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스트링 목록 | |
{{{#!wiki style="margin: 0 -0px -6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00px; display: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진영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bgcolor=#FFF,#191919> |
[[미셸(스트리노바)| 미셸 노부나가 코코나 이베트 플라비아 유기리 레오나 치요 | |
[[밍(스트리노바)| 밍 라비네 메레디스 카나미 레이이치 아이카 프라그란스 마라 | |
[[미리내(스트리노바)| 미리내 오드리 바이모 마들렌 퓨시아 갈라테아 |
- [ 역할별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color=#fff><width=640px>||
_타격대
[[밍(스트리노바)|]][[바이모(스트리노바)|
밍]][[퓨시아(스트리노바)|
바이모]][[플라비아(스트리노바)|
퓨시아]][[아이카(스트리노바)|
플라비아]][[마라(스트리노바)|
아이카]][[치요(스트리노바)|
마라]]
치요_척후대
[[라비네(스트리노바)|]][[카나미(스트리노바)|
라비네]][[갈라테아(스트리노바)|
카나미]]
갈라테아_수호자
[[미셸(스트리노바)|]][[노부나가(스트리노바)|
미셸]][[레오나(스트리노바)|
노부나가]][[오드리(스트리노바)|
레오나]]
오드리_전략가
[[이베트|]][[메레디스(스트리노바)|
이베트]][[레이이치(스트리노바)|
메레디스]][[마들렌(스트리노바)|
레이이치]][[유기리(스트리노바)|
마들렌]]
유기리_지원가
[[코코나(스트리노바)|]][[미리내(스트리노바)|
코코나]][[프라그란스(스트리노바)|
미리내]]
프라그란스
| |
"응? 온 건가." |
노부나가 Nobunaga | 信[1] | [ruby(信,ruby=のぶ)][ruby(長,ruby=なが)] 여명의 손 PUS의 대장. 스트리노바를 수호할 것을 맹세했습니다. | |
<colbgcolor=#4172E0,#000000><colcolor=#ffffff> 성별 | 남성 |
키 | 182cm |
생일 | 7월 11일 |
나이 | 22세 |
활동 구역 | 엘리몬드 5구역 |
무기 | 자동소총 |
성우 |
후쿠야마 준
杨超然
찰스 응우옌 |
1. 개요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나는 노부나가, HSP 한 팀의 대장이야. 너를 지킬 책임은 다하겠어."
"I am Nobunaga, and I will protect you."
침착하고 결단력 있는 수사대의 대장. 전사로서나 리더로서나 뛰어난 능력을 지니고 있으나, 감정적인 부분은 다소 둔감한 면이 있다. ||
"I am Nobunaga, and I will protect you."
침착하고 결단력 있는 수사대의 대장. 전사로서나 리더로서나 뛰어난 능력을 지니고 있으나, 감정적인 부분은 다소 둔감한 면이 있다. ||
《스트리노바》의 플레이어블 캐릭터.
2. 소개
3. 무기
심판관 자동소총 |
|
자동소총. 강력한 위력을 지닌 대구경 탄환을 사용해 전천후 작전에 적합하다. 1.5배율 스코프가 장착되어 있다. |
분류상 명백히 자동소총이지만 지정사수소총에 가까운 특성을 가지고 있는 소총으로, 두 총기분류의 딱 중간정도의 성능을 가지고 있다. 스트리노바에서 자동소총의 장점인 지향 및 견착 탄퍼짐이 적다는 점과 지정사수소총의 장점인 한발 데미지가 강하고 헤드샷이 위력적이라는 장점을 모두 가진 대신, 자동소총치고는 연사속도가 느린 편이고 지정사수소총치고는 단발 데미지가 약한 편이라는 양쪽 모두의 단점도 가지고 있다. 또한 무기 모드 전환을 이용하여 전자동 모드 및 반자동 모드 중 어느 쪽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2]
노부나가는 수호자 포지션에 속하는 캐릭이고 액티브 스킬인 수호자의 눈 범위 내에서 강력한 버프를 받아 무기 성능이 크게 강화되기 때문에, 수호자의 눈 범위 밖에 위치해 버프를 받지 못하는 상태에서는 다른 총기에 비해 스펙이 비교적 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때문에 얼마나 액티브 스킬을 잘 활용하여 최대한 유리한 상태로 전투를 하는지가 노부나가 실력의 척도가 된다.
