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16:13:54

이은유(스위트홈)/드라마

너새뻑최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이은유(스위트홈)

파일:스위트홈(시즌 1) 로고.png
[ 시리즈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949494><tablecolor=#660000>
파일:스위트홈(시즌 1) 로고.png
(2020)
||<width=33%>
파일:스위트홈(드라마 시즌 2) 로고.png
(2023)
||<width=33%>
파일:스위트홈(드라마 시즌 3) 로고.png
(2024)
||
[ 등장인물 ]
##엔딩크레딧 순서대로 기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시즌 1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949494>
파일:sweethome1.png
파일:sweethome2.png
파일:sweethome3.png
파일:sweethome4.png
파일:sweethome7.png
파일:sweethome5.png
파일:sweethome6.png
파일:sweethome9.png
파일:sweethome8.png
파일:sweethome10.png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시즌 2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sweethomes2-1.jpg
파일:sweethomes2-2.jpg
파일:sweethomes2-3.jpg
파일:sweethomes2-4.png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파일:sweethomes2-7.jpg
파일:sweethomes2-5.jpg
파일:sweethomes2-8.jpg
파일:sweethomes2-6.jpg
파일:sweethomes2-9.jpg
}}}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시즌 3 등장인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
[ 관련 문서 ]
||<tablebgcolor=#660000><tablewidth=100%><width=1000> 등장인물 ||<-3><width=80%><colbgcolor=#949494>시즌 1시즌 2시즌 3 ||
괴물 시즌 1시즌 2시즌 3
설정 그린 홈까마귀부대
줄거리 음악 원작과의 차이점 원작


<colbgcolor=#090B0A><colcolor=#ffffff> 이은유
Lee Eun Yu
파일:스위트홈(드라마 시즌 2) 이은유.jpg
배우
1. 개요2. 상세3. 포스터4. 작중 행적5. 평가6. 대사7. 기타

[clearfix]

1. 개요

넷플릭스 드라마, 스위트홈의 등장인물.

해외 더빙 성우는 스기야마 리호 / 지영 유.

2. 상세

발레를 전공한 여고생으로, 그린 홈에서 오빠인 은혁과 함께 807호에 거주하고 있다.

고아였지만 입양을 통해 은혁과 남매의 연을 맺었다. 발목 부상으로 인해 자신이 가장 좋아했던 발레를 그만두게 되었고, 이에 대한 스트레스와 함께 사춘기까지 맞물려 굉장히 까칠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시즌 2부터 주요 사용하는 무기는 단도.
이은혁의 동생. 발목 부상으로 무용을 그만둔 후 매사에 삐딱한 사춘기 소녀다. 세상이 뒤집어져도 관심없단 식의 무심한 태도를 고수하고 싶지만 도구로 이용당하는 현수를 보면 화가 치밀어 가만히 있을 수가 없다.
– 시즌 1 인물 소개
시체든 괴물이든 그린홈을 탈출할 때 헤어진 오빠 은혁의 마지막을 보지 못한 은유는 그의 죽음을 믿지 않는다. 위험에 처할 때마다 누군가 자신을 보호하고 있는 것 같은데 정체를 드러내지 않아 더 애가 탄다. 생존자들이 모여 사는 스타디움의 실세 지반장의 남편을 죽였다며 사람들이 자신을 마녀라고 기피하고 있지만 오빠 은혁을 찾는 일에만 몰두한다.
– 시즌 2 인물 소개

3. 포스터

파일:스위트홈(드라마 시즌 2) 캐릭터 포스터 이은유.jp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시즌 2 시즌 3

4.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은유(스위트홈)/드라마/작중 행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평가

5.1. 시즌 1

주인공인 차현수와 러브라인을 형성하며 원작에 비해 비중이 늘어났다.

