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8 15:46:25

김경민(e스포츠 관련 인물)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e2027><tablebgcolor=#de2027>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화이트.svgNongshim RedForce
2025 시즌 로스터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de2027><colcolor=#fff>감독[[김경민(e스포츠 관련 인물)|김경민
SilKanoN
]]
코치[[소성민|소성민
sungmin
]]
로스터
ACTIV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혁규|이혁규
Dambi
]]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무빈(프로게이머)|김무빈
Francis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성현(프로게이머)|박성현
Ivy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구상민(프로게이머)|구상민
Rb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양지온|양지온
Persia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환(프로게이머)|정환
Xross
]]
VCT Pacific 참가팀 로스터}}}}}}}}}}}}
前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좀비 팀 매치 선수
파일:NS_SilKanoN.png
<colbgcolor=#de2027><colcolor=#fff> Nongshim RedForce 감독
SilKanoN
김경민 (Kim Gyung-min)
출생 1997년 7월 3일 ([age(1997-07-03)]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거주지 인천광역시
병역 대한민국 육군 제21보병사단 병장 만기전역
ID SilkanoN
소속
[ 펼치기 · 접기 ]
Team Rover
(2020 ~ 2020.05)
Challenge
(2020.09 ~ 2020.11.12)
Gen.G Global Academy 강사
(2022 ~ 2024.11.26)
Nongshim RedForce[1] 감독
(2023 ~ )
에이전시 쉐도우코퍼레이션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프로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36699><colcolor=#fff> ID SilkanoN
실카논
BTK천하위일가[2]
포지션 FLEX
데뷔 2015년 카운터 스트라이크 온라인 좀비 팀 매치
소속 2015 좀비 팀 매치 라이벌 시즌1 콘체르토
2016 좀비 팀 매치 위너스 시즌1 Sephiroth
2017 좀비 팀 매치 히어로 Sephiroth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기록
4.1. 선수4.2. 감독
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Nongshim RedForce 소속 발로란트 감독.

2. 선수 경력

파일:좀비팀매치 세피로스.png
좌측부터 배대열, 김강환, 김경민, 이요담, 이한빈이다. 황제의 포스
카스온라인의 전설, 카스의 왕자
대한민국카스온라인 좀비 팀 매치 선수[3]였다.

오더, 상황판단, 개인 기량 등 빠지는 게 없는 만능 플레이어이다.
라이벌 시즌2에서 그가 출전 정지를 당하고 콘체르토 팀에서 빠졌을 때, 김경민이 빠져서 졌다는 이야기가 나왔을 정도.

이후 발로란트 출시와 함께 발로란트 아마추어 대회 KOV 마스터즈 우승을 하였으며 이후 climax , NUS, UNI, Nein과 함께 발로란트 퍼스트 스트라이크 코리아 예선에 꾸준히 참가하였지만 좋은 성적을 기록하지 못하고 이후 선수 생활을 조용히 마감하였다.

3. 지도자 경력

2022년부터 Gen.G Global Academy의 강사로 활동하며 지도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2023년 Team OGS의 감독을 맡아 처음으로 챌린저스 코리아에 진출하였지만 전원 나이가 어린 신예 선수들이라 좋은 성적을 기록하지 못하였지만 이후 팀이 Sin Prisa Gaming에 인수되어 계속해서 팀을 이끌어 나가게 되었다.

2024년 스테이지 1 예선에서 LFG Portal에게 패배하며 본선 진출에 실패하였지만 이후 스테이지 2에 진출하여 당시 잘 쓰이지 않던 데드록을 이용한 전략을 기용하고 진출하자마자 전승으로 우승하며 어센션에 진출, 어센션에서도 전승 우승을 기록하며 VCT Pacific에 진출하게 되었다.
로스터 변경이 있긴 하였지만 홀로 챌린저스에서 하위권을 기록했던 Team OGS의 주전 선수들을 대부분 유지하며 1년 만에 전승팀으로 바꾸며 지도자로써의 능력을 증명해냈다.[4]

VCT Pacific 진출로 인하여 팀이 농심 레드포스에게 인수되면서 더 높은 수준의 리그와 팀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2025 퍼시픽 킥오프에서는 전략의 큰 변화 없이 spg 시절의 전략을 그대로 구사했고, 제타, 붐 같은 하위권 팀부터 RRQ라는 중위권 팀까지 잡아내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강팀 중 하나인 탈론전에서는 뒷심에 밀려 패배했다.

2025 스테이지 1에서는 또 다시 RRQ에게 패배를 안겨주면서 시작했지만, T1과 탈론에게 연달아 패배하면서 한계를 드러냈다. 비록 TS와 제타를 잡으면서 플레이오프 진출에는 성공했으나, 전체적으로 SPG 시절에 비하면 무언가 애매해진 농심의 운영이다. 시원시원하게 플레이하면서 난전 위주의 게임인 W게이밍도 아닌, 그렇다고 해서 DRX 처럼 섬세한 운영도 아닌 애매한 운영 때문에 중위권 팀들과의 싸움에서는 확연히 밀리게 되었고, 결국 탈론을 또 다시 만나 패배했다. 특히 탈론과의 경기에서 감독 간의 역량 차이가 난다는 것은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사실이다.

