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고전 그리스어의 명사는 라틴어와 비슷하게 남성, 여성, 중성 3가지 문법적 성이 있고, 주격, 속격, 여격, 대격, 호격 등 5가지 격이 있다.[1]그리고 수는 단수, 복수 외에도 쌍수(雙數, dual number)라는 범주가 있다.[2] 쌍수란 개수가 2개인 것을 가리킨다. 그러니까 고전 그리스어는 한 개짜리(단수), 두 개짜리(쌍수), 세 개 이상짜리(복수)로 구분한다는 뜻이다. 고전 그리스어에서도 쌍수형은 잘 쓰이지 않았고 코이네에 이르면 아예 사라졌다. 현대어에는 당연히 없다.[3]
- 주격은 문장의 주어를 나타낸다.
- e.g. ὁ Ἀχιλλεὺς τρέχει. 아킬레우스가 달린다. (현대어에선 Ο Αχιλλεύς τρέχει. /o axillefs trexi/)
- 속격은 '~의' 와 같이 소유를 나타내며, 특정 전치사와 함께 쓰여 '~로부터', '~와 함께' 따위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 e.g. τὸ τοῦ Κύκλωπος ἄντρον 퀴클롭스의 동굴 (현대어에선 Η σπηλιά του κύκλωπος. /i spilia tu kiklopos/)
- 여격은 주로 간접목적어를 나타내며, 특정 전치사와 함께 '도구', '위치' 등을 나타내기도 한다.[4] 현대 그리스어에서 여격은 대격과 동일시되어 사라졌다.
- e.g. τῷ Μῑνωταύρῳ σῖτον παρέχει. 미노타우로스에게 먹이를 준다. (현대어에선 Τρέφει τον Μινωταύρο. - 주어가 3인칭 남성일 때. /trefi ton minotavro/)
- 대격은 주로 직접목적어를 나타내며, '방향', '기간' 등을 나타내기도 한다.
- e.g. βλέπει πρὸς τὴν καλὴν θάλατταν.[5] 아름다운 바다를 본다. (현대어에선 Βλέπει προς την καλή θάλασσα. /vlepi pros tin kali þalassa/)
- 호격은 누군가를 부를 때 쓴다. 현대어에는 일부 기도문(Κύριε ελείσον 등등)에서 흔적만 남아있다.
- e.g. ὦ Ζεῦ. 오오 제우스여.
보통 고전 그리스어 문법을 설명하며 명사/형용사의 격을 나열할 적에 이 항목에서처럼 주격-속격-여격-대격-호격 순으로 배열하는데, 기원전 1세기 그리스 문법학자 디오니시우스 트락스(Dionysius Thrax)가 제시한 순서이다. 로마의 문법학자들은 라틴어 문법을 정리하며 디오니시우스의 순서를 받아들이되, 고전 그리스어에는 없는 탈격을 집어넣어 주격-속격-여격-대격-호격-탈격 순서로 정리하였다.[6] 이런 격 배열 순서는 고전 그리스어는 물론 라틴어 학습에서도 지금까지 통용된다. 또한 러시아어나 리투아니아어 등 다른 유럽 언어의 어학에서도 디오니시우스에게 영향받은 순서를 사용하곤 한다.
현대에는 언어학자들이 각 언어, 또는 어군별로 최적화된 다른 격 배열 순서를 제시하고 사용하기도 한다. 고전 그리스어에 적절한 격 배열을 두고 호주의 언어학자 제이슨 존스턴(Jason Clift Johnston)은 다음과 같은 희한한 순서를 제안하기도 하였다.
