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9 16:59:20

고전 그리스어/문법/명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고전 그리스어/문법
1. 개요2. 관사3. 격변화 1변화4. 격변화 2변화
4.1. 모음 축약4.2. 앗티케 곡용
5. 격변화 3변화
5.1. 자음 어간 변화
5.1.1. 양순음 및 연구개음 어간5.1.2. 남성·여성 치음 어간5.1.3. 중성 치음 어간
5.2. 모음 어간 변화

1. 개요

고전 그리스어의 명사는 라틴어와 비슷하게 남성, 여성, 중성 3가지 문법적 성이 있고, 주격, 속격, 여격, 대격, 호격 등 5가지 격이 있다.[1]

그리고 수는 단수, 복수 외에도 쌍수(雙數, dual number)라는 범주가 있다.[2] 쌍수란 개수가 2개인 것을 가리킨다. 그러니까 고전 그리스어는 한 개짜리(단수), 두 개짜리(쌍수), 세 개 이상짜리(복수)로 구분한다는 뜻이다. 고전 그리스어에서도 쌍수형은 잘 쓰이지 않았고 코이네에 이르면 아예 사라졌다. 현대어에는 당연히 없다.[3]
  • 주격은 문장의 주어를 나타낸다.
    • e.g. ὁ Ἀχιλλεὺς τρέχει. 아킬레우스 달린다. (현대어에선 Ο Αχιλλεύς τρέχει. /o axillefs trexi/)
  • 속격은 '~의' 와 같이 소유를 나타내며, 특정 전치사와 함께 쓰여 '~로부터', '~와 함께' 따위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 e.g. τὸ τοῦ Κύκλωπος ἄντρον 퀴클롭스 동굴 (현대어에선 Η σπηλιά του κύκλωπος. /i spilia tu kiklopos/)
  • 여격은 주로 간접목적어를 나타내며, 특정 전치사와 함께 '도구', '위치' 등을 나타내기도 한다.[4] 현대 그리스어에서 여격은 대격과 동일시되어 사라졌다.
    • e.g. τῷ Μῑνωταύρῳ σῖτον παρέχει. 미노타우로스에게 먹이를 준다. (현대어에선 Τρέφει τον Μινωταύρο. - 주어가 3인칭 남성일 때. /trefi ton minotavro/)
  • 대격은 주로 직접목적어를 나타내며, '방향', '기간' 등을 나타내기도 한다.
    • e.g. βλέπει πρὸς τὴν καλὴν θάλατταν.[5] 아름다운 바다를 본다. (현대어에선 Βλέπει προς την καλή θάλασσα. /vlepi pros tin kali þalassa/)
  • 호격은 누군가를 부를 때 쓴다. 현대어에는 일부 기도문(Κύριε ελείσον 등등)에서 흔적만 남아있다.

보통 고전 그리스어 문법을 설명하며 명사/형용사의 격을 나열할 적에 이 항목에서처럼 주격-속격-여격-대격-호격 순으로 배열하는데, 기원전 1세기 그리스 문법학자 디오니시우스 트락스(Dionysius Thrax)가 제시한 순서이다. 로마의 문법학자들은 라틴어 문법을 정리하며 디오니시우스의 순서를 받아들이되, 고전 그리스어에는 없는 탈격을 집어넣어 주격-속격-여격-대격-호격-탈격 순서로 정리하였다.[6] 이런 격 배열 순서는 고전 그리스어는 물론 라틴어 학습에서도 지금까지 통용된다. 또한 러시아어나 리투아니아어 등 다른 유럽 언어의 어학에서도 디오니시우스에게 영향받은 순서를 사용하곤 한다.

현대에는 언어학자들이 각 언어, 또는 어군별로 최적화된 다른 격 배열 순서를 제시하고 사용하기도 한다. 고전 그리스어에 적절한 격 배열을 두고 호주의 언어학자 제이슨 존스턴(Jason Clift Johnston)은 다음과 같은 희한한 순서를 제안하기도 하였다.
  • 대격-주격-호격-속격-여격
  • 대격-주격-호격-여격-속격

존스턴의 제안대로 배열해보면, 많은 경우 암기하기가 상대적으로 쉬워지긴 한다. 하지만 대격을 절대격-능격도 아니고 맨 앞으로 빼는 별난 순서 때문에 언어학적 합리성과는 별개로 통용되지 않고 개인의 주장으로 남았다.

