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9 20:05:26

나사렛대학교/캠퍼스


파일:나사렛대학교 로고(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학부 교류 협력
관련 기관
대한기독교나사렛성결회
}}}}}}}}} ||


1. 개요2. 캠퍼스 내부 시설

1. 개요

나사렛대학교의 캠퍼스 전경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920d14,#f16d7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px -11px"
파일:나사렛대학교전경3.jpg 파일:나사렛대학교전경2.jpg
파일:나사렛대학교전경1.jpg 파일:나사렛대학교전경4.jpg
파일:나사렛대학교전경5.jpg 파일:나사렛대학교전경6.jpg
파일:나사렛대학교전경.jpg
파일:knucampus.jpg
나사렛대학교 캠퍼스 전경
}}}}}}}}}}}} ||
<nopad>
나사렛대학교 캠퍼스투어 영상 (2022)

* 위치
본관이 천안시 서북구 쌍용동에 위치하고 있어, 행정구역상 나사렛대학교는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쌍용동에 해당한다. 캠퍼스는 쌍용동 일대를 중심으로 자리하고 있으며, 인근에는 주거지역과 상권이 잘 발달해 학생들의 생활 편의성이 높다. 천안역, 천안아산역(1호선/장항선/KTX/SRT)을 통해 서울 및 전국 주요 도시와 접근성이 좋고, 버스 정류장이 캠퍼스 주변에 밀집해 있어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다. 천안 지역 대학가 중 하나로, 백석대·호서대·단국대 등과 함께 대학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다.

* 면적
나사렛대학교는 외부 이미지에 비해 캠퍼스 부지가 넓은 편으로 평가받는다. 운동장, 신축건물, 연구동 등이 점차 확장되며 꾸준히 성장 중인 캠퍼스이다. 과거에는 신캠퍼스 개발 이야기도 있었으나, 재정적 상황과 내부 논의 끝에 현재 위치의 기능 확충 및 리모델링 중심으로 방향이 잡혔다.

* 시설
캠퍼스 내 건물들의 외관은 밝은 톤과 현대적인 디자인과 옛 디자인이 조화되어 있다. 초기 개교 당시부터 건물 수가 점차 늘어 현재는 학사·강의·행정·편의 시설이 균형 있게 배치되어 있다.

* 기타 특징들
캠퍼스는 전반적으로 평지에 가까워 이동이 편안한 편이다. 나사렛대학교는 기독교 대학으로서, 학교 곳곳에서 종교적 정체성을 느낄 수 있다. 특히 대림절(성탄절 약 한 달 전) 시기가 되면 교내 주요 공간에 성탄 장식과 행사가 이루어지며, 포근한 캠퍼스 분위기를 만든다. 장애인 특수교육 및 복지 분야에 특화되어 있어 관련 지원 인프라가 전국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2. 캠퍼스 내부 시설

||<-4><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60005><tablebgcolor=#fff,#191919>
파일:knu캠퍼스맵.png
||
<colbgcolor=#BFBFBF,#00000> 위치
서북구 쌍용동
정문
부근
1

정문
2

나무계단
3

나사렛관
4

제 2창학관
5

브리지관
6

오웬스 국제관
7

조경실습장
8

경건관
9

행복기숙사
10

에이플 플러스 센터
11

사랑관
12

샤론관
후문
부근
13

후문
14

랏드리지 1관
15

정남수 기념관
16

지혜관
17

자립통합학습생활관
18

라윤백관
19

소망관(어린이집)
20

새꿈학교
21

진리관
22

랏드리지 2관
23

믿음관
24

은혜교회
건물명을 누르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920d14,#f16d7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식당
카페
편의점
기타
건물명을 누르면 해당 문서로 이동합니다.
}}}}}}}}}}}} ||


교내에 샛길이 꽤 많은 편이라서, 지름길을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의 이동 시간이 차이가 있다. 또 등하교하거나 교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이 굉장히 많다. 아래에 건물별로 기술되어 있으니 참고하자. 캠퍼스 내 대부분의 건물들은 관통이 가능하도록 건축되어 있으므로 이 점을 잘 이용하여 건물을 돌아가지 말고 가로질러서 가면 어디든 쉽게 갈 수 있다.