- 대격-주격-호격-속격-여격
- 대격-주격-호격-여격-속격
존스턴의 제안대로 배열해보면, 많은 경우 암기하기가 상대적으로 쉬워지긴 한다. 하지만 대격을
2. 관사
부정관사는 없고, 정관사만 있다. 호격의 경우 관사가 없다.단수 | |||
남성 | 여성 | 중성 | |
주격 | ὁ | ἡ | τό |
속격 | τοῦ | τῆς | τοῦ |
여격 | τῷ | τῇ | τῷ |
대격 | τόν | τήν | τό |
쌍수 | 복수 | ||||
남성 중성 | 여성[7] | 남성 | 여성 | 중성 | |
주격 | τώ | τά[ᾱ] | οἱ | αἱ | τά |
속격 | τοῖν | ταῖν | τῶν[8] | ||
여격 | τοῖς | ταῖς | τοῖς | ||
대격 | τώ | τά[ᾱ] | τούς | τάς[ᾱ] | τά |
3. 격변화 1변화
주로 여성 명사들이 많다. 어근에 다음 표와 같은 어미를 붙여 변화시키며, 어근의 마지막 글자[9]에 따라 다른 어미를 쓴다.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α/-ᾱ/-η | -ᾱ | -αι |
속격 | -ᾱς/-ης | -αιν | -ῶν |
여격 | -ᾳ/-ῃ | -αις | |
대격 | -αν/-ᾱν/-ην | -ᾱ | -ᾱς |
호격 | -α/-ᾱ/-η | -αι |
예: σφαῖρα, 구(球)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σφαῖρα | σφαίρᾱ | σφαῖραι |
속격 | σφαίρᾱς | σφαίραιν | σφαιρῶν |
여격 | σφαίρᾳ | σφαίραις | |
대격 | σφαῖραν | σφαίρᾱ | σφαίρᾱς |
호격 | σφαῖρα | σφαῖραι |
예: ἐλαίᾱ, 올리브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ἐλαίᾱ | ἐλαίᾱ | ἐλαῖαι |
속격 | ἐλαίᾱς | ἐλαίαιν | ἐλαιῶν |
여격 | ἐλαίᾳ | ἐλαίαις | |
대격 | ἐλαίᾱν | ἐλαίᾱ | ἐλαίᾱς |
호격 | ἐλαίᾱ | ἐλαῖαι |
예: νίκη[ῑ], 승리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νίκη | νίκᾱ | νῖκαι |
속격 | νίκης | νίκαιν | νικῶν |
여격 | νίκῃ | νίκαις | |
대격 | νίκην | νίκᾱ | νίκᾱς |
호격 | νίκη | νῖκαι |
남성 명사가 1변화를 하는 경우, 단수 주격 어미에 -ς 가 덧붙으며, 단수 속격 어미는 2변화처럼 -ου 가 된다. 주격과 호격의 형태가 다르며, 주격은 -ς로 끝나고 호격은 모음으로 끝나는 것은 2변화와 유사하다.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ᾱς/-ης | -ᾱ | -αι |
속격 | -ου | -αιν | -ῶν |
여격 | -ᾳ/-ῃ | -αις | |
대격 | -ᾱν/-ην | -ᾱ | -ᾱς |
호격 | -α/-ᾱ/-η | -αι |
예: ξιφίᾱς, 황새치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ξιφίᾱς | ξιφίᾱ | ξιφίαι |
속격 | ξιφίου | ξιφίαιν | ξιφιῶν |
여격 | ξιφίᾳ | ξιφίαις | |
대격 | ξιφίᾱν | ξιφίᾱ | ξιφίᾱς |
호격 | ξιφίᾱ | ξιφίαι |
예: ναύτης, 선원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ναύτης | ναύτᾱ | ναῦται |
속격 | ναύτου | ναύταιν | ναυτῶν |
여격 | ναύτῃ | ναύταις | |
대격 | ναύτην | ναύτᾱ | ναύτᾱς |
호격 | ναῦτα | ναῦται |
제1변화 명사들의 복수 속격 형태는 제2형태와 달리 항상 마지막 음절에 circumflex가 오는데(–ῶν), 이는 역사적으로 –άων[ᾱ]이 축약된 형태이기 때문이다. 그 예시는 고전기 이전의 문학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호메로스의 ⟨오뒷세이아⟩ 1권 14행 νύμφη πόνι’ ἔρυκε Καλυψὼ δῖα θεάων (여신 중에서도 고귀하고 존경스런 요정 칼륍소)이 대표적이다.
4. 격변화 2변화
주로 남성 명사들이 많고, 중성, 여성 명사도 있다.- 남성, 여성의 경우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ος | -ω | -οι |
속격 | -ου | -οιν | -ων |
여격 | -ῳ | -οις | |
대격 | -ον | -ω | -ους |
호격 | -ε | -οι |
예) κόσμος, κόσμου, ὁ ‒ 질서, 세계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κόσμος | κόσμω | κόσμοι |
속격 | κόσμου | κόσμοιν | κόσμων |
여격 | κόσμῳ | κόσμοις | |
대격 | κόσμον | κόσμω | κόσμους |
호격 | κόσμε | κόσμοι |
예) ὁδός, ὁδοῦ, ἡ ‒ 길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ὁδός | ὁδώ | ὁδοί |
속격 | ὁδοῦ | ὁδοῖν | ὁδῶν |
여격 | ὁδῷ | ὁδοῖς | |
대격 | ὁδόν | ὁδώ | ὁδούς |
호격 | ὁδέ | ὁδοί |
- 중성의 경우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ον | -ω | -α |
속격 | -ου | -οιν | -ων |
여격 | -ῳ | -οις | |
대격 | -ον | -ω | -α |
호격 |
예) δένδρον, δένδρου, τὸ ‒ 나무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δένδρον | δένδρω | δένδρα |
속격 | δένδρου | δένδροιν | δένδρων |
여격 | δένδρῳ | δένδροις | |
대격 | δένδρον | δένδρω | δένδρα |
호격 |
중성의 경우 주격, 대격, 호격이 같다. 이건 2변화뿐 아니라 다른 중성 명사의 경우도 마찬가지.
