
2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dedfdf> 🏆우승
<nopad><colkeepall> 아웃챈트
}}}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dedfdf> 1경기 Bo1
<nopad><colkeepall> 걸뱅 1
<nopad> 새벽세시 0 }}} {{{#!wiki style="margin: -12px -5px"<rowcolor=#dedfdf> 2경기 Bo3
<nopad><colkeepall> 카모팀
0
<nopad> 걸뱅
2 }}}

7. 결과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9f7bfb,#9f7bfb><tablebgcolor=transparent><rowbgcolor=#000,#000><rowcolor=#CACACA><width=20%> 결과 ||<width=60%> ||<width=20%> 상금 ||
우승 아웃챈트 - 포키쨩, 샤메이, 달콤레나, 니니아, 독케익 구독권 200장
준우승 걸뱅 - 심해덤, 치코쟝, 박홍시, 정령왕, 찡스 구독권 100장
3등 카모팀 - 니야, 냐미, 쾅준, 유세라, 카린 구독권 60장
4등 새벽세시 - 해블린, 유봄냥, 후추, 계춘회, 연리 구독권 40장

8. 여담

  • 여제컵이라는 이름은 특별한 의미없이, 주최자인 니니아가 하스 여제이기 때문에 여제컵이라는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고 한다.
  • 저티어들의 가벼운 대회가 원래 취지였으나, 밸런스를 맞추기 위한 장기간의 내전으로 취지와는 다르게 과열되었고 밸런스 또한 조금 어긋나는 듯 하였다. 그러나 사람들의 예측과는 반대되게 대회 순위가 결정되며 성공리에 대회를 마무리하였다.
  • 스크림 순위와 정확히 정반대로 대회 순위가 결정되었다.
  • 상금은 치지직 지원없이 니니아, 쾅준 사비를 사용하였고, 정령왕이 운영비 차원에서 50만 원을 지원해 주었다고 한다.
  • 감독, 코치 금지 룰은 인맥에 따라 불공평할 수 있어서 금지하는 편이 좋다고 판단하였다고 한다.

[1] 방송을 킨 상태로 대회 노쇼라는 특이한 상황이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