캠퍼스 전 지역이 금주 및 금연 구역이다.[1] 요즘은 꼭 기독교 계통학교가 아니여도 교내 금연, 금주를 실시하는 대학이 많다. 최근 정문 옆이나 브릿지관 앞쪽에 재떨이나 꽁초통 등이 설치되면서 흡연자라면 꼭 그 곳에서만 흡연을 해야 한다.
  • 나사렛관
나사렛대학교 정문에서 가장 먼저보이는 건물로, 1층에 교목실과 사회봉사 센터가 있으며 2층은 장애학생 지원센터, 3, 4층은 도서관이나 나사렛관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4층을 가면 그냥 소파 몇개 있는 쉼터만 나온다. 그 쉼터에서 도서관으로 가는 철문은 잠겨 있다. 그곳은 지어질때 부터 학생 통로가 아닌, 책이나 가구 등을 대대적으로 버리거나 들여올때만 열어놓는 통로 라고 한다.
4층 도서관을 가려면 3층에서 도서관에 입장 후 도서관 내 계단이나 엘리베이터를 이용해야 한다. 보통 3층은 책이 별로 없다. 그래서 신입생들의 경우 많이 당황을 하지만, 대부분의 책은 4층에 있다. 예전에는 4층 역시 책들이 다소 오래되서 학생들이 찾지 않았으나 리모델링 후에는 새 책들이 많이 늘어났다.

도서관 안에는 3층에서 4층만 오가는 엘리베이터가 존재한다.

3층은 수험서가 있는데 충격적이게도 17년도 ~21년도 버전이다.그냥 새로 사자

4층 도서관엔 종종 공부하는 의자가 있는데 4층 도서관은 인적이 드문편이라 혼자서 조용히 공부하고 싶은 학생들에겐 딱 좋은 곳이다. 5, 6층까진 강의실과 자율학습실 및 임용고시 준비실이다. 6층은 패치홀[2]이라는 대강당이 있다.
  • 브릿지관
목사의 이름을 따서 만든 관이다.
나사렛관 오른쪽의 큰 건물. 대부분이 강의실이며 일부 학과 사무실과 교수 연구실이 있다. NUBS(교내 방송국)와 학보사도 이곳에 있다. 브리지관에 엘레베이터가 있는 걸 모르는 사람도 많은데, 나사렛대에는 엘레베이터가 없는 건물이 없다. 제2창학관 쪽, 나사렛관 야외 주차장 쪽에 있다.
  • 경건관
브릿지관 옆에, 쌍용역 나무계단 정면에 있는 건물. 경찰행정학과, 특수체육학과 실습실이 이 곳 지하에 있다 1, 2층은 음악학과 실습실, 3층은 채플실이 있다.
  • 제2 창학관
브릿지관 앞에, 내리막 코너 쪽에 있는 건물. 하나투어, IBK기업은행, 학과사무실과 카페(바이올렛)가 있다. 이 건물 7층에 세미나룸이 있는데 교직원 관련 행사시, 고위인사 초청시 등 행사는 이곳에서 진행한다.
방아다리공원 쪽에 자취, 거주하는 학생들은 제2 창학관, IBK 기업은행 쪽 엘리베이터를 이용해 등하교한다.
  • 국제관
나사렛관 뒤편에 있는 건물이다. 국제관 이전에는 시계탑이 하나가 있는 큰 공터였다. 교무처가 이 곳에 있으며 강의실과 연구실로 쓰이고 있다.
대학 동쪽에서 서쪽으로 관통하는 국제관 앞 목길에 혼자 덩그러니 있는 엘리베이터를 타도 국제관으로 등교가 가능하다. 그러나 국제관 출입구 옆에 있는 정남수관으로 가는 계단을 오르기 귀찮아서 이걸 탔다가는 낭패본다. 정남수관 쪽 출입구가 있는 층에는 서질 않는다! 정 계단 오르기 귀찮으면 한 층 더 올라간다음 계단을 내려와서 밖으로 나가면 된다.

A동과 B동이 있어서 신입생들은 강의실을 찾기 어려워하는 경향이 있으니 강의실 위치를 잘 체크해야한딘

책상 의자가 일체형인 강의실이 있는데, 여느 일체형 책상이 그러하듯 굉장히 불편하다.