2. 관사

부정관사는 없고, 정관사만 있다. 호격의 경우 관사가 없다.
단수
남성여성중성
주격τό
속격τοῦτῆςτοῦ
여격τῷτῇτῷ
대격τόντήντό
쌍수 복수
남성
중성
여성[7] 남성 여성 중성
주격τώτά[ᾱ]οἱαἱτά
속격τοῖνταῖν τῶν[8]
여격τοῖςταῖςτοῖς
대격τώτά[ᾱ]τούςτάς[ᾱ]τά
왜 관사를 먼저 쓰냐면, 명사 격변화 1, 2변화의 어미가 관사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3. 격변화 1변화

주로 여성 명사들이 많다. 어근에 다음 표와 같은 어미를 붙여 변화시키며, 어근의 마지막 글자[9]에 따라 다른 어미를 쓴다.
단수쌍수복수
주격-α/-ᾱ/-η-ᾱ-αι
속격-ᾱς/-ης-αιν-ῶν
여격-ᾳ/-ῃ-αις
대격-αν/-ᾱν/-ην-ᾱ-ᾱς
호격-α/-ᾱ/-η-αι

예: σφαῖρα, 구(球)
단수쌍수복수
주격σφαῖρασφαίρᾱσφαῖραι
속격σφαίρᾱςσφαίραινσφαιρῶν
여격σφαίρᾳσφαίραις
대격σφαῖρανσφαίρᾱσφαίρᾱς
호격σφαῖρασφαῖραι

예: ἐλαίᾱ, 올리브
단수쌍수복수
주격ἐλαίᾱἐλαίᾱἐλαῖαι
속격ἐλαίᾱςἐλαίαινἐλαιῶν
여격ἐλαίᾳἐλαίαις
대격ἐλαίᾱνἐλαίᾱἐλαίᾱς
호격ἐλαίᾱἐλαῖαι

예: νίκη[ῑ], 승리
단수쌍수복수
주격νίκηνίκᾱνῖκαι
속격νίκηςνίκαιννικῶν
여격νίκῃνίκαις
대격νίκηννίκᾱνίκᾱς
호격νίκηνῖκαι

남성 명사가 1변화를 하는 경우, 단수 주격 어미에 -ς 가 덧붙으며, 단수 속격 어미는 2변화처럼 -ου 가 된다. 주격과 호격의 형태가 다르며, 주격은 -ς로 끝나고 호격은 모음으로 끝나는 것은 2변화와 유사하다.
단수쌍수복수
주격-ᾱς/-ης-ᾱ-αι
속격-ου-αιν-ῶν
여격-ᾳ/-ῃ-αις
대격-ᾱν/-ην-ᾱ-ᾱς
호격-α/-ᾱ/-η-αι

예: ξιφίᾱς, 황새치
단수쌍수복수
주격ξιφίᾱςξιφίᾱξιφίαι
속격ξιφίουξιφίαινξιφιῶν
여격ξιφίᾳξιφίαις
대격ξιφίᾱνξιφίᾱξιφίᾱς
호격ξιφίᾱξιφίαι

예: ναύτης, 선원
단수쌍수복수
주격ναύτηςναύτᾱναῦται
속격ναύτουναύταινναυτῶν
여격ναύτῃναύταις
대격ναύτηνναύτᾱναύτᾱς
호격ναῦταναῦται

제1변화 명사들의 복수 속격 형태는 제2형태와 달리 항상 마지막 음절에 circumflex가 오는데(–ῶν), 이는 역사적으로 –άων[ᾱ]이 축약된 형태이기 때문이다. 그 예시는 고전기 이전의 문학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호메로스의 ⟨오뒷세이아⟩ 1권 14행 νύμφη πόνι’ ἔρυκε Καλυψὼ δῖα θεάων (여신 중에서도 고귀하고 존경스런 요정 칼륍소)이 대표적이다.

4. 격변화 2변화

주로 남성 명사들이 많고, 중성, 여성 명사도 있다.
  • 남성, 여성의 경우
단수쌍수복수
주격-ος-οι
속격-ου-οιν-ων
여격-ῳ-οις
대격-ον-ους
호격-οι

예) κόσμος, κόσμου, ὁ ‒ 질서, 세계
단수쌍수복수
주격κόσμοςκόσμωκόσμοι
속격κόσμουκόσμοινκόσμων
여격κόσμῳκόσμοις
대격κόσμονκόσμωκόσμους
호격κόσμεκόσμοι

예) ὁδός, ὁδοῦ, ἡ ‒ 길
단수쌍수복수
주격ὁδόςὁδώὁδοί
속격ὁδοῦὁδοῖνὁδῶν
여격ὁδῷὁδοῖς
대격ὁδόνὁδώὁδούς
호격ὁδέὁδοί
  • 중성의 경우
단수쌍수복수
주격-ον
속격-ου-οιν-ων
여격-ῳ-οις
대격-ον
호격

예) δένδρον, δένδρου, τὸ ‒ 나무
단수쌍수복수
주격δένδρονδένδρωδένδρα
속격δένδρουδένδροινδένδρων
여격δένδρῳδένδροις
대격δένδρονδένδρωδένδρα
호격

중성의 경우 주격, 대격, 호격이 같다. 이건 2변화뿐 아니라 다른 중성 명사의 경우도 마찬가지.

