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탐정 코난 TVA 에피소드 | ||||
뒤집힌 결말 | → | 내가 사랑한 미스터리 | → | 소노코의 빨간 손수건 |
1. 개요
俺が愛したミステリー명탐정 코난의 오리지널 에피소드. 한국판 제목은 '미스터리를 사랑한 남자'이다.
| | ||
456 | 2006.11.13.(월) 19:30 | 8.05(더빙) 8.05(자막) | 2010.06.02.(수) 2022.03.23.(수) |
2. 줄거리
3. 등장인물
3.1. 레귤러 캐릭터
3.2. 단역
|
- 사이카와 무라코/송춘자(65) - 성우:세바타 나츠코/한인숙[2]
소설가. 한 때 미스터리 소설로 이름을 날렸던 작가이다. 나이가 65세인데 독신이라고 한다.
|
|
|
|
- 초밥집 사장 - 성우:미즈토리 테츠오/이주창[6]
피해자인 사이카와 무라코/송춘자의 팬이라서 초밥 세트에 특별히 오징어와 문어 초밥을 추가해준다 하지만 사건 당일 실수로 깜빡하고 오징어와 문어를 빼먹어서 피해자의 최후의 식사를 망쳤다라는 죄책감을 느꼈다.[7]
|
- 택배기사
4. 피해자
이름 | 사이카와 무라코(송춘자) |
나이 | 향년 65세 |
사인 | 트로피에 머리를 맞아 박살 |
5. 범인
| |
이름 | 토노 슌이치(원노일) |
나이 | 26세 |
신분 | 미궁 출판사 편집자 |
살해 인원수 | 1명:사이카와 무라코 |
범행동기 | 작가를 다시 유명하게 만들기 위해서 |
혐의 | 살인 |
사이카와는 몸이 아파 살 날이 얼마 안 남았다. 하지만 병으로 돌아가면 잊힌 작가의 죽음은 아무도 기억해주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살해당하면 이야기가 달랐다. 그것도 본인이 쓴 소설의 등장인물이 범인이라면 당연히 언론에서도 크게 화제가 될 것이다. 그래서 토노는 사이카와를 다시 유명해지게 만들기 위해서 그녀를 살해한 것이다.
메구레는 "동기가 어떻든 사람이 사람을 죽이는 일은 절대 용서받을 수 없습니다"라고 한다. 이에 토노는 "하지만 선생님을 위해서는 그 방법이..."라고 하자 시마자키가 토노의 멱살을 잡는다. 그러자 코난(코고로)이 "정말 선생님만을 위해서 저지른 일입니까? 사건이 화제가 되면 작품집도 잘 팔리고 회사의 경영 상태도 좋아지겠죠. 그런 계산은 전혀 없었습니까?"라고 묻는다. 이때 시마자키는 토노의 멱살을 놨고, 토노는 "미궁 출판사를... 미스터리 소설의 명맥을 이어온 회사를 지키고 싶었어요."라고 답했는데 결국 시마자키는 토노한테 "이 바보 같은 녀석!"이라고 하며 주먹을 날린다.
이에 토노는 쓰러졌고 타카기가 그에게 달려온 후 시마자키를 말린다. 시마자키는 결국 감정을 가라앉힌다. 마지막에 코난(코고로)이 "진심으로 미스터리를 사랑하는 자라면 절대 사람을 죽이지 않습니다"라는 말을 남기면서 이야기가 끝이 난다.
범행동기가 매우 어이없는 사례로 손꼽힌다. 범인은 작가가 대중들에게 잊혀진 상태에서 병으로 죽으면 아무도 기억해주지 않을 거라고 생각해서 소설의 등장인물에게 살해당한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게다가 그걸로 노이즈 마케팅을 해서 작가의 작품집이 더 팔려서 본인의 출판사의 경영 상태도 좋아지는 것을 원했다. 한마디로 본인 딴에는 작가와 회사를 위한답시고 아무 죄없는 사람을 죽인 거라는 말이다. 사이카와 입장에서는 이유도 모른 채 살해당했으니 사실상 묻지마 살인을 당한 셈.
메구레는 "동기가 어떻든 사람이 사람을 죽이는 일은 절대 용서받을 수 없습니다"라고 한다. 이에 토노는 "하지만 선생님을 위해서는 그 방법이..."라고 하자 시마자키가 토노의 멱살을 잡는다. 그러자 코난(코고로)이 "정말 선생님만을 위해서 저지른 일입니까? 사건이 화제가 되면 작품집도 잘 팔리고 회사의 경영 상태도 좋아지겠죠. 그런 계산은 전혀 없었습니까?"라고 묻는다. 이때 시마자키는 토노의 멱살을 놨고, 토노는 "미궁 출판사를... 미스터리 소설의 명맥을 이어온 회사를 지키고 싶었어요."라고 답했는데 결국 시마자키는 토노한테 "이 바보 같은 녀석!"이라고 하며 주먹을 날린다.
이에 토노는 쓰러졌고 타카기가 그에게 달려온 후 시마자키를 말린다. 시마자키는 결국 감정을 가라앉힌다. 마지막에 코난(코고로)이 "진심으로 미스터리를 사랑하는 자라면 절대 사람을 죽이지 않습니다"라는 말을 남기면서 이야기가 끝이 난다.
범행동기가 매우 어이없는 사례로 손꼽힌다. 범인은 작가가 대중들에게 잊혀진 상태에서 병으로 죽으면 아무도 기억해주지 않을 거라고 생각해서 소설의 등장인물에게 살해당한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게다가 그걸로 노이즈 마케팅을 해서 작가의 작품집이 더 팔려서 본인의 출판사의 경영 상태도 좋아지는 것을 원했다. 한마디로 본인 딴에는 작가와 회사를 위한답시고 아무 죄없는 사람을 죽인 거라는 말이다. 사이카와 입장에서는 이유도 모른 채 살해당했으니 사실상 묻지마 살인을 당한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