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1:18:20

근육미녀

베이근녀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images.sportsworldnews.com/allison-stokke.png
2008 베이징 올림픽에 출전한 미국 장대높이뛰기 대표선수 앨리슨 스토키
파일:카산트라 마틴.jpg
보디빌더 카산드라 마틴

1. 개요2. 현실3. 가상
3.1. 캐릭터
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근육질의 미녀를 일컫는 말.

2. 현실

아시아 문화권에서는 대중매체 등에서 찾아보기 약간 어려운 유형이다. 반면에 서구권에서는 그렇게 독특한 취향도 아니다. 피트니스 모델(Fitness Model)이 대표적인 예. 위의 키워드를 구글에 치면 탄탄한 근육을 가진 미녀 모델들이 주루룩 쏟아져 나온다.

최근 요 몇 년 사이에는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권에서도 NABBA를 비롯한 각종 피트니스 대회가 인기를 끌고 규모가 커지면서 많은 여성들이 참가를 통해 일부는 유명세를 받으며 인기를 얻고 있는 중이다.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를 보면 많은 여성들이 서구권 여성들처럼 레깅스와 같은 운동복을 입고 자신들의 운동 영상과 대회 준비 사진들을 올리는 것을 알 수 있다. 집에서 하는 홈트레이닝 역시 이러한 운동 열풍에 힘입어 인기를 얻고 있는 중이다. 특히 바디프로필 유행 이후로는 이전과 달리 오히려 메이저한 취향이 되었다고도 볼 수 있다.

근육녀도 근육의 정도에 따라서 천차만별이지만 동양이나 서양이나 근육녀를 좋아하는 남자들은 다소 있다. 얼굴 비주얼도 뛰어난 피트니스 여성의 경우 어느 나라를 가든지 젊은 남자들한테 인기폭발. 인스타그램에서도 근육미를 뽐내는 여성들의 사진을 흔히 볼 수 있다. 포르노에서도 'Muscular'라는 별도의 장르가 있다.[1]

근육이 적당히 있는 여자의 경우 동양이든 서양이든 동네로 피트니스를 하러가도 종종 한두명은 볼 수 있을 정도로 그리 드물지는 않은 편이다. 하지만 울퉁불퉁 몸매 정도의 근육녀[2]는 한국에서는 여성 보디빌딩 대회를 보러 가지 않는 이상 거의 실물을 볼 수가 없다. 서양의 경우 동양보다는 좀 더 있는 편이지만 여전히 흔하지는 않다.[3] 특히나 본인의 취향이 운동하고 거리가 있다면 보통 실제로 마주칠 가능성은 거의 제로 수준이다.
파일:snv84801_gksk0313.jpg
파일:snv84814_gksk0313.jpg
실제 내추럴 여성 보디 빌더의 체구. 골격근량은 26 kg 정도로 예상된다. 남성에 비해 확실히 왜소하며 일반인 여성과 비교해도 꽤 마른형의 체구이다.
근육질 미녀의 대표격은 역시 여성 보디빌더, 피트니스 선수일 것이다. 여성 보디빌더의 체형은 사진으로 봤을땐 덩치가 크고 우람해 보이나 실제로는 마른 슬렌더 체형으로 의외로 일반인 여성보다 체구가 작거나 비슷하다. 근육량도 근육이 도드라져 보여지는 마른 체형의 남자 중학생 수준이다. 근력 역시 평범한 여성과 비슷하다. 반면 약물의 힘을 빌려 근육을 키우는 여성 선수들의 경우는 일반인 여성들에 비해 확실히 강한 근력을 소유하고 있지만 일반 남성을 제압할 정도의 근력을 가진 경우는 잘 없는 편이다.[4] 남성과 여성의 신체적 차이가 있기에 하드한 트레이닝으로 근육량을 키워도 일반인 남성보다 모자라거나, 잘해도 비슷한 수준이다. 여자 치고는 힘이 세지만 남성을 뛰어넘기는 쉽지 않은것. 헤비급 프로 여성 보디빌더 및 피지크 선수의 골격근량은 33~35 kg 정도로 운동을 하지않는 일반인 남성과 비슷한 수준이다. 극한의 트레이닝과 약물투여를 한다고 해도 여성이 가질 수 있는 근육량에는 한계가 있다.

여성 보디 빌더의 체형은 대회 전,후 며칠간은 그야말로 조각몸매이다. 단백질 위주의 식단조절과 엄청난 강도의 운동의 결과물이다. 하지만 대회가 끝난 평상시에는 그냥 운동은 열심히 해도 보통 사람들처럼 나름대로 균형있는 식단으로 먹기 때문에 인터넷 사진으로 보는 정도의 조각몸매까지는 아니다. 흔히 비시즌 및 은퇴 후 여성 보디빌더의 몸매는 슬림한 모델체형으로 변한다고들 알고있는데 절대 그렇지 않다. 보디빌딩을 그만둔 후 다이어트를 통한 관리에 들어가지 않는 이상 살집이 꽤 있는 비만형 체형으로 변하게 된다. 마른체형의 비키니 선수들도 활동을 그만두면 내추럴 사이즈 모델과 같은 체형이 되어버린다. 근육량이 많을수록 체형은 더욱더 비대해지는데 그 이유는 발달된 근육위에 지방층이 쌓이면서 덩치가 커지는 것이다. 날씬한 체형을 만들기 위해선 비대해진 근육을 감량하는 근육 다이어트를 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선 근육을 키우는 만큼의 노력과 시간이 요구된다. 한번 발달된 근육은 잘 줄어들지 않기 때문이다. 근육 발달상태가 좋을수록 보디빌딩을 하기 이전의 날씬한 체형으로 돌아가기에는 불가능에 가까워진다. 근육이란게 일정 수준 이상은 또 줄어들지 않기 때문이다. 헤비급 여성선수들이 슬림한 체형으로 돌아가기 위해 근육을 빼는데는 약 3~4년 정도가 소요되며 근육이 아예 없어지는 것도 아니고 최대로 키웠던 근육의 10%는 영구히 발달된 채로 남게 된다.[5] 은퇴한 여성 보디빌더 중 상당수는 포기하고 우람한 체형을 가진채로 살아가기도 한다.[6] 혹여나 보디빌딩에 도전할 생각이 있거나 스테로이드 투여를 고민중인 여성들은 이 점을 유념하도록 하자.
파일:8d50931365710990.jpg
파일:d9f72c527048877.jpg

[1] 검색 시 유의할 게 있는데 Muscular는 남성들도 해당되기 때문에 근육남들의 게이 포르노도 섞여있다. 근육미녀만 찾고 싶다면 Muscular female이라고 검색해야 한다.[2] FBB(Female Bodybuilder), Amazones FBB로 검색해도 나온다.[3] 이쪽도 상당히 호불호가 갈린다고 한다.[4] 물론 팔씨름 한번 해보면 약골 남자 정도는 쉽게 이긴다. 남자들 중에서 중간 이상의 근력을 가진 남자와는 비할 바가 아니지만.[5] 미즈 올림피아를 수 차례 제패한 렌데이 머리(Lenday Murray)나 코리 에버슨(Cory Everson)의 경우 50이 훌쩍 넘은 나이에도 군살이 없이 근육을 잘 유지하고 있다.[6] WWE에서 남성 못지 않은 근육질 체격을 가진 차이나의 경우 WWE 은퇴 후에도 체구가 좋았다. 미즈 올림피아에서 상위권에 들었던 다야나 카도(Dayana Cadeau)는 현역 시절보다 더 덩치가 큰 체형으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