4. 스킬
4.1. 액티브 스킬
4.1.1. Q - 수호자의 눈(Guardian Eye)
수호자의 눈 액티브 스킬 | |
|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 노부나가가 수호자의 눈을 최대 2개까지 설치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범위 내에 위치해 있으면 연사속도와 무기 효율[3]이 증가하며 보호막 재생 효과를 획득합니다. 수호자의 눈을 서로 연결하면 버프 효과가 강화됩니다. |
쿨타임 20초|수호자의 눈 HP 150|범위 10미터|초당 보호막 5 회복 |
"수호자의 눈 준비완료."
"ウォッチングアイ準備完了"
- 스킬 쿨타임 완료 시
"영역 전개!"
"領域展開"
- 스킬 발동 시
"진영을 사수하라!"
"陣地堅守"
- 스킬 발동 시
"여기는 내가 지킨다."
"ここは僕が守る。"
- 스킬 발동 시
"ウォッチングアイ準備完了"
- 스킬 쿨타임 완료 시
"영역 전개!"
"領域展開"
- 스킬 발동 시
"진영을 사수하라!"
"陣地堅守"
- 스킬 발동 시
"여기는 내가 지킨다."
"ここは僕が守る。"
- 스킬 발동 시
잠깐의 딜레이 후 바닥에 장치를 설치하며, 설치 된 후 해당 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있으면 보호막 재생 효과를 얻고 무기의 연사 속도, 조준 속도와 재장전 속도 증가등의 버프를 받는다. 장치는 2개까지 깔 수 있으며, 2개의 장치가 서로의 범위 내에 있다면 효과가 강화되며 또한 장치는 공격을 직접적인 공격을 받아 파괴될 수 있다. 장치는 회수할 수 있고, 회수 후 7.5초가 지나면 재설치가 가능하다.[4][5]
노부나가의 장판 버프기로 범위내에 들어가면 상당한 수준의 버프를 얻어서 굉장히 높은 전투능력을 얻는다. 게다가 보호막 자연 회복 덕분에 저격류에 한방나지만 않으면 약간 긁힌 정도는 어렵지 않게 복구가 가능해 노부나가는 재생 보호막 대신 강화 보호막을 사용하기 쉬운 슈퍼스트링 중 하나이다.[6] 이 덕분에 자체 보호막 수치도 무려 90으로 가장 높은데 강화 보호막까지 더해져 총합 240라는 독보적인 체력 스탯을 가질 수 있다.[7]
1각성 획득시 이 스킬의 범위 내에서 죽는 피해를 입을 경우 라운드 당 단 1회에 한해 체력 30으로 살아남고 30의 보호막을 얻을 수 있다.
2각성 선택시 이 스킬 범위에 들어온 적의 위치가 지형과 연막에 관계 없이 드러나며, 적이 해당 범위를 나가도 0.5초 동안은 노출 효과가 유지된다. 이 탐지 효과는 지형지물의 고저 차를 어느 정도 무시하므로[8] 좁은 맵에서의 성능이 발군이며 넓은 맵에서도 좁은 통로 하나를 완전 커버가 가능할 정도의 범위를 지녀 사격으로 파괴하기 어려운 위치에 설치하면 적의 진입을 아예 봉쇄할 수 있다.