4.1. 모음 축약
모음 ε/ο와 ο가 만나면 ου로 축약된다. 따라서 원래 νόος, ὀστέον처럼 생겼던 것이 각각 νοῦς, ὀστοῦν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예) νοῦς, νοῦ, ὁ ‒ 마음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νοῦς | νώ | νοῖ |
속격 | νοῦ | νοῖν | νῶν |
여격 | νῷ | νοῖς | |
대격 | νοῦν | νώ | νοῦς |
호격 | νοῦ | νοῖ |
예) ὀστοῦν, ὀστοῦ, τὸ ‒ 뼈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ὀστοῦν | ὀστώ | ὀστᾶ |
속격 | ὀστοῦ | ὀστοῖν | ὀστῶν |
여격 | ὀστῷ | ὀστοῖς | |
대격 | ὀστοῦν | ὀστώ | ὀστᾶ |
호격 |
4.2. 앗티케 곡용
5. 격변화 3변화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ς/-[중성] | -ε | -ες/-α[중성] |
속격 | -ος | -οιν | -ων |
여격 | -ι | -σι(ν) | |
대격 | -α/-[중성] | -ε | -ας/-α[중성] |
호격 | -ς/- | -ες/-α[중성] |
기본적으로는 이렇지만, 3변화의 경우 단어의 어근에 따라 폭풍같은 다양함을 보인다. 자세한 것은 위키피디아를 참조.
그리고 당연히 불규칙 변화하는 명사도 있다.
사전에는 표제어로 명사의 단수 주격을 맨 앞에 두고 옆에 관사와 속격을 나열한다. 관사를 보고 성을, 속격을 보고 어떤 격변화를 하는지를 대략 알 수 있기 때문이다.
5.1. 자음 어간 변화
말 그대로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는 3변화 명사들이다. 이 명사들은 단수 주격 형태가 한 음절짜리일 때, 속격과 여격 형태에서 악센트가 대부분의 경우 마지막 음절에 온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ex. ὁ/ἡ αἴξ, τοῦ/τῆς αἰγός) 하지만 고전 그리스어 특성상 예외도 많은데, 특히 παῖς는 단수 속격으로 규칙 형태인 παιδός를 가지지만, 복수 속격 형태는 *παιδῶν이 아닌 παίδων이다. 이는 παῖς의 옛 형태가 πάϝις < *páwids, 즉 2음절로 이루어졌었기 때문이다. [15]5.1.1. 양순음 및 연구개음 어간
어간이 양순·연구개 파열음, 즉 π, β, φ, κ, γ, χ로 끝나는 명사들로, 모두 남성 혹은 여성이다.π/β/φ + σ = ψ, κ/γ/χ + σ = ξ 이 두 공식만 알아두면, 위의 기본 변화표를 사용하여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예) λαῖλαψ, λαίλαπος, ἡ ‒ 회오리바람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λαῖλαψ | λαίλαπε | λαίλαπες |
속격 | λαίλαπος | λαιλάποιν | λαιλάπων |
여격 | λαίλαπι | λαίλαψι(ν) | |
대격 | λαίλαπα | λαίλαπε | λαίλαπας |
호격 | λαῖλαψ | λαίλαπες |
예) λίψ, λιβός, ὁ ‒ 남서풍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λίψ | λίβε | λίβες |
속격 | λιβός | λιβοῖν | λιβῶν |
여격 | λιβί | λιψί(ν) | |
대격 | λίβα | λίβε | λίβας |
호격 | λίψ | λίβες |
예) φύλαξ, φυλακός, ὁ ‒ 파수꾼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φύλαξ | φύλακε | φύλακες |
속격 | φύλακος | φυλάκοιν | φυλάκων |
여격 | φύλακι | φύλαξι(ν) | |
대격 | φύλακα | φύλακε | φύλακας |
호격 | φύλαξ | φύλακες |
예) αἴξ, αἰγός, ὁ/ἡ ‒ 염소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αἴξ | αἶγε | αἶγες |
속격 | αἰγός | αἰγοῖν | αἰγῶν |
여격 | αἰγί | αἰξί(ν) | |
대격 | αἶγα | αἶγε | αἶγας |
호격 | αἴξ | αἶγες |
예) ὄνυξ, ὄνυχος, ὁ ‒ 발톱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ὄνυξ | ὄνυχε | αἶγες |
속격 | ὄνυχος | ὀνύχοιν | ὀνύχων |
