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9 21:20:56

국방경비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법률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3f7f5,#203030><tablebgcolor=#e3f7f5,#203030> 파일:대한민국 국장.svg국방경비법 }}}
<colbgcolor=#008879,#003324><colcolor=white> 공포일 1948년 7월 5일
제정일 1948년 8월 4일
폐지일 1962년 1월 20일

1. 개요2. 배경3. 악법

1. 개요

국방경비법은 미군정이 실시되면서 간첩을 잡기 위해 만들어진 법이다.

2. 배경

미군정은 신생독립국인 한국인의 군대를 유지하기 위해 군법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이에 국방경비법을 만든다.

3. 악법

특히, 국방경비법 제 32조의 이적죄와 제 33조의 간첩죄로 인해 수많은 무고한 사람들이 처형당하거나 장기간 옥살이를 했다고 한다. 이승만 정권이 숙군 작업을 할 때 자주 써먹기도 하였다. 이 법으로 인해 처벌받은 사람들의 수는 약 16만명 내지 20만명에 달한다.

이 법을 위반한 사람은 설령 감옥생활을 마쳐도 보안감찰처분을 받아 경찰에게 항상 감시당하는 생활을 해야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