3각성 획득 시 두 장치가 모두 깔려있을 때, 한 장치 범위 내에서 이 스킬을 시전하면 다른 장치가 있는 위치로 순간이동한다. 잘 사용하면 기동력이 저격수 다음으로 느린 노부나가가 여러 위치에서 멀티 롤 플레이어가 될 수 있도록 만들어주며 게임 특성상 2~3개 구역을 방어해야 하는 수비팀은 소수의 인원이 분산배치 되는일이 많은데 노부나가는 준비 시간에 열심히 뛰어서 설치해 놓으면 언제든 공격 받는 사이트의 아군에게 합류하여 즉시 전력이 되어줄 수 있다.
3각성은 발로란트의 체임버를 생각하면 되는데, 한 자리에 둘 다 박고 중첩된 버프를 받으면서 싸우다 불리하면 도망가는 현재 체임버/사이트마다 하나씩 박고 각 지점을 오가면서 수비하는 리워크전 체임버와 비슷하게 사용하면 된다.[9] 이동 쿨다운은 3초이다.
일반적으로 좁은맵에서는 2각성을, 넓은 맵에서는 3각과 2각을 상황에 따라 바꿔가며 사용한다.
주의해야할 점은 이 스킬을 너무 맹신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다. 분명 장판을 끼고 싸우는 노부나가는 자신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근접전 상황조차도 어느 정도 무시하고 싸울 수 있지만, 상대도 당연히 그걸 알고 있기 때문에 적이 수적 우위를 노리고 공격해올 것 같으면 바로 뒤에 아군이 대기중인게 아닌이상 장판을 버리고 도망가야한다. 어차피 장판 자체는 쿨타임이 20초로 매우 짧은 편이다.
수호자의 눈 운영을 얼마나 잘 하는지가 노부나가 실력의 척도가 될 정도로 노부나가 운영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스킬이다. 장판은 범위를 고려하면서 유동적으로 배치하되 반드시 하나의 장판은 자신이 자리잡은 곳에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최대한 많은 상황에 버프를 받은 상태로 싸울 수 있도록 하고, 이동할 때에는 반드시 회수한 후 적이랑 싸우기 전에는 너무 급한 상황이 아닌 이상 장판을 설치하여 버프를 받은 채로 싸우는 것이 권장된다.
4.2. 패시브 스킬
4.2.1. 블라인딩 펄스(Blinding Pulse)
블라인딩 펄스 패시브 스킬 | |
|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 노부나가는 조준 상태에서 에너지를 충전합니다. 최대 충전 시 적을 명중하면 해당 적의 무기 견착 사격 탄착군이 증가하고, 조준 상태에서 조준선이 사라지며 명중률이 감소합니다. |
패시브 | 충전 시간 0.75초 |
"반격하게 두지않는다!"
"反撃させない!"
- 패시브 스킬 발동 시
"反撃させない!"
- 패시브 스킬 발동 시
우클릭 조준시 0.75초간 게이지가 차오르며, 완충 상태에서 발사하는 다음 탄환이 적에게 적중하면 우클릭의 조준선을 약 2초[10]간 없애며 명중률을 감소시킨다.
완충 사격으로 적에게 가한 디버프는 조준&견착사격의 명중률을 지향사격으로 만들어버린다. 노부나가가 줌을 유지하고 조준사격을 하는 동안은 게이지가 차오를때마다 지속적으로 적에게 디버프를 가하므로, 패시브를 지속적으로 묻힐 수 있다면 전력전개를 켠 오드리를 제외한 그 누구도 노부나가를 중장거리 교전에서 노부나가를 이길 수 없게 된다.[11] 당연히 중장거리 저격수나 지정사수는 한발만 묻어도 풀리기 전까지는 엄폐물을 끼고 숨어야 하기 때문. 노부나가가 패기있게 저격수에게 맞딜을 시도하는건 단순히 1각 때문만은 아니고 이 패시브의 영향력도 있다.