틱틱거리기는 해도 상당히 유쾌하고 발랄한 이미지인 원작과는 다르게 설정이 대폭 변경되어 드라마에서는 공격적이고 버릇없는 인물로 나온다. 발목 부상 때문에 좋아하는 발레를 하기 힘들어진 것으로 인한 좌절감과 부모가 죽은 와중에도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자신을 여전히 친동생처럼 아끼고 희생하는 이은혁에 대한 미안함 등이 심리적인 배경으로 보인다.

다만, 이렇게 공격적인 성향은 원작에서의 이은혁의 종종 사람들을 화가 나게 자극해서 힘을 복돋아 주던 위악적인 면모를 이은유에게 나눠준 것에 가깝다.[1] 특히 차현수윤지수에게 해준 위로는 거칠긴 해도 두 사람이 다시 기운을 차리고 일어서는 원동력이 되었고, 강승완의 말처럼 '남에게 자기 목숨 맡겨둔 사람들'이던 다른 주민들 역시 고무시켜 거미 괴물과 맞서 싸우는 등 그녀의 말들은 실제로 사람들에게 힘이 되었다. 게다가 이은유가 아니었다면 반괴물 상태에서 괴물로 각성한 차현수가 목숨을 잃었을 가능성도 높다.

그러나 작중에서 그런 면모가 크게 드러나지는 않는다. 오히려 그냥 말을 툭툭 뱉는 개념 없는 고등학생 같다는 혹평도 존재한다. 본인도 아무것도 하지 않고 방관만 하면서 독설을 내뱉는다는 혹은 고생은 하나도 안하면서 입만 나불댄다는 것이 그 이유다. 하지만 캐릭터성이 원작보다 훨씬 더 강렬하고 극에 생동감을 불어넣는다고 호평하는 사람도 많다.

5.2. 시즌 2

사실상 진주인공이라고 해도 될 정도로 비중과 출연이 가장 많다.

6. 대사

6.1. 시즌 1

여기선 죽지 마. 괜히 여기서 죽어 가지고 여러 사람 귀찮게 만들지 말고 딴 데 찾아봐.
— 1화, 자살을 하기 위해 옥상으로 올라온 현수를 보며
사망 신고부터 해. 숨 막혀 뒤질 것 같으니까.
— 1화, 자신에게 잔소리를 하는 은혁에게
너 같은 새끼는 뻑큐가 최고야.
— 4화, 현수의 잔류 유무 투표를 깽판치는 석현에게
아저씨도 조심해야겠다. 아까 보니까 식탐이 거의 뭐 메가톤급이던데.
우리 모두 다 인간이니까 누가 걸릴지는 아무도 모르는 거네?
— 4화, 현수의 뒷담화를 하는 주민들에게
너 때문 아니잖아. 그렇게 생각하면 마음이 좀 편하냐? 그러니까 다들 네 탓만 하는거야. 사람들은 지랄을 존~나 해 줘야 알아들어.
안 아프냐? 아까는 겁나 낑낑대더니. 어디가 아픈지 잘 모르겠으니까 네가 알아서 잘 붙여.
티 좀 내라고. '너희들 때문에 지금 다쳤다. 씨발, 존나 아프다.' 어?
— 6화, 다친 현수에게 밴드를 붙여주며
지금 남 치료해 줄 때예요? 아까 보니까 본인 숨이 헐떡헐떡 막 넘어가던데.
— 7화, 재헌을 치료해주고 기침하는 유리에게
뭐라도 해! 뭐라도 하라고. 나 쟤한테 복수해야 돼.
— 7화, 지수의 수술을 망설이는 은혁에게
네가 내 마지막 관객이였으니까 영광인 줄 알아.
— 8화, 현수에게 발레를 그만뒀다는 것을 고백하며
그냥 이렇게 해. 너 나랑 약속한 거야.
— 8화, 현수와 새끼손가락 깍지를 걸며
나 때문에 이은혁도 고아 됐어. 그리고 이은혁 인생도 조졌어... 나랑 지랑 피 한 방울 안 섞였는데 부모 없으면 솔직히 남남인데 나 발레시키겠다고 휴학한 거야, 걔. 미친 놈이야... 내 탓 아니래 괜찮대. 지가 괜찮으면 뭐, 나도 괜찮은 거야?
— 9화, 지수에게 자신의 과거를 고백하며
넌 네가 되게 대단한 줄 아나 본데, 미안한데 아니야. 내가 증명해 줄게. 너랑 같이 끝까지 살아남을 거야, 나는. 할 것 없었는데 그거라도 해야겠네. 애써 불행해지려 하진 마. 이미 존나 충분하니까.
— 9화, 재헌를 잃고 절망에 빠진 지수에게
지금 우리 살자고 현수를 팔아먹자고? 아니, 지금 이거를 믿어?
— 10화, 군부대가 뿌린 안전캠프 전단지를 보여주는 은혁에게
버텨. 너를 위해. 그리고 우리를 위해서.
— 10화, 현수에게 8화에서 한 약속의 의미
오빠! 오빠! 안 돼! 데려와야 돼! 잠깐만, 돌아온다고 약속했잖아!
— 10화, 은혁이 남긴 마지막 말의 의미를 깨닫고 절규하며

