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4 12:01:10

기리시마긴코만 국립공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8187b2, #6087c5)"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아칸마슈 다이세츠잔 시코쓰토야
시레토코 리시리레분사로베쓰 쿠시로 습원
히다카산맥 에리모토카치 도와다하치만타이 반다이아사히
산리쿠 부흥 닛코 후지하코네이즈
치치부타마카이 미나미알프스 오가사와라
오제 주부 산악 이세시마
조신에쓰 고원 하쿠산 묘코토가쿠시 렌잔
요시노쿠마노 산인 해안 다이센오키
아시즈리우와카이 운젠아마쿠사 기리시마긴코만
아소쿠주 사이카이 야쿠시마
아마미 군도 이리오모테 이시가키 게라마 제도
얀바루 세토내해
}}}}}}}}}}}} ||
<colbgcolor=#e4003d><colcolor=#fff> 기리시마긴코만 국립공원
[ruby(霧島錦江湾, ruby=きりしなきんこうわん)]国立公園
Kirishina-Kinkōwan National Park
종류 <colbgcolor=#fff,#1c1d1f>국립공원
지역 가고시마현, 미야자키현
면적 36,605ha
지정일 1934년 3월 16일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지역
2.1. 기리시마·미야자키 지역2.2. 긴코만 지역

1. 개요

구역 안내(영어)
일본 규슈 가고시마현기리시마시미야자키현[1] 일대, 긴코만, 이부스키시와 미나미오스미초에 걸친 국립공원.

1934년 세토내해 국립공원, 운젠아마쿠사 국립공원과 함께 일본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당시 명칭은 기리시마 국립공원이었다. 이후 1964년에 긴코완 국립공원, 야쿠시마와 합쳐 기리시마 야쿠 국립공원으로 개칭하였다가 2011년 야쿠시마가 별개의 국립공원으로 떨어져나가며 현재의 명칭이 되었다.

2. 지역

2.1. 기리시마·미야자키 지역

가고시마 공항에서 기리시마 온천마을까지 가는 버스가 있다. JR 철도가 있지만 주요 관광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외곽까지만 다닌다. 다만, 코쿠부역, 하야토역, 키리시마진구역에서 지역 버스 탑승이 가능하다. 일일 버스 승차권도 판매한다. 가격은 1,100엔.

주로 조용히 온천 휴양이나 등산, 올레길 트레킹을 하러 오는 곳이다 보니 어느 정도 고도가 높아지고부터는 대중교통을 이용한 이동이 어렵거나 아예 다니지 않는다.
  • 규슈 올레 기리시마·묘켄 코스
    • 이누카이노타키 폭포
    • 와케 신사
    • 시오히타시 온천·료마 공원
  • 마루오 온천·기리시마 온천 시장 : 그냥 소상점가이고 가격이 저렴하다거나 인심이 좋은 건 없으니 기대하진 말자.
  • 기리시마산: 기리시마 연산이라 불리기도 하며, 1,000m 초중반대의 봉우리들이 주를 이룬다. 일부 등산로는 분화로 인해 출입이 제한되어 있다.
    • 에비노 고원
    • 가라쿠니산(韓国岳): 약 1,700m로 기리시마산의 최고봉이다. 한자 그대로는 한국악인데, 이와 관련한 논의가 현재진행형이다. 해당 항목 참고.
    • 신모에산(新燃岳)
    • 다카치호노봉(高千穗峰)
    • 시라토리산(白鳥山)
    • 바쿠시못(白紫池)
    • 오나미못(大浪池)

2.2. 긴코만 지역

긴코만 북부의 가고시마시/아이라시/타루미즈시 일대, 남서부 사쓰마 반도의 이부스키시, 남동부 오스미 반도의 미나미오스미초로 구분된다.

오스미 반도는 같은 가고시마현의 사쓰마 반도와 달리 철도가 없고 면적도 생각보다 큰 편이라 돌아다니기 다소 불편하다. 미나미오스미초까지는 차량을 이용[2]하거나 이부스키에서 네지메항까지 배를 타고 갔다올 수 있다.
[1] 기리시마산 일대는 미야자키현에 속한 지역도 많다.[2] 가고시마시에서 출발하는 경우, 기리시마 쪽으로 빙 돌지 말고 사쿠라지마 페리를 이용해 넘어가는 것이 시간 절약에 큰 도움이 된다. 차량 승선 비용이 있다지만 연료비와 시간 소요를 고려하면 이 쪽이 오히려 이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