2025 스테이지 2에서는 알비를 영입한 것에 이어서 기존 SPG 시절 코치였던 소성민 코치까지 합류하였고, TS전에서 어느정도 섬세한 운영 쪽으로 가닥을 잡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DRX 전에서는 또 다시 뒷심에서 밀려 패배하더니, RRQ전에서 완벽히 분쇄당하면서 다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그러나 GE전에서는 다시 프란시스를 IGL을 담당하게 만들고, 난전 위주의 게임 스타일로 다시 바꾸면서 오랜만 좋은 모습을 승리하였고, 엄청난 분석을 통해 젠지를 박살내버리면서 드디어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4. 기록

4.1. 선수

4.2. 감독

5. 여담

오버워치 등 다른 게임에서도 상당한 실력을 보여준다고 전해진다.

6. 둘러보기

김경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1D2D7,#01D2D7><tablebgcolor=#01D2D7,#01D2D7> 파일:VCT Pacific 로고 화이트.svgVCT Pacific
감독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파일:Rex Regum Qeon 로고.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 Rex 로고 white.svg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마르티뉘스 발트
Ewok
강근철
solo
알렉상드르 살레
alecks
편선호
termi
파일:BOOM_Esports_logo.png 파일:Talon Esports 엠블럼.svg 파일:T1 로고.sv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라이트.svg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해리 차자디 푸트라
6fingers
헥터 로사리오
FrosT
윤으뜸
Autumn
김경민
SilKanoN
파일:ZETA DIVISION.svg파일:ZETA DIVISION_white.svg 파일:Global_Esports_2020_allmode.png 파일:Team Secret 아이콘.svg파일:Team Secret 아이콘 white.svg 파일:DFM 로고 2023.svg파일:DFM 로고 2023 화이트.svg
모토야마 히비키
XQQ
프레스턴 도넌
Juv3nile
지동준
Meow
오카자키 히로타카
Melofovia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D9093,#0D9093><tablebgcolor=#0D9093,#0D9093>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VCT Ascension
역대 우승 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rowcolor=#fff> 시즌 리그 우승팀 스태프
<rowcolor=#fff><colbgcolor=#fff> 2023 파일:VCT_2023_Americas_League_symbol.png 파일:The_Guard.png JoshRT
파일:VCT CN Logo Only.png 파일:Dragon_Ranger_Gaming_logo_without_text_allmode.png LT
파일:VCT_EMEA_Logo_lightgreen.png 파일:Gentle_Mates.png Ex6TenZ · madocoach
파일:VCT Pacific 심볼.svg 파일:Bleed_eSports.png LEGIJA · Ominous
2024 파일:VCT_2023_Americas_League_symbol.png 파일:2Game_Esports_allmode.png faithz0r · Yushi
파일:VCT CN Logo Only.png 파일:XLG China 2024 allmode.png hvoya · Fayde
파일:VCT_EMEA_Logo_lightgreen.png 파일:Apeks 로고.png DANNYTO · Desmo
파일:VCT Pacific 심볼.svg 파일:Sin Prisa Gaming notext.png SilKanoN · SUNGMIN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D9093><tablebgcolor=#0D9093> 파일:발로란트-VCT-white.svg VCT CK
역대 우승 스태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시즌 우승팀 스태프
2022 스테이지 1 파일:DRX 로고(2020~2022).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termi · Argency · glow
2022 스테이지 2
2023 스테이지 1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solo · peri
2023 스테이지 2
2024 스테이지 1 파일:LFG_Portal_logo1.png Munghoon
2024 스테이지 2 파일:Sin Prisa Gaming notext.png SilKanoN
2024 스테이지 3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라이트.svg pr · ValAnalysis
2025 스플릿 1 파일:BNK FearX 2025.png pr · OnbusH
2025 스플릿 2
2025 스플릿 3 파일:T1 로고.svg KDG
2025 어센션 진출전 파일:SLT 로고.svg TK9 · R3THME · YYS
}}}}}}}}} ||

[1] 팀명 변경: Team OGSShadow Corporation, 2023년 9월 5일
팀명 변경: Shadow CorporationSin Prisa Gaming, 2023년 12월 18일
팀명 변경: Sin Prisa GamingNongshim RedForce, 2024년 11월 26일
[2] 예전 닉네임이지만, 그를 모르는 사람도 이렇게 말하면 대부분 안다.[3] 카스온라인 좀비 팀 매치 선수는 keSPA의 프로게이머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여 프로게이머로 등재할 수 없다. 아마추어 선수라고 부르는 게 맞겠다.[4] 심지어 GGA 강사까지 병행하며 이룬 기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