4.3. 전술 스킬
4.3.1. C - 펄스 지뢰(Pulse Mine)
펄스 지뢰 전술 스킬 | |
|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 노부나가는 지정된 방향에 지뢰를 던집니다. 지뢰가 설치된 후 적군이 근접하면 지뢰가 폭발하여 적군과 자신에게 지속적인 피해를 줍니다. |
라운드 당 1회(일반 폭파), 쿨타임 45초(호위, 스트링 쟁탈전)|범위 6미터|초당 15 데미지 | 자신에게는 초당 5 데미지 |
노부나가가 대상 지점에 지뢰를 설치한다. 지뢰는 짧은 시간 후 활성화되고, 적이 오면 작동하여 1초 후 장판을 생성하여 장판 위의 적에게 초당 15씩 5초간 총 75의 데미지를 준다. 생성된 장판은 노부나가에게도 피해를 주지만 노부나가에게 주는 피해량은 초당 5로 적이 받는 피해량에 비해서는 적다. 사용되지 않은 지뢰는 노부나가가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회수 방법과 조건은 노부나가의 액티브인 수호자의 눈과 동일하다.
주된 사용방법은 감속 수류탄과 비슷하지만, 지뢰에는 피해만 있을 뿐 그 어떠한 감속효과도 없어 단순히 깔아두기만 하면 적이 지뢰가 발동되자마자 아무렇지 않게 빠져나가게 된다. 그래서 이 스킬은 노부나가의 사선에 배치해야 하며, 적이 오는 시점에 작동하게 만든 다음 적에게 노부나가의 공격과 지뢰의 지속 피해를 동시에 받거나 지뢰를 빠져나가면서 노부나가에게 프리딜각을 주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스킬은 적을 감지해 작동하기 전에는 노부나가가 언제든 회수가 가능하기에 적이 다른 지역으로 와도 사용에 제약이 없다.
만약 깔아두는 식으로 사용할 것이라면, 공격측이 점거하면 안되는 곳에 깔아둬서 공격팀이 그 지역에서 빠져나가게 만드는 사용법이 추천된다. 장판을 지나칠 때에는 피해량이 별로지만 다 맞는다는 가정 하에 피해량이 제법 되기에, 마치 전략가처럼 공격팀이 자리잡은 곳을 견제하는 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설치형 기술이지만 투척 후 작동하기에 아예 적이 있는 곳에 던져서 사용하는 것도 일단은 가능하다.
또한 지속딜을 준다는 점을 이용하여, 연막 진입이나 공격측 전략가의 연막 계열 기술에 어느정도 대응하는 활용도 가능하다. 이 지뢰는 연막으로 적이 가려져도 범위 내에만 들어온다면 제대로 작동하고, 데미지가 틱당 3씩 1초에 5번 들어가기에 적이 위치한 곳을 대략적으로 짐작하여 견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4.4. 궁극기
4.4.1. X - 펄스 과부하(Pulse Overload)
펄스 과부하 궁극기 | |
|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 노부나가가 현재 위치에 전방위 펄스 생성기를 설치합니다. 생성기에 영향을 받은 적은 아군 전체에게 위치가 노출되며, 일정 시간 동안 침묵 상태에 빠집니다. |
◆◆◆◆◆◆◆ | 7 포인트|펄스 생성기 HP 100|펄스 생성기 지속 시간 16초|설치 후 0.5초 후에 스캔 시작|총 4번 스캔 |
"EMP 영역!"
"EMP 領域"
- 궁극기 발동 시
"내가 대세를 통제할 거야!"
"すべてを把握させてもらう!"
- 궁극기 발동 시
"그 누구도 함부로 할 수 없을 것이야!"
"誰にも好き勝手はさせない!"
- 궁극기 발동 시
"EMP 領域"
- 궁극기 발동 시
"내가 대세를 통제할 거야!"
"すべてを把握させてもらう!"
- 궁극기 발동 시
"그 누구도 함부로 할 수 없을 것이야!"
"誰にも好き勝手はさせない!"
