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6 23:03:06

경서로(송)

송나라의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북송
경기로 경동동로 경동서로 하동로
경서남로 경서북로 하북서로 하북동로
양절로 복건로 회남동로 회남서로
형호남로 형호북로 강남동로 강남서로
이주로 기주로 재주로 성도부로
광남동로 광남서로 영흥군로 진봉로
남송
양절동로 양절서로 회남동로 회남서로
형호남로 형호북로 강남동로 강남서로
이주로 기주로 동천부로 성도부로
광남동로 광남서로 복건로 경서남로
기타 행정구역
연산부로 운중부로 }}}}}}}}}

경서로 京西路

1. 개요2. 역사3. 행정구역
3.1. 경서남로(京西南路)
3.1.1. 양양부(襄陽府)3.1.2. 등주(鄧州)3.1.3. 수주(隨州)3.1.4. 금주(金州)3.1.5. 방주(房州)3.1.6. 균주(均州)3.1.7. 영주(郢州)3.1.8. 당주(唐州)3.1.9. 광화군(光化軍)
3.2. 경서북로(京西北路)
3.2.1. 하남부(河南府)3.2.2. 영창부(潁昌府)3.2.3. 정주(鄭州)3.2.4. 활주(滑州)3.2.5. 맹주(孟州)3.2.6. 채주(蔡州)3.2.7. 회녕부(淮寧府)3.2.8. 순창부(順昌府)3.2.9. 여주(汝州)3.2.10. 신양군(信陽軍)

1. 개요

경서로는 송나라의 최상위 행정구역인 로(路) 중 하나이다.

2. 역사

997년 송나라를 15로로 분할하면서 경서로를 설치하였다. 경서로를 경서남로와 경서북로로 나누었다가 경서로로 모두 통합하였으며, 1072년에 다시 경서남로와 경서북로로 나누었다.

3. 행정구역

3.1. 경서남로(京西南路)

오늘날 허난성 남부와 후베이성 북부가 해당하며 총 1부 7주 1군 31현을 두었다.

3.1.1. 양양부(襄陽府)

양양군(襄陽郡). 옛 명칭은 양주(襄州)였지만 1119년에 양양부가 되었으며 산남동도(山南東道) 절도부였다.
    • 양양현(襄陽縣), 등성현(鄧城縣), 곡성현(谷城縣), 의성현(宜城縣), 중로현(中盧縣)[1], 남장현(南漳縣)

3.1.2. 등주(鄧州)

남양군(南陽郡). 무승군(武勝軍) 절도주로 건륭(建隆) 연간 초에 임뢰현(臨瀨縣)을 폐지하였다.
    • 양현(穰縣), 남앙현(南陽縣)[2], 내향현(內鄕縣), 순양현(順陽縣)[3], 석천현(淅川縣)

3.1.3. 수주(隨州)

한동군(漢東郡). 967년에 숭의군(崇義軍) 절도주로 승격되었다가 976년에 숭신군(崇信軍) 절도주로 고쳤다.
    • 수현(隨縣)[4], 당성현(唐城縣), 조양현(棗陽縣)

3.1.4. 금주(金州)

안강군(安康郡). 967년에 소화군(昭化軍) 절도주로 하였다.
    • 서성현(西城縣), 순양현(洵陽縣)[5], 한음현(漢陰縣), 석천현(石泉縣), 평리현(平利縣)[6]

3.1.5. 방주(房州)

방릉군(房陵郡). 개보(開寶) 연간에 상용현(上庸縣)과 영청현(永淸縣)을 폐지하였고, 986년에 보강군(保康軍) 절도주로 하였다.
    • 방릉현(房陵縣), 죽산현(竹山縣)

3.1.6. 균주(均州)

무당군(武當郡). 본래는 방어주로 968년에 상주(上州) 방어사가 이곳으로 옮겨왔으며, 1119년에 무당군(武當軍) 절도주가 되었다.
    • 무당현(武當縣), 운향현(鄖鄕縣)

3.1.7. 영주(郢州)

부수군(富水郡). 방어주이다.
    • 장수현長壽縣), 경산현(京山縣)

