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11:54

기층이론

기층언어에서 넘어옴
역사비교언어학
Historical Comparative Linguist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DEB887,#261f16><colcolor=#fff> 음운 변화 그림의 법칙 · 베르너의 법칙 · 제2차 자음 추이 · 모음 변화(대모음 추이)
분류어족(언어) · 어파 · 어군 · 미분류 언어 · 고립어
제어우랄 알타이 제어 · 알타이 제어 · 코이산 제어 · 대만 제어 · 고시베리아 제어 · 고유럽 제어 · 인도유럽 이전 언어 · 아메리카 원주민 제어 · 유대 제어
기층 언어게르만어파 기층설 · 바스크어 기층설 · 고히스파니아 제어 · 게일어 기층설 · 그리스어 기층설 · 반도 일본어설 · 핀우그르어파 기층설
개념언어의 역사성 · 조어 · 기층이론 · 동원어 · 가짜동족어 }}}}}}}}}

1. 개요2. 층3. 특징4. 기층 가설

[clearfix]

1. 개요

/ substratum

기층이론은 역사비교언어학에서 특정 언어의 변화가 어떠한 기층언어로부터 유래하였을 때 이것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2.

언어학에서 층언어(stratum)이란 언어접촉을 통해 영향을 받거나 준 언어를 말한다. 언어접촉이 이뤄지는 사회에서 사용되는 두 언어는 대개 한쪽이 더 높은 위신이나 강한 힘을 가지고 다른 한쪽은 그렇지 않은 모습을 보이는데 이때 더 높은 위신을 갖는 언어를 상층언어(superstratum), 그렇지 않은 언어를 기층언어(substratum)라고 부른다. 이러한 언어접촉의 사회에서 기층어는 상층어에게 밀려 결국 사멸되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렇게 소멸된 언어를 상층어에 대한 기층이라고 한다. 이러한 기층에 의한 언어 변화를 설명하는 것이 기층이론이다.

3. 특징

기층어의 흔적을 통해 다른 언어 세력이 들어오기 전 토착민이 대략 어떤 식으로 생활했는지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리스어 기층설에서 바다, 물고기, 빵, 올리브 등의 단어들이 남아있는데, 그리스에 도착한 인도유럽어족의 조상 언어를 쓰던 원시 인도유럽인들이 내륙 지방에 거주하던 사람들이기 때문에 바다를 이용한 경제 생활은 전무해 당연히 이와 관련된 요소의 대부분을 알지 못했고, 더욱이 이들은 말이 끄는 마차를 이용해서 유목 생활을 했기 때문에 농업의 결과로 얻어지는 빵이나 채소도 몰라서 이들 관련 어휘는 상당수가 토착민의 어휘를 차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층어와 기층어가 존재하는 사회에서 상층어와 기층어는 서로 지대한 영향을 주고 받는다. 이러한 간섭과 교류는 기층어가 소멸해가는 과정에서도 이루어지고 결국 기층어가 소멸한 이후에도 그 기층어가 상층어에 준 영향과 흔적은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상층어와 기층어가 혼합되어 새로운 언어를 형성하기도 한다. 대부분 기층언어는 원주민의 언어, 그 지역 사회에서의 본래 언어, 하층민의 주류 언어이며 상층 언어는 외부인으로부터 유입된 언어, 귀족과 같은 상위 계층의 언어인 경우가 많다. 크레올어피진어는 이게 필수다. 언어 순수주의적 입장에서는 가장 큰 복병이기도 하다.

왼쪽은 상층, 오른쪽은 기층.

4. 기층 가설

특정 언어의 기층어는 그 기층어 및 후계언어가 일부나마 전해지거나, 그 기층어에 대한 문헌 기록이 존재하거나, 기층 언어 자체는 전해지지 않으나 기층 언어의 친족 언어가 존재하여 비교할 수 있는 경우[1]에 그 존재를 증명할 수 있다. 그러나 위 세 가지에 속하지 않는 경우, 곧 기층 언어가 사멸하였고 그 후계언어와 친족언어 모두 사멸하였으며 기록에도 남아있지 않는 경우는 어떤 언어가 기층으로 가지고 있었는지, 그 기층이 어떤 언어인지 알기 어렵다. 어떤 언어가 기층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보이기 어렵기 때문에 대개 원인불명의 언어변화나 기원불명의 대량의 차용어나 차용어로 의심되는 어휘들은 충분한 간접적인 증거가 존재한다면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기층어로 설명할 수 있다. 목록을 아래에 제시한다.


[1] 선술한 러시아어-핀우그르어파 간의 기층 언어가 그렇다. 오늘날의 러시아유럽쪽 지역에는 이른바 볼가 핀족이라고 부르는 우랄어족의 핀우그르어파 계열 민족들이 적어도 13세기 경까지는 현대 러시아인의 직접적인 기원이 되는 동슬라브어군 계열 민족들과 공존하고 있었다. 그래서 이들 중 사멸한 메쇼라어메랴어(메르야어), 무롬어(Muromian language) 등이 러시아어의 기층언어가 된 것으로 보고 이를 재구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바스크어를 제외한 모든 언어가 사멸한 데다 사료도 극도로 부족해서 절망적일 정도로 재구가 지지부진한 고유럽 제어와는 달리 볼가 핀족 제어들 중에서 21세기에도 마리어, 코미어, 우드무르트어 등이 멀쩡히 존속하고 있는 데다 일국의 공용어로 쓰일 만큼 영향력이 큰 친척 언어인 핀란드어가 있으므로 재구에 대해 상당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다만 이쪽도 사료가 부족해서 완전한 재구는 어려운 상황이다.[2] 아래의 고유럽 제어와 뭐가 다른지 헷갈릴 수도 있으나, 고유럽 제어는 유럽으로 그 지역이 한정된 반면 인도유럽 이전 언어인도 아대륙중앙아시아 등의 선주민 언어까지 포괄하는 더 넓은 범위의 개념이다.[3] 2018년에 영국 잉글랜드체다 지방에서 발견된 1만 년 전의 인간 남성의 유골인데 분석 결과에 의하면 피부색은 검은색에 가까웠으나 눈동자는 벽안이었고 이목구비 전반이 현대 코카소이드와 거의 같았다.[4] 고어 발음이나 철자를 추정하여 복원하는 것이다.[5] 핀란드인의 형제뻘 민족인 사미인이 거주하는 지역이다.[6] 을 뜻하는 사미어 단어인 ája가 고 라플란드어에서 차용한 단어라고 추정한다. 이외에도 물고기나 자연물 같은 단어가 많이 남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