2025년 3월에 A동 건물 1층이 리모델링을 거쳐서 학생들이 공부하거나 쉬는 공간들이 만들어졌다.
  • 정남수기념관
선교사 정남수의 이름을 따서 만든 건물로, 국제관 뒤편에 있다. 1층은 교목실과 오픈 공간, 세미나실 2층은 교수 연구실, 3, 4층은 강의실과 세미나실로 사용되고 있다. 5층에는 기도실이 있다. 2025년에는 리모델링을 하여 건물 내부와 3층 강의실들이 최신화되었다.
  • 랏드리지 1관과 샤론관
국제관 좌측에 있는 작은 건물로, 학회실로 사용되거나 동아리실로 사용되고 있다.
  • 사랑관
나사렛관 좌측에 있는 건물. 1층에는 총학생회 등의 학생 자치부서가 이곳에 있고 여학생 휴게실이 있다. 여학생 휴게실엔 침대가 있어 갈 곳 잃은 통학생들이 잠을 잘 수가 있다. 양호실이 이 옆에 있다. 2층은 Na-Star 취업센터와 학생식당. 3층은 강의실과 예비군대대, 열람실이 있다.
  • 지혜관
사랑관 쪽 계단 아래 도로변 삼거리 앞에 있는 건물이다. 전부가 교수 연구실이다.
지하1층에는 스타트업밸리와 하모니 주간보호센터가 있다.
  • 진리관
후문을 기준으로 바로 앞에 회색 컨테이너같이 생긴 건물이 진리관이다. 큰 디지털시계가 붙어있다.
전부 강의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간이 휴식공간이 있다.
  • 믿음관
랏드리지 2관 좌측의 큰 건물이다.
믿음관 후문 옆, 믿음관 뒤편 산책로 쪽에 출입로가 있다. 주황색 기둥으로 눈에 띄는 곳이 바로 그 곳이다.
  • 소망관
나사렛 새꿈학교 뒷편에 위치한 특수교육학부 전용 강의실이다. 이전에는 어린이집으로 사용되었으며 곳곳에 흔적이 남아있다.
  • 랏드리지 2관
진리관 좌측에 위치한 베이지색 건물로. 2010년까지는 이 건물이 동아리 및 학회실로 사용되다가 샤론관 리모델링 이후에는 모두 이곳으로 옮겨졌다. 이후엔 산학협력단과 창업교육센터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 자립통합생활관
운동장, 농구장 옆에 위치한 기숙사이다.
연면적 12,823㎡(약 3,900평), 234실 규모로써 850여명을 수용, 중증장애인 1, 2인실, 통합생활할 수 있는 4인실, 일반 4인실로 각 방에 샤워실, 화장실이 있다. 편의시설로는 열람실, TV 시청실, 휴게실, 세탁실이 있고 지원시설로는 장애학생지원센터, 또래상담실, 그룹스터디룸, 교재교구제작소, 세미나실 등이 있다.
  • 행복생활관
자립통합생활관 옆에 위치해있으며 가장 최신식인 기숙사이다.
연면적 5,610㎡(약 1,697평)규모에 2인실 150실/3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편의시설로는 휴게실, 세탁실, 취사실이 있고 지원시설로는 그룹스터디룸, 체력단련실, 세미나실, 소회의실, 기도실 등이 있다. (기숙사생은 택배를 이곳을 통해 받을 수 있다.)
  • 라윤백생활관
행복생활관 바로 옆에 이어져있으며 오른쪽엔 나사렛 새꿈학교가 위치해있다.
연면적 4,767㎡(약 1,442평), 108실 규모로써 297명을 수용, 2, 3인실로 공동화장실, 샤워실, 세면장으로 구성되어있으며 편의시설로는 열람실, TV 시청실, 휴게실, 세탁실이 있고 지원시설로는 체력단련실, 교재교구제작소, 교내서점(후문 쪽 한솥 옆으로 옮김) 있다. (해외 유학생들이 많이 거주한다)
  • 기타
    • 기숙사 광장 : 자립관 앞의 큰 광장. 총학 나눔행사, 과 이벤트 등을 여기서 많이 한다.
    • 농구코트 : 기숙사 광장 앞의 농구코트.
    • 축구장 : 농구코트 앞의 축구장. 평소엔 과별 축구동아리들이 사용하고, 축제나 체육대회 때 사용된다.
    • 나사렛 동산 : 산책로다. (학생보단, 주변 어르신들이 많이 오신다.)
    • 나사렛 새꿈학교 : 지체장애아 특수학교 및 유치원.
    • 헤세드 광장 (구 마구간) : 일반인이 보기엔 로마시대 토론장 처럼 보이는 그 곳으로, 소규모 공연장이다. 가끔 버스킹을 하는 학생이 있으나 채플 찬양팀 모집공연이 대부분이다.
    • 믿음관 ~ 정남수관 산책로 : 브릿지관, 경건관, 정남수관 등 학교 동쪽에서 후문으로 금방 이동할 수 있는 산책로다. 사이에 쪽문이 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잘 알고 있는 이동로이다. 산책로와 붙어있는 빌라건물들이 굴다리를 세워 빌라 2층, 3층에서 바로 학교로 건너갈 수 있게 다리를 만들었던 적이 있다. 하지만 학교측의 반발로 2~3년만에 사라졌다.[3] 지나가다 보면 외벽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1] 웨슬리안 계열 교단(감리회, 성결교회, 오순절교회, 구세군 등) 학교는 무조건 금연, 금주가 원칙이다. 장로회 계열 미션스쿨은 고신이나 출옥성도파(범 고신) 계열이 아니면 딱히 일반학과 학생들의 음주와 흡연을 잡지 않는다. 고신대, 총신대를 제외하면 장로회 계열 대학엔 흡연장이 설치되어 있을 정도.[2] 선교사 윌리엄 패치(백위열 전 총장)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졌다.[3] 안전사고 문제로 거부했다는 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