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7 13:38:13

기가임팩트

[include(틀:포켓몬 기술, 노말=, 물리=,
파일=울썬문 기가임팩트 1.png, 파일2=울썬문 기가임팩트 2.png,
한칭=기가임팩트, 일칭=ギガインパクト, 영칭=Giga Impact,
위력=150, 명중=90, PP=5,
효과=가진 힘을 모두 사용해서 상대에게 돌격한다. 다음 턴은 움직일 수 없다.,
성능=반동-휴식, 성질=접촉)]

1. 개요2. 상세3. 입수법4. 타 매체에서
4.1. 애니메이션4.2. 포켓몬 GO에서
5. 배우는 포켓몬
5.1. 최종진화형은 아니지만 기가임팩트를 배우는 포켓몬5.2. 파괴광선 & 기가임팩트를 "못 배우는" 포켓몬

1. 개요

포켓몬스터기술. 4~7세대 기술머신 68번, 8세대 기술머신 09번, 스칼렛/바이올렛의 기술머신 152번, 레전즈 Z-A의 기술머신 55번이다.

3세대까지 물리기였던 파괴광선이 특수화되자 그 빈 자리를 채우기 위해 생긴 파괴광선의 물리 버전 기술이다. 애니메이션에서는 DP 초반까지는 기가충격이라고 번역되었지만, 후에 기가임팩트로 재수정되었다.

위력에 비해 이펙트가 꽤나 심심한 기술이었지만 6~8세대부터는 폭발 연출이 생기면서 파괴광선처럼 박력있게 바뀌었다.

2. 상세

파괴광선처럼 약점을 찌를 수 없는 노말 타입 기술이고 한 턴을 쉬어야 한다는 페널티로 인해 채용하는 포켓몬들은 거의 없다.

사실상 무슨 기술을 쓰든 어차피 한 턴 쉬어야 하는 '게으름'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게을킹의 전용기화 된 상태로, 게을킹의 공격 160+자속 보정+구애머리띠를 통한 기가임팩트는 ¼ 반감 내지 방어괴물이 아닌 이상 한 방에 간다.

7세대에서는 Z기술로 쓰면 위력도 출중한데다 1턴 쉬는 페널티도 없기 때문에, '불꽃 타입 포켓몬'을 마땅히 견제할 수단이 없다시피 한 종이신도같은 포켓몬이 유용하게 써먹을 수 있었고, 8세대에도 비슷하게 다이맥스 기술로 쓰면 페널티가 없다. 잠만보는 이 기술을 전용 Z기술인 진심의공격으로 강화해서 쓸 수 있기는 하지만 채용률은 매우 낮다.

Pokémon LEGENDS 아르세우스에서는 전투 방식의 여러 변화로 인해 다른 고위력 기술들과 같이 위력이 120으로 낮아졌지만 사용 후 1턴간 행동 불능 페널티가 사라져서 사용 부담이 훨씬 줄어들었다. 대신 툴팁에는 적혀있지 않지만 자신의 행동 순서가 다소 늦어진다는 페널티가 새로 생겼다.

3. 입수법

4세대에서는 백화점에서 구매할 수 있는 파괴광선과는 다르게 기가임팩트는 게임 코너에서 코인 20,000개를 들여야 구할 수 있었다. 근데 한글판은 슬롯머신이 삭제되어 돈으로 코인을 교환하는 수밖에 없다.[1] 대신 한자랑씨 저택 근처에 있는 노부부한테 부적금화를 장착한 포켓몬으로 시비 걸어서 이기면 돈을 워낙 많이 주기 때문에 999,999원은 금방 벌 수 있으므로 큰 문제는 안 됐다. 슬롯머신으로 코인 모으는 것보다 그냥 돈으로 코인 사는 게 더 편하기도 하고.

하트골드/소울실버에서 한국판을 비롯한 해외판들은 한 술 더 떠서 아예 환전소마저 삭제되었고, 찌리리공 뒤집기라는 도박만으로 코인을 15,000개를 모아야 했다.