- 궁극기 발동 시
일정 시간 스킬키를 홀드하는 것으로 제자리에 EMP 펄스 방출 장치를 설치하며, 설치가 완료된 장치는 설치 직후 및 일정 간격으로 넓은 범위 내에 펄스를 방출하여 펄스에 적중한 적의 위치를 드러내고 스킬 사용을 차단한다.
스트리노바에서 가장 강력한 궁극기를 논할 때 반드시 들어가는 궁극기로, 지역 장악 하나는 엄청나며 상당히 넓은 범위로 적의 위치를 드러낼 뿐만 아니라 스킬까지 차단하기에 적은 몸으로 밀고 들어와 장치를 부수는게 아닌이상 강제로 밀려날 수 밖에 없다. 적의 스트링화까지 막지는 못하지만, 역으로 펄스를 한번 맞으면 위치가 전부 노출되는데다가 한동안 생존기랄게 스트링화만 남게되므로 후속 공격에 매우 취약하게 된다.
이 궁극기 하나로 대부분의 시야차단능력과 감지능력을 카운터치기 때문에 발동 타이밍이 중요하다.[12] 너무 빨리사용하면 적이 미련없이 빠질것이고 너무 늦게 쓰면 적이 이미 코앞이라 체력이 높지 않은 펄스 방출 장치가 쉽게 파괴될 수 있어 위험해진다. 베스트는 적이 궁을키고 진입하는 상황에 쓰는 것. 실시간으로 위치가 따이고 스킬 못쓰는 위험을 감수하고 싸울지, 서로 궁만 뺀 뒤 한차례 뒤로 빠질지 이지선다를 강요할 수 있다.
5. 스트링 에너지 네트워크
5.1. 기본 스탯
[include(틀:스트리노바/총기 스탯/P.U.S,연사속도=350, 연사속도나누기12=29.1,
조준속도=45,
명중률=69,
제어=72,
탄창용량=20,
재장전속도=21, 재장전속도곱하기2=42,
볼트장전속도=0,
스트링피해량=67,
배율=1.5
)]
[include(틀:스트리노바/피해/P.U.S,
머리10=75, 머리30=72, 머리50=67,
상체10=43, 상체30=41, 상체50=38,
하체10=30, 하체30=28, 하체50=27
)]
[include(틀:스트리노바/캐릭터 스탯/P.U.S,
보호막=90, 보호막나누기2=45,
보호막재생수치=2, 보호막재생수치곱하기5=10,
이동속도=54,
스트링이동속도=66,
스트링피해량감소비율=33, 80나누기스트링피해량감소비율=49,
다운시간=15, 30나누기다운시간=50,
다운중부활시간=4, 8나누기다운중부활시간=50
)]
남캐답게 보호막 수치가 높은데다 Q스킬의 자가 보호막 재생덕에 재생 보호막 의존도도 낮아서 강화 보호막 채용률이 높고, 1각성의 보너스 효과도 있어 체감되는 체력은 더 높다.
DMR중에서 가장 위력이 낮은 대신 다른 부분의 능력치는 전부 높다. 사실상 DMR의 탈을 쓴 전투소총. 게다가 Q스킬 범위 내에서 교전하게되면 AR계열의 무기군을 사용하는 타격대와도 꿀리지 않는다. 성능만 보면 원거리 교전시 다른 DMR무기군에게 밀릴 것 같지만, 장판 위에서의 노부나가의 화력은 매우 강력한데다 1각성과 패시브로 원거리교전에서 역으로 우위를 가져오는게 가능하므로 막상 붙어보면 노부나가쪽이 딱히 밀리지 않는다. 대신 Q버프를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의 성능은 어느쪽으로도 특화하지 못한 애매한 성능의 무기가 된다.