4.1. 모음 축약

모음 ε/ο와 ο가 만나면 ου로 축약된다. 따라서 원래 νόος, ὀστέον처럼 생겼던 것이 각각 νοῦς, ὀστοῦν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예) νοῦς, νοῦ, ὁ ‒ 마음
단수쌍수복수
주격νοῦςνώνοῖ
속격νοῦνοῖννῶν
여격νῷνοῖς
대격νοῦννώνοῦς
호격νοῦνοῖ

예) ὀστοῦν, ὀστοῦ, τὸ ‒ 뼈
단수쌍수복수
주격ὀστοῦνὀστώὀστᾶ
속격ὀστοῦὀστοῖνὀστῶν
여격ὀστῷὀστοῖς
대격ὀστοῦνὀστώὀστᾶ
호격

4.2. 앗티케 곡용

5. 격변화 3변화

단수쌍수복수
주격-ς/-[중성]-ες/-α[중성]
속격-ος-οιν-ων
여격-σι(ν)
대격-α/-[중성]-ας/-α[중성]
호격-ς/--ες/-α[중성]

기본적으로는 이렇지만, 3변화의 경우 단어의 어근에 따라 폭풍같은 다양함을 보인다. 자세한 것은 위키피디아를 참조.

그리고 당연히 불규칙 변화하는 명사도 있다.

사전에는 표제어로 명사의 단수 주격을 맨 앞에 두고 옆에 관사와 속격을 나열한다. 관사를 보고 성을, 속격을 보고 어떤 격변화를 하는지를 대략 알 수 있기 때문이다.

5.1. 자음 어간 변화

말 그대로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3변화 명사들이다. 이 명사들은 단수 주격 형태가 한 음절짜리일 때, 속격과 여격 형태에서 악센트가 대부분의 경우 마지막 음절에 온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ex. ὁ/ἡ αξ, τοῦ/τῆς αἰγός) 하지만 고전 그리스어 특성상 예외도 많은데, 특히 παῖς는 단수 속격으로 규칙 형태인 παιδός를 가지지만, 복수 속격 형태는 *παιδῶν이 아닌 παίδων이다. 이는 παῖς의 옛 형태가 πάϝις < *páwids, 즉 2음절로 이루어졌었기 때문이다. [15]

5.1.1. 양순음 및 연구개음 어간

어간이 양순·연구개 파열음, 즉 π, β, φ, κ, γ, χ로 끝나는 명사들로, 모두 남성 혹은 여성이다.
π/β/φ + σ = ψ, κ/γ/χ + σ = ξ 이 두 공식만 알아두면, 위의 기본 변화표를 사용하여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예) λαῖλαψ, λαίλαπος, ἡ ‒ 회오리바람
단수쌍수복수
주격λαῖλαψλαίλαπελαίλαπες
속격λαίλαποςλαιλάποινλαιλάπων
여격λαίλαπιλαίλαψι(ν)
대격λαίλαπαλαίλαπελαίλαπας
호격λαῖλαψλαίλαπες

예) λίψ, λιβός, ὁ ‒ 남서풍
단수쌍수복수
주격λίψλίβελίβες
속격λιβόςλιβοῖνλιβῶν
여격λιβίλιψί(ν)
대격λίβαλίβελίβας
호격λίψλίβες

예) φύλαξ, φυλακός, ὁ ‒ 파수꾼
단수쌍수복수
주격φύλαξφύλακεφύλακες
속격φύλακοςφυλάκοινφυλάκων
여격φύλακιφύλαξι(ν)
대격φύλακαφύλακεφύλακας
호격φύλαξφύλακες

예) αἴξ, αἰγός, ὁ/ἡ ‒ 염소
단수쌍수복수
주격αἴξαἶγεαἶγες
속격αἰγόςαἰγοῖναἰγῶν
여격αἰγίαἰξί(ν)
대격αἶγααἶγεαἶγας
호격αἴξαἶγες

예) ὄνυξ, ὄνυχος, ὁ ‒ 발톱
단수쌍수복수
주격ὄνυξὄνυχεαἶγες
속격ὄνυχοςὀνύχοινὀνύχων
여격ὄνυχιὄνυξι(ν)
대격ὄνυχαὄνυχεὄνυχας
호격ὄνυξὄνυχες

5.1.2. 남성·여성 치음 어간

어간이 치 파열음, 즉 τ, δ, θ로 끝나는 명사들이다. 남성·중성 능동 분사 또한 치음 어간을 가진다.

