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현충원 | <colbgcolor=#5589cd> 서울 · 대전 · 연천 (예정) |
호국원 | 이천 · 영천 · 제주 · 임실 · 산청 · 괴산 · | |
민주묘지 | 4.19 (서울) · 3.15 (창원) · 5.18 (광주) | |
기타 | 국립신암선열공원 (대구) · 국립망향의동산 (천안) | }}}}}}}}} |
<colcolor=#fff><colbgcolor=#003764> 국립4·19민주묘지 國立4·19民主墓地 | April 19th National Cemetery | |
| |
기능 | 국립묘지 |
관리소장 | 윤우용 |
주소 | |
서울특별시 강북구 4.19로 8길 17 | |
상급 기관 | 국가보훈부 |
안장 기수 | 557기(2025.06.30. 기준) |
홈페이지 |
<nopad> |
전경 |
1. 개요
자유ㆍ민주ㆍ정의를 꽃피운 아름다운 민주성지 |
매년 4월 19일에는 이곳에서 4.19 기념식이 열린다. 이 기념식에는 대한민국 대통령, 주요 정치인들과 정부 인사, 4.19 희생자 유족 및 관련 단체들, 혁명에 참여한 학교 후배 학생들이 참석한다.
2. 연혁
1961.02.01. 국무회의에서 공원묘지 설립 결의1962.12.21. 재건국민운동본부 주관 기공식 진행
1963.09.20. 묘지준공 및 기념탑 제막
1964.03.28. 서울특별시로 소유권 변경
1993.10.20. 성역화 사업 착공
1995.04.17. 성역화 사업 준공
1995.04.19. 국립묘지로 승격
1997.04.25. 국립4.19묘지규정 제정(대통령령 15360호)
2006.01.03. '국립4.19묘지'에서 '국립4.19민주묘지'로 개칭
2006.07.27. '국립4.19묘지관리소' 에서 '국립4.19민주묘지관리소' 로 개칭
2015.12.03. 국가보훈처로 소유권 변경
3. 시설
ㆍ 4.19혁명 기념관 - 관련 자료와 유물을 전시하는 전시 공간, 영상실, 경치를 구경할 수 있는 전망대로 구성.ㆍ 4월학생혁명기념탑 - 4.19 혁명 희생정신을 기리고자 건립. 높이 21m의 화강석 탑주 7개로 구성.
ㆍ 기념탑 비문 - 그들의 정신과 민주의 가치가 담긴 내용 각인.
ㆍ 정의의 불꽃 - 3개의 무궁화 꽂잎을 형상화하여 4.19 혁명의 역사적 의미를 불꽃 모양으로 형상화.
ㆍ 수호예찬의 비 - 4.19 혁명을 소재로 발표된 시를 각인.
ㆍ 자유의 투사 - 학생과 무장경찰의 대치 상황을 수평적으로 묘사.
ㆍ 군상부조 - 총 4부로 구성. 그 당시 시대상황과 민중들의 자유에 대한 염원, 민주화에 대한 희망을 구상적 수법으로 묘사.
ㆍ 군상환조 - 당시의 현장을 지켜보는 민중의 형상을 반추상적으로 표현.
ㆍ 수호자상 - 정의와 자유를 수호하는 형상을 역동적으로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