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20:27:15

국군간호사관학교/출신 인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국군간호사관학교
사관학교별 출신 인물
육사 해사 공사 간사 3사


1. 개요2. 16기3. 17기4. 19기5. 20기6. 21기7. 22기8. 23기9. 27기10. 28기11. 29기12. 32기13. 43기14. 48기15. 49기16. 51기17. 61기18. 역대 대통령상 수상자1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국군간호사관학교 출신의 유명 인물을 정리한 문서입니다. 본 문서는 기수별로 정리했습니다.

2. 16기

  • 이재순(16기): 예)육군준장. 국군간호사관학교장 역임. 전역 후 한국폴리텍대학 경북구미캠퍼스 학장으로 역임했다...(2006년부터 2008년까지.. 당시 재학생들 사이에서는 좋은 이미지의 인기가 많은 학장님이었다고.....)

3. 17기

  • 윤종필(17기): 예)육군준장. 국군간호사관학교장 역임. 제20대 새누리당 비례대표 국회의원 당선.

4. 19기

  • 박순화(19기): 예)육군준장. 국군간호사관학교장 역임

5. 20기

  • 신혜경(20기): 예)육군준장. 국군간호사관학교장 역임.

6. 21기

  • 박명화(21기): 예)육군준장. 국군간호사관학교장 역임.

7. 22기

  • 최경혜(22기): 예)육군준장. 국군간호사관학교장 역임.

8. 23기

  • 윤원숙(23기): 예)육군준장. 국군간호사과학교장역임. 첫 4년제 기수 출신이다.

9. 27기

  • 권명옥(27기): 예)육군준장. 국군간호사관학교장역임. 윤원숙 교장의 후임으로 무려 4기수를 건너 뛰었다.

10. 28기

  • 정의숙(28기): 예)육군준장. 국군간호사관학교장역임.

11. 29기

  • 강점숙(29기): 예)육군준장. 국군간호사관학교장,생도대장 역임

12. 32기

  • 정경화(32기): 現육군준장, 現국군간호사관학교장 역임중

13. 43기

  • 선효선(43기): 2008년 2월 19일, 당직이 아님에도 심야 응급환자 후송작전에 나섰다가 복귀하던 중 용문산 근처에서 기상 악화로 헬기가 추락하면서 순직했다.

14. 48기

  • 송주영(48기): 육군. 간호사관학교 재학 시절 교내 방송 아나운서를 했고 2008년 졸업/임관하여 간호장교로 근무하던 중 2011년 10월 국군방송 현역 앵커 4기로 선발되어 국군 방송 현장에서 2013년까지 활약하였다.

15. 49기

16. 51기

17. 61기

  • 김혜수: 장진호 전투에서 전사한 참전용사 김석주 일병의 외증손자. 2021년 9월 하와이에서 열린 한미 유해 상호 인수식 때 한국으로 인도되는 참전용사의 유족을 대표해서 김석주 일병의 유해를 직접 인수했다.

18. 역대 대통령상 수상자

44, 45기는 국군간호사관학교 폐교 논의로 인해 선발되지 않았다. 43기 이전의 기수의 경우 졸업 당시 10기수를 뺀 ~33기로 임관하였으나 다시 생도를 모집한 이후부터 기수연결식을 통해 10기수씩을 더한 기수로 변경되어 아래와 같이 표현하였다.
30기: 석수진
31기: 이연미
32기: 백기진
33기: 유승연
34기: 나정순
35기: 하성희
36기: 정경미
37기: 정유미
38기: 유창연
39기: 이민정
40기: 김혜원
41기: 하미옥
42기: 강수영
43기: 전윤경
46기: 채새봄
47기: 정은영
48기: 박계영
49기: 김지혜
50기: 홍은지
51기: 김수연
52기: 이종희
53기: 백서영
54기: 김경연
55기: 김현영
56기: 우선영
57기: 김수지
58기: 손혜연
59기: 장혜연
60기: 신나은
61기: 김민주
62기: 최유지[1]
63기: 김창하[2]
64기: 황정민

19. 관련 문서



[1] 공군 최초[2] 해군 최초. 남생도 최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