5세대에서는 9번도로에 있는 쇼핑몰R9란 곳에서 파괴광선과 함께 무려 90,000원이라는 고가에 판매하고 있다. 5세대부터는 기술머신이 소모품이 아니게 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하나 사는데 실질적으로 300,000원이나 들여야 했던 D/P/Pt 시절보다 훨씬 낫다. 게다가 5세대에서 추가된 포켓몬들은 대체적으로 스토리용으로 나쁜 녀석들이 하나도 없어서, 이 녀석들을 잡아서 사천왕 레이드 서너 번 돌면 90,000원은 애들 용돈도 안 될 정도로 돈이 쉽게 모인다.

4. 타 매체에서

4.1.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에서는 원조인 파괴광선처럼 강력한 기술로 등장한다. 난천한카리아스지우글라이온택트라티오스, 아이리스터검니 등이 사용했으며, 맥실러플로젤을 꺼낼 때 자신의 플로젤의 부낭은 기가임팩트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DP 초창기 때에는 '기가 충격'이라고 번역되었다. 몸에 오라를 두르며 돌진 한다.

이 중 지우의 글라이온이 특히 효과적으로 사용하는데, 기가임팩트로 부딪힐 때의 충격을 역이용, 그 반동으로 상대에게서 멀리 떨어짐으로써 움직이지 못하는 디메리트를 상쇄시켰다. 글라이온이 강해지기 위해 에어배틀 마스터에게 수련받으면서 얻은 능력이라고 한다. 물론 애니니까 가능한 기술.[2]

4.2. 포켓몬 GO에서

포켓몬 GO에서는 레지기가스제르네아스, 검왕 폼의 자시안, 방패왕 폼의 자마젠타만이 배울 수 있는 기술로 등장한다.[3] 위력 200에 시전 시간 4.7초의 노말 타입 차지 무브인데, 여태까지의 1차징기가 평균적으로 120 ~ 140 선에서 놀고 있었던 걸 생각하면 200이라는 위력은 가히 초월적인 수치. 현재는 위력이 230섀도레이메테오드라이브가 등장해 모든 차지 무브 중 거수참과 더불어 공동 2위이며, 시전 시간이 다소 길긴 하지만 그래도 느려터진 수준은 아니어서 종합 성능은 단애의칼, 근원의파동과 비등한 수준이다. 이 중 레지기가스의 경우 이를 자속 보정을 받아 실 위력 240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노말 타입이기 때문에 아무 타입도 찌를 수 없기에 레이드에서는 레지기가스 외에는 활용할 메리트가 없다시피하고, 배틀 리그에서도 파괴광선과 동일한 위력 150에 요구 에너지 80이기에 너무 무거워서 쓰기 어렵다. 그나마 공격력이 전 포켓몬 중 레쿠쟈와 맞먹을 정도의 상급이고 자속 보정과 그림자 개체가 모두 존재하는 레지기가스는 저 위력을 잘 활용할 수 있긴 하나, 포켓몬 GO에서는 깡화력보다 약점을 찌르는 공격이 선호되니 어떤 약점도 찌르지 못하는 노말 타입은 체육관 방어 전용 취급인 것이 문제. 레지기가스는 전설의 포켓몬이라 체육관에 올릴 수도 없고, 노말 무브 역시 성능이 안 좋고 자속 통일이 안 되는 잠재파워를 반강제로 써야 하기 때문에 레지기가스는 대우가 안 좋은 포켓몬이 되었다.

5. 배우는 포켓몬

5.1. 최종진화형은 아니지만 기가임팩트를 배우는 포켓몬

대부분 세대가 넘어가면서 진화형이 추가된 포켓몬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굵게 표시.

5.2. 파괴광선 & 기가임팩트를 "못 배우는" 포켓몬

진화 전후 형태가 있을 경우 굵게 표기한다.
[1] 매일 게임기를 조사하면 동전이 떨어져 있기는 한데, 많아봐야 20개라 하루하루 모아도 경품 사기엔 너무 부족한 액수다.[2] 애니메이션에서는 이것 말고도 공격기를 땅에다가 날려 흙먼지를 일으킨다거나 지형을 바꾸는 등 변칙적인 사용법이 자주 나온다.[3] 아직 미구현인 포켓몬 중에서 따져보면 코라이돈 역시 기가임팩트가 습득 가능 기술로 추가되어 있다.[4] 설정상 멜리시의 돌연변이인 환상의 포켓몬 디안시는 둘 다 배운다.[5] 전용기인 스타어설트가 기가임팩트를 대체한다. 이쪽은 격투 타입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