6.2. 시즌 2

언제 어떻게 누가 괴물이 될지는 아무도 모르는 거잖아.
— 2화, 안전캠프가 안전하다고 주장하는 까마귀부대 중사에게
오빠! 제발 그냥 한 번만 나와주면 안 돼? 나 어떤 모습이라도 상관 없으니까 제발 한 번만 나와줘. 내가 이렇게 부탁할게.
— 4화, 은혁에게 자신 앞에 나타나달라고 오열하며
내 입장도 생각 좀 해 줘라. 내가 좀 오해를 부르는 스타일이라서. 니가 갑자기 여기서 죽어 버리면 다들 나한테 한 소리 할 거 아니야. 그러니까 신경 쓰이게 하지 말고 죽을 거면 다른 데 가서 죽어.
— 5화, 자살하려는 진아에게
원하는 걸 얻으려면 목숨도 걸어야 한다는 걸 얘네도 다 아는 거라고.
— 5화, 단독행동이 위험하다고 말리는 찬영에게
약속해. 다시는 날 쫓아다니지도 말고 궁금해하지도 마.
— 6화, 찬영에게

6.3. 시즌 3

7. 기타

  • 작중 만화책을 읽는 장면들이 나오는데, 스위트홈의 작가인 김칸비와 황영찬의 전 합작 후레자식의 단행본이다. 이 웹툰을 좋아했던 이응복 감독이 작가를 설득해 등장시켰으며 드라마의 유일한 PPL이다.
  • 제작발표회에서 서이경 역의 이시영에게 끝까지 살아남을 것 같은 캐릭터로 지목당했다. 그 이유는 괴물과의 말싸움에서 절대 지지 않을 것 같은 구강 액션(...)의 소유자이기 때문이다.
  • 오빠 이은혁을 맡은 이도현과는 2021년 드라마 오월의 청춘에서 연인으로 호흡을 맞추었고 차현수 역의 송강과는 좋아하면 울리는에 이어 두 번째 넷플릭스 오리지널에 출연하게 되었다.
  • 원작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중학생 정도로 추정되는 어린아이지만 드라마에선 차현수와 동갑인 18살 고등학생으로 바뀌었다.
  • 선술한 대로 설정이 바뀌면서 윤지수와는 2살 터울로 변경됐는데 담당 배우 고민시도 윤지수 역의 박규영보다 2살 어리다.

[1] 일명 메인 퀘스트와 서브 퀘스트 드립. 드라마에서도 은혁이 비슷한 말을 하긴 하는데, 원작과 다르게 진옥의 딸과 수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한 뒤의 은혁은 심리적으로 여유가 없어졌기 때문에 위악적인 면모는 많이 희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