5.2. 강화 옵션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4172E0,#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 ||
공격
|| 기본 피해량 증가 150 | |
기본 연사속도 증가 150 | |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 기본 피해량 증가 10m 머리 피해 : 75 → 79 (+4) 30m 머리 피해 : 72 → 76 (+4) 50m 머리 피해 : 67 → 71 (+4) |
10m 상체 피해 : 43 → 45 (+2) 30m 상체 피해 : 41 → 43 (+2) 50m 상체 피해 : 38 → 40 (+2) | |
10m 하체 피해 : 30 → 31 (+1) 30m 하체 피해 : 28 → 30 (+2) 50m 하체 피해 : 27 → 28 (+1) | |
기본 연사속도 증가 연사속도 : 350 → 367 (+17)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4172E0,#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 ||
치명타
|| 헤드샷 피해량 증가 150 | |
스트링화 피해량 증가 150 | |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 헤드샷 피해량 증가 10m 머리 피해 : 75 → 86 (+11) 30m 머리 피해 : 72 → 82 (+10) 50m 머리 피해 : 67 → 77 (+10) |
스트링화 피해량 증가 스트링화 피해량 : 67 → 80 (+13)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4172E0,#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 ||
연사
|| 탄창 용량 증가 150 | |
재장전 속도 증가 150 | |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 탄창 용량 증가 탄창 용량 : 20 → 25 (+5) |
재장전 속도 증가 재장전 속도 : 21 → 29 (+8)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4172E0,#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 ||
명중률
|| 탄 퍼짐 조절 증가 150 | |
반동 제어 증가 150 | |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 탄 퍼짐 조절 증가 명중률 : 69 → 86 (+17) |
반동 제어 증가 제어 : 72 → 93 (+21)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E6C256,#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수호자의 눈
|| 연사속도 및 무기 효율 50% 증가 250 |
초당 보호막 회복량 5 증가 250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E6C256,#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블라인딩 펄스
|| 약화 시간 2초 증가 250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A4FA64,#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 ||
보호막
|| 재생 보호막 250 | |
강화 보호막 250 | |
{{{#!folding ▼ {{{#!wiki style="margin: -14px" | 재생 보호막 보호막 매회 회복 수치 : 2 → 8 (+6) |
강화 보호막 보호막 : 90 → 110 (+20) |
||<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A4FA64,#383B40><tablebgcolor=#ffffff,#1C1D1F>
}}}}}} ||
스트링화
|| 스트링화 이동 속도 15% 증가 250 | |
스트링화 피해량 감소 지수 46%까지 증가 250 | |
{{{#!folding ▼ {{{#!wiki style="margin:-14px;" | 스트링화 이동 속도 15% 증가 스트링화 이동 속도 : 66 → 76 (+10) |
스트링화 피해량 감소 지수 46%까지 증가 스트링화 피해량 감소 비율 : 33 → 46 (+13) |
2025년 5월 22일 패치로 반자동 모드와 자동 사격 모드를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게 되었다. 기본키는 1번키 왼쪽의 `(~)키. 자동 사격 모드를 활성화하면 반동이 반자동 모드에 비해 증가한다.
5.3. 각성
1각성 : 회생의 눈 노부나가가 수호자의 눈 영역 내에서 치명적인 피해를 1회 견뎌냅니다. 이후 일정량의 HP 및 보호막[13]이 재생됩니다. |
2각성 : 감시자의 눈 수호자의 눈 영역에 들어온 적과 소환물은 노부나가 및 아군에게 위치가 노출됩니다. 해당 투시 효과는 영역을 벗어난 후에도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됩니다. |
3각성 : 펄스 이동 노부나가가 수호자의 눈 범위 안에 있을 때, 다른 수호자의 눈이 있는 곳으로 순간이동할 수 있습니다. |
적의 플레이 방식과 맵에 따라서 2각성과 3각성을 유동적으로 채용한다. 메레디스 및 레이이치의 연막 기술에 대처할 때, 한 자리를 지키며 싸우거나 좁은 입구로 들어오는 적의 진입을 억제해야 할 때 주로 2각성을 선택하고, 넓은 맵에서 노부나가를 사용할 때 및 적의 적극적인 로테이트에 대응할 때 3각성을 주로 선택한다. 노부나가의 각성들은 모두 하나같이 강력한데다 다른 수비캐릭터로 대체 불가능한 성능을 발휘하므로, 이를 상대에 맞춰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하는게 중요하다.
