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1.4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9px; padding: 4px; font-size: 0.95em"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초대 |
로물루스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9px; padding: 4px; font-size: 0.95em" | 제2대 |
누마 폼필리우스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9px; padding: 4px; font-size: 0.95em" | 제3대 |
툴루스 호스틸리우스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9px; padding: 4px; font-size: 0.95em" | 제4대 |
안쿠스 마르키우스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9px; padding: 4px; font-size: 0.95em" | 제5대 |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프리스쿠스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9px; padding: 4px; font-size: 0.95em" | 제6대 |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9px; padding: 4px; font-size: 0.95em" | 제7대 |
루키우스 타르퀴니우스 수페르부스 | }}}}}} | |
{{{#FCE77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37px; padding: 0 6px" | }}}}}}}}}}}} |
<colbgcolor=#bf1400><colcolor=#FFD400> 제2대 로마 왕국 국왕 누마 폼필리우스 Numa Pompilius | |||
사후 만들어진 데나리온 | |||
출생 | 기원전 753년 | ||
즉위 | 기원전 717년 | ||
사망 | 기원전 672년 (향년 79세) | ||
재위기간 | 로마 왕국 제2대 왕 | ||
기원전 717년 ~ 기원전 672년 (44~45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bf1400><colcolor=#FFD400> 부모 | 父: 폼포니우스[1][2] | |
배우자 | 타티아 | ||
형제자매 | 4남중 막내 | ||
가족 | 장인어른 타이투스 타티우스 아들 칼푸스[3] 사위 누마 마르키우스 딸 폼필리아 외손자 안쿠스 마르키우스 | }}}}}}}}} |
[clearfix]
1. 개요
제2대 로마 국왕. 사비니족 출신으로 로물루스가 사라진 뒤 로마 사람들은 현명하고 사려깊은 인물로 널리 알려진 누마를 왕으로 모셨다고 한다.2. 생애와 업적
전승에 따르면, 누마는 사비니족 태생으로 로마에 평화의 기술을 도입한 사제(司祭) 왕이었다고 한다. 로물루스와 공동 통치자였던 사비니인 타티우스의 딸 타티아와 혼인하였고 13년 후 그녀가 죽자 도시를 떠나 조용히 살았다. 그가 40세가 되던 해 로마의 사신이 찾아와서 왕이 되기를 청하였다. 그는 거절했지만, 그의 아버지가 로마인과 사비니인을 중재하여 내전을 막을 사람이 필요하다고 설득하여 왕위를 받아들인다. 로마에 돌아온 그는 만장일치로 왕이 되었다 한다.누마가 왕위에 오르고 나서 가장 먼저 한 일은 로물루스의 시위대 300명을 해산시킨 것이었다. 그리고 여러 부족이 모여서 혼란스러웠던 로마의 종교를 하나로 통합하였으며 유피테르, 마르스, 퀴리누스의 신전에 제사장을 두었다. 또한 그는 유피테르와 이야기하여 로마의 제례를 정했다고 한다. 전설에 따르면 유피테르를 상대로 말장난으로 야바위를 쳐서 인신공양 같은 의식을 폐지시켰다고 한다. 또 그는 숲에서 명상을 하며 님프로부터 지혜를 얻었다는 전설도 있다. 이 외에도 누마가 원로원을 조직하고 군사 제도를 정비했다고도 전해진다.
이후 80살 넘게 장수하다가 노환으로 사망하였다. 그의 장례식에는 로마의 이웃 국가들의 대신들이 경의를 표하기 위하여 참석했다고 전해지며, 로마의 군중들이 통곡하였다고 한다. 그의 뒤를 이은 제3대 로마 국왕은 호스투스 호스틸리우스[4]의 손자인 툴루스 호스틸리우스이다.
3. 여담
사비니족 출신으로 로마 초창기부터 존재한 고대 로마의 오래된 귀족 가문(아이밀리우스, 피나리우스, 칼푸르니우스 가문)을 비롯해, 평민에 속한 폼포니우스 가문이 누마와 그 아들들의 후손을 자처하면서 누마를 기렸다.이 중 칼푸르니우스, 아이밀리우스, 폼포니우스 가문은 누마 폼필리우스를 자신들의 시조로 자랑스럽게 소개하면서, 출신 인물이 발행한 동전에 누마의 초상화를 새겨 넣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 가문들이 진짜 누마의 후손들인지 명확하지 않고, 시조와 누마 사이의 관계 역시 중구난방인 까닭에 이들 가문들이 진짜 누마의 후손들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다만 누마의 아들 칼푸스를 조상으로 두고, 성씨 자체를 칼푸스에서 따온 칼푸르니우스 가문의[5] 경우, 누마의 후손을 자처한 로마귀족 가문 중 여러 근거를 이유로 진짜 후손들로 평가받고 있다.
비록 전설이긴 하지만, 로마 달력에서 1월과 2월에 각각 '야누아리우스(Januarius)', '페브루아리우스(Februarius)'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고 알려진 왕으로도 유명하다. 그전까지 이 2개 달은 농사에 부적합한 겨울철이었기 때문에 로마인들은 이를 따로 계산하거나 이름을 붙여주지도 않았던 것이다.
[1] ?~?[2] 누마가 왕이 되도록 설득하였다.[3]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아내 칼푸르니아의 친정으로 유명한, 칼푸르니우스 가문의 시조이다. 왕정 시대부터 플레브스로 분류됐지만, 일찍부터 파트리키의 명망, 위상을 가지고 있어, 공화정 초 이 가문의 지파 피소 가문은 서기 3세기까지 위세가 대단했다.[4] 사바니의 장군.[5]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아내로 아우구스투스의 외종조모인 칼푸르니아의 친정으로 잘 알려진 로마의 오래된 귀족 가문이다. 공화정 시대의 유력 정치 명문가 피소 가문, 비불루스 가문이 이 씨족 가문의 지파로 제정 시대까지도 권세가 대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