여격 | ὄνυχι | ὄνυξι(ν) | |
대격 | ὄνυχα | ὄνυχε | ὄνυχας |
호격 | ὄνυξ | ὄνυχες |
5.1.2. 남성·여성 치음 어간
어간이 치 파열음, 즉 τ, δ, θ로 끝나는 명사들이다. 남성·중성 능동 분사 또한 치음 어간을 가진다.예) ἔρως, ἔρωτος, ὁ ‒ (육체적인)사랑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ἔρως | ἔρωτε | ἔρωτες |
속격 | ἔρωτος | ἐρώτοιν | ἐρώτων |
여격 | ἔρωτι | ἔρωσι(ν) | |
대격 | ἔρωτα | ἔρωτε | ἔρωτας |
호격 | ἔρως | ἔρωτες |
예) ἐλπίς, ἐλπίδος, ἡ ‒ 희망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ἐλπίς | ἐλπίδε | ἐλπίδες |
속격 | ἐλπίδος | ἐλπίδοιν | ἐλπίδων |
여격 | ἐλπίδι | ἐλπίσι(ν) | |
대격 | ἐλπίδα | ἐλπίδε | ἐλπίδας |
호격 | ἐλπί | ἐλπίδες |
예) ὄρνῑς, ὄρνῑθος, ὁ/ἡ ‒ 새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ὄρνις | ὄρνιθε | ὄρνιθες |
속격 | ὄρνιθος | ὀρνίθοιν | ὀρνίθων |
여격 | ὄρνιθι | ὄρνῑσι(ν) | |
대격 | ὄρνιθα | ὄρνιθε | ὄρνιθας |
호격 | ὄρνῑ | ὄρνιθες |
예) λέων, λέοντος, ὁ ‒ 수사자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λέων | λέοντε | λέοντες |
속격 | λέοντος | λεόντοιν | λεόντων |
여격 | λέοντι | λέουσι(ν) | |
대격 | λέοντα | λέοντε | λέοντας |
호격 | λέον | λέοντες |
5.1.3. 중성 치음 어간
예) ὄνομα, ὀνόματος, τὸ ‒ 이름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ὄνομα | ὀνόματε | ὀνόματα |
속격 | ὀνόματος | ὀνομάτοιν | ὀνομάτων |
여격 | ὀνόματι | ὀνόμασι(ν) | |
대격 | ὄνομα | ὀνόματε | ὀνόματα |
호격 |
예) ἧπαρ, ἥπατος, τὸ ‒ 간(肝)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ἧπαρ | ἥπατε | ἥπατα |
속격 | ἥπατος | ἡπάτοιν | ἡπάτων |
여격 | ἥπατι | ἥπασι(ν) | |
대격 | ἧπαρ | ἥπατε | ἥπατα |
호격 |
예) φῶς, φωτός, τὸ ‒ 빛
단수 | 쌍수 | 복수 | |
주격 | φῶς | φῶτε | φῶτα |
속격 | φωτός | φώτοιν | φώτων |
여격 | φωτί | φωσί(ν) | |
대격 | φῶς | φῶτε | φῶτα |
호격 |
5.2. 모음 어간 변화
[1] 라틴어에 있는 탈격이 그리스어에는 없는데, 탈격의 역할을 대부분 속격이나 여격이 책임진다.[2] '쌍수'는 번역자에 따라 양수(兩數)라고도 옮기는데 뜻은 같다.[3] 쌍수는 고전 그리스어만이 아니라 산스크리트어에도 있다. 원시인도유럽어부터 쌍수가 있었지만, 이런 범주가 불편했는지 히타이트어에도 쌍수가 없이 단수/복수만 있을 정도로 일찍부터 소실되기 시작했다. 희한하게도 리투아니아어는 17세기까지만 해도 쌍수형이 일부 남아 있었는데, 언어적 변화가 매우 적은 보수적 언어이기 때문이다.[4] 또한, 특정 동사는 소유격이나 여격을 목적어로 취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ἐράω (사랑하다) 동사는 소유격을 목적어로 취한다.[5] 다만, ττ는 아티케 헬라어에 국한된다. 타 방언에는 σσ를 쓰며, 코이네 헬라어에서는 이게 고정된다.[6] 학자나 나라에 따라 호격을 탈격이나 주격의 뒤에 배치하는 사소한 변형이 있긴 하지만, 디오니시우스가 정한 기본적인 틀은 여전히 통용된다.[7] 남성/중성과 같은 τώ, τοῖν 형태도 자주 사용된다.[8] 다만, 여성의 τῶν은 남성/중성 형태와 다른 τάων\[ᾱ\]에서 유래하였다.[9] 일반적으로 모음으로 끝나면 -ᾱ, 자음으로 끝나면 -α 또는 -η. 그러나 강세 부호 때문에 해당 어미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중성] [중성] [중성] [중성] [중성] [15] 다만 도리스 방언에서는 παιδῶν으로 규칙적으로 변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