6. 평가
연사가 가능한 총기 중 유일하게 1.5배율이 달려있다.[14] 스킬로 자신을 강화해 교전 거리가 긴 지역을 막는데 주로 쓰이며, 1각성과 패시브 덕에 저격수를 비롯해 모든 지정사수들을 한정적으로 카운터친다. 어지간한 수호자들이 가진 요소는 다 가지고 있어 강화와 각성들을 가지고 한 장점을 특화시켜 수호자 역할 아래 플레이어 입맛대로 내가 원하는 플레이를 만들어 낼 수 있다.이런 특징들로 플레이하는 유저마다 플레이 스타일이 천차만별로 갈리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덕분에 공방에서는 사이트에 Q스킬을 꽂아 놓고 돌진해, 죽을 것 같으면 3각성 스킬로 순간이동해 사이트로 도망치는 노부나가, 2각성 스킬과 재생 보호막을 올려 적이 들어올만한 길목에 Q스킬과 경보기를 통로마다 설치해, 사이트 하나를 혼자서 틀어막는 노부나가, 재생 보호막과 3각성 스킬의 이점을 극한으로 살려, Q스킬을 한 개만 남겨놓고 회수해 20초마다 사용 가능한 긴급 탈출 스킬처럼 사용하는 노부나가 등. 여러 가지 독특한
이런 육각형 캐릭터들이 늘 그렇듯이, 개인의 역량에 따라서 성능이 급격하게 요동친다. 수호자의 눈 덕분에 사용 가능한 강화 보호막과 1각성 스킬의 원코인 기능, 그리고 게임 특성상 지향 / 견착 사격이 잘 맞는 편이라 근거리전도 나름대로 대응 가능하고, 원거리전도 다른 DMR 무기군 캐릭터들이 그렇듯이 어느 정도 가능하며, 각성 스킬에 따라 전혀 다른 방향의 정보전에도 강력하다. 그렇지만 근거리전은 결국 DMR 무기군 특성 때문에 기피해야 하며, 유틸리티를 보고 쓰는 수호자의 눈을 미리 작업하는 것이 중요하고, 그 수호자의 눈이 파괴 가능한 오브젝트라 파괴당하면 꽤 골치아파진다.[15] 결국 파일럿이 얼마나 잘하느냐에 따라서 성능이 편차가 큰 캐릭터로 평가할 수 있다. 자신이 DMR 무기군을 특별히 기피하지 않는다면 연마해 보는 것을 추천할 만한 슈퍼스트링.
노부나가를 사용할 때 가장 익숙해져야 하는 것은 유동적인 액티브 사용이다. 노부나가는 사실상 장판 2개를 깔고 그 위에서 움직이며 전투하는 오드리랑 비슷하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며, 장판 밖에서 전투하는 노부나가는 모든 각성의 효과를 받지 못하고 자체적인 무기 성능도 떨어져 급격하게 약화되므로, 전투 상황이 바뀔 때마다 장판을 수시로 회수하고, 교전하기 전 적절하게 배치하면서 유연하게 플레이해야 노부나가가 가진 수호자 캐릭터로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7. 의상
8. 업적
9. 작중 행적
10. 인간관계
- 레이이치 - 우호 --> 적대
- 과거에는 같은 P.U.S 소속에 친형이기도 하여 사이가 매우 좋았으나, 갑작스레 레이이치가 P.U.S를 배반하면서 원수지간 급으로 사이가 틀어지게 된다. 그래도 형제라고 한편으로는 레이이치와 노부나가를 서로 걱정 또는 동정하는 상호작용 대사도 있다.