예) ἔρως, ἔρωτος, ὁ ‒ (육체적인)사랑
단수쌍수복수
주격ἔρωςἔρωτεἔρωτες
속격ἔρωτοςἐρώτοινἐρώτων
여격ἔρωτιἔρωσι(ν)
대격ἔρωταἔρωτεἔρωτας
호격ἔρωςἔρωτες

예) ἐλπίς, ἐλπίδος, ἡ ‒ 희망
단수쌍수복수
주격ἐλπίςἐλπίδεἐλπίδες
속격ἐλπίδοςἐλπίδοινἐλπίδων
여격ἐλπίδιἐλπίσι(ν)
대격ἐλπίδαἐλπίδεἐλπίδας
호격ἐλπίἐλπίδες

예) ὄρνῑς, ὄρνῑθος, ὁ/ἡ ‒ 새
단수쌍수복수
주격ὄρνιςὄρνιθεὄρνιθες
속격ὄρνιθοςὀρνίθοινὀρνίθων
여격ὄρνιθιὄρνῑσι(ν)
대격ὄρνιθαὄρνιθεὄρνιθας
호격ὄρνῑὄρνιθες

예) λέων, λέοντος, ὁ ‒ 수사자
단수쌍수복수
주격λέωνλέοντελέοντες
속격λέοντοςλεόντοινλεόντων
여격λέοντιλέουσι(ν)
대격λέονταλέοντελέοντας
호격λέονλέοντες

5.1.3. 중성 치음 어간


예) ὄνομα, ὀνόματος, τὸ ‒ 이름
단수쌍수복수
주격ὄνομαὀνόματεὀνόματα
속격ὀνόματοςὀνομάτοινὀνομάτων
여격ὀνόματιὀνόμασι(ν)
대격ὄνομαὀνόματεὀνόματα
호격

예) ἧπαρ, ἥπατος, τὸ ‒ 간(肝)
단수쌍수복수
주격ἧπαρἥπατεἥπατα
속격ἥπατοςἡπάτοινἡπάτων
여격ἥπατιἥπασι(ν)
대격ἧπαρἥπατεἥπατα
호격

예) φῶς, φωτός, τὸ ‒ 빛
단수쌍수복수
주격φῶςφῶτεφῶτα
속격φωτόςφώτοινφώτων
여격φωτίφωσί(ν)
대격φῶςφῶτεφῶτα
호격
이 단어의 쌍수 속격·여격, 복수 속격 형태에서 악센트가 마지막 음절에 붙지 않는 것은 이 단어의 원래 형태가 φάος, 즉 2음절이었기 때문이다.

5.2. 모음 어간 변화



[1] 라틴어에 있는 탈격이 그리스어에는 없는데, 탈격의 역할을 대부분 속격이나 여격이 책임진다.[2] '쌍수'는 번역자에 따라 양수(兩數)라고도 옮기는데 뜻은 같다.[3] 쌍수는 고전 그리스어만이 아니라 산스크리트어에도 있다. 원시인도유럽어부터 쌍수가 있었지만, 이런 범주가 불편했는지 히타이트어에도 쌍수가 없이 단수/복수만 있을 정도로 일찍부터 소실되기 시작했다. 희한하게도 리투아니아어는 17세기까지만 해도 쌍수형이 일부 남아 있었는데, 언어적 변화가 매우 적은 보수적 언어이기 때문이다.[4] 또한, 특정 동사는 소유격이나 여격을 목적어로 취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ἐράω (사랑하다) 동사는 소유격을 목적어로 취한다.[5] 다만, ττ는 아티케 헬라어에 국한된다. 타 방언에는 σσ를 쓰며, 코이네 헬라어에서는 이게 고정된다.[6] 학자나 나라에 따라 호격을 탈격이나 주격의 뒤에 배치하는 사소한 변형이 있긴 하지만, 디오니시우스가 정한 기본적인 틀은 여전히 통용된다.[7] 남성/중성과 같은 τώ, τοῖν 형태도 자주 사용된다.[8] 다만, 여성의 τῶν은 남성/중성 형태와 다른 τάων\[ᾱ\]에서 유래하였다.[9] 일반적으로 모음으로 끝나면 -ᾱ, 자음으로 끝나면 -α 또는 -η. 그러나 강세 부호 때문에 해당 어미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중성] [중성] [중성] [중성] [중성] [15] 다만 도리스 방언에서는 παιδῶν으로 규칙적으로 변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