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慶州 皇福寺址 三層石塔 舍利莊嚴具. 국보 제37호 황복사지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통일신라 시기의 사리장엄구 일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 중이다.2. 내용
금동사리외함 상판에 새겨진 황금글씨들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과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금제, 은제 고배
금제방형합
1942년, 국보 제37호인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을 해제, 수리하던 중 석탑 2층 지붕돌 상부에서 발견된 통일신라 시대 사리갖춤이다. 제작 연대는 692년(신라 신문왕 12년, 효소왕 원년)과 706년(신라 성덕왕 5년)이다.
두 황금 불상이 담겨있던 금동제 사리외함의 뚜껑 안쪽에는 해서체로 1행에 20자씩 총 18행의 명문과 99기의 작은 탑들이 새겨져 있는데, 명문에 따르면 692년에 신문왕이 세상을 떠나자 신목태후가 왕위를 이은 아들 효소왕과 함께 종묘의 신성한 영령을 위해 선원가람에 삼층석탑을 세우고 이 사리갖춤들을 봉안했다고 되어 있으며, 이후 706년에 성덕왕의 명으로 불사리 4과(顆)와 6촌(寸) 크기의 순금제 아미타상 1구, 그리고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 1권을 추가로 봉안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706년에 이 사리장엄구에 수록한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은 기록상으로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무구정광대다라니경 판본이다. 위의 유물들 외에도 은제방형합, 유리판, 유리구슬 등이 추가로 발견되었다.
현재 이 사리장엄구에서 나온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과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이 대한민국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그 외에도 다수의 황금 유물과 공예품들이 발견되어 과거 신라시대 금세공기술 및 금속공예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여겨지고 있다.
3. 외부 링크
- 한국 미의 재발견 - 금속공예 : 경주 황복사터삼층석탑 사리장엄구
- 국립중앙박물관 선정 우리 유물 100선 : 황복사 터 삼층석탑에서 나온 금제 불입상과 아미타불좌상
- 황복사 터 삼층석탑 사리갖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