11. 대사
12. 기타
- 인게임 로딩화면에 따르면 매일 아침마다 P.U.S를 배신했던 자신의 형 레이이치를 떠올리며 고통 속에서 잠에 깨어난다고 한다.
[1] xìn, 신(씽)[2] 단, 전자동 모드에서는 반자동 모드에 비해 반동이 꽤 증가한다.[3] 조준 속도 및 재장전 속도[4] 회수 조건은 노부나가가 장치 범위 내에 있으면서 장치를 바라보되, 벽 또는 연막탄 등에 가려지지 않아야 한다.[5] 첫 장치 회수 후 쿨타임 내에 다른 장치도 회수하면 두 번째 장치는 첫 번째 장치 쿨다운을 따른다.[6] 그 외엔 미리내와 코코나. 미리내는 아군이 곁에 있으면 보호막을 회복하는 패시브를 지녀 곁에 아군 만 있다면 보호막을 쉽게 회복하며 코코나는 비록 액티브 스킬 이지만 힐링드론으로 강화 보호막을 쓰는 경우가 많이 있다.[7] 체력 자체는 다른 남캐들인 레이이치, 바이모도 강화 보호막을 장착하면 240로 같긴 하지만 자체적인 보호막 재생이 없고 어디 얻어맞고 긁히기 쉬운 엔트리 포지션인 바이모는 유지력 때문에 높은 체력을 제대로 써먹지 못해서 재생 보호막이 낫고 레이이치도 어지간하면 유지력이 중요해 웬만하면 재생 보호막을 쓰는게 낫다.[8] 수호자의 눈을 설치한 지점을 기준으로 표시된 범위 위아래로도 범위가 꽤 되는 편이다. 윈디타운 미드 2층에 설치하면 1층에도 영향을 주고 그 반대로 1층에 설치해도 2층에 영향을 줄 정도이다.[9] 체임버처럼 즉발에 가까운 속도로 시전되는 것은 아니기에 생존기로 사용하려고 한다면 타이밍을 넉넉하게 잡고 사용하는 편이 좋지만, 발로란트처럼 TTK가 짧지도 않기 때문에 의식하고 있다면 충분히 생존기로 사용이 가능한 수준이다. 더군다나 사용자가 노부나가기 때문에 목숨만 붙어있다면 보호막을 끝까지 채울 수 있어 더욱 활용도가 높아진다.[10] 강화시 4초[11] Q를 켠 오드리는 줌인도 견착도 한 판정이 아닌 그냥 기본적인 무기 정확성이 뛰어난 것이라 디버프를 받든 안받든 영향이 없다.[12] 대표적으로 메레디스, 그리고 레이이치. 메레디스는 궁에 맞궁을 박으면 대놓고 카운터먹으며, 레이이치는 펄스를 먼저 맞으면 궁을 못쓰고 궁을 먼저 쓰면 노부나가가 궁을 아낀다.[13] HP 30, 보호막 30[14] 일단 인게임 분류상으로는 자동소총이다. 다만 자동소총이라기엔 지나치게 높은 단발 대미지와 Q 2개+Q스킬 연사속도 증가수치 50% 증가를 찍어도 오드리보다도 느린 연사속도 때문에 유저들은 자동소총이 아닌 연사모드가 있는 DMR로 취급한다. 실제 인게임 플레이도 AR을 든것마냥 플레이하면 장점을 제대로 살리지도 못하는 경우가 많고 오히려 DMR스럽게 중장거리 교전을 이끄는게 훨씬 좋다.[15] 그나마 수호자의 눈은 자체 체력이 높은 편이라 수호자의 눈을 설치해 두고 자리를 비우거나, 대놓고 눈에 보이는 곳에 설치해 둔 것이 아닌 이상 파괴될 확률은 낮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