3.1.8. 당주(唐州)

회안군(淮安郡). 960년에 단련주로 승격되었고 972년에 평씨현(平氏縣)을 폐지하였다.
    • 필양현(泌陽縣), 호양현(湖陽縣), 비양현(比陽縣), 동백현(桐柏縣)[7], 방성현(方城縣)[8]

3.1.9. 광화군(光化軍)

964년에 양주(襄州) 음성진(陰城鎭)을 광화군으로 승격시켰고 곡성현(谷城縣)의 하위 3개의 향을 분할하고 건덕현(乾德縣)을 설치하였다. 1072년에 광화군을 폐지하고 건덕현을 광화현으로 고치고 양주에 편입하였다가 원풍 연간에 복구되었다.
    • 건덕현(乾德縣)

3.2. 경서북로(京西北路)

오늘날 허난성 대부분과 안후이성 서부가 해당하며 총 4부 5주 1군 63현을 두었다.

3.2.1. 하남부(河南府)

낙양군(洛陽郡). 북송 시기에는 제2의 수도로 서경(西京)이라는 별칭이 있었다. 1072년에 경서로를 남북으로 나누면서 경서북로에 편입하였다.
    • 하남현(河南縣), 낙양현(洛陽縣)[9], 영안현(永安縣)[10], 언사현(偃師縣)[11], 영양현(潁陽縣)[12], 공현(鞏縣), 밀현(密縣)[13], 신안현(新安縣), 복창현(福昌縣)[14], 이양현(伊陽縣)[15], 민지현(澠池縣)[16], 영령현(永寧縣), 장수현(長水縣), 수안현(壽安縣)[17], 하청현(河淸縣)[18], 등봉현(登封縣)
    • 부재감(阜財監)[19]

3.2.2. 영창부(潁昌府)

허창군(許昌郡). 충무군(忠武軍) 절도부로 본래 허주(許州)였으나 1080년에 영창부로 승격되었다.
    • 장사현(長社縣)[20], 언성현(郾城縣), 양적현(陽翟縣), 장갈현(長葛縣), 임영현(臨潁縣), 무양현(舞陽縣), 겹현(郟縣)[21]

3.2.3. 정주(鄭州)

형양군(滎陽郡). 봉녕군(奉寧軍) 절도주로 1072년에 폐지되어 관성현과 진정현은 개봉부에 소속되고 형양현과 형택현은 진으로 강등되어 관성현에 통폐합되었으며, 원무현은 진으로 강등되어 양무현으로 통폐합되었다가, 1080년에 다시 주가 설치되었다. 1086년에는 다시 봉녕군 절도주가 되었고, 형양현, 원무현, 형택현이 관할 현이 되었으며, 활주와 함께 경서로에 소속하였다.
    • 관성현(管城縣), 형택현(滎澤縣), 원무현(原武縣), 신정현(新鄭縣), 형양현(滎陽縣)

3.2.4. 활주(滑州)

영하군(靈河郡). 태평흥국(太平興國) 연간에 무성군(武成軍) 절도주가 되었다가, 1072년에 폐지되고 관할 현이 모두 개봉부로 통폐합되었으며, 1081년에 다시 활주가 설치되었다. 1086년에는 다시 무성군 절도주가 되었다.
    • 백마현(白馬縣)[22], 위성현(韋城縣), 작성현(胙城縣)

3.2.5. 맹주(孟州)

하양삼성(河陽三城) 절도주. 본래 군명이 없었다가 1112년에 제원군(濟源郡)이 되었다.
    • 하양현(河陽縣), 제원현(濟源縣), 온현(溫縣), 사수현(汜水縣)[23], 하음현(河陰縣), 왕옥현(王屋縣)[24]

3.2.6. 채주(蔡州)

여남군(汝南郡). 회강군(淮康軍) 절도주이다.
    • 여양현(汝陽縣), 상채현(上蔡縣), 신채현(新蔡縣), 포신현(褒信縣), 수평현(遂平縣), 신식현(新息縣), 확산현(確山縣)[25], 진양현(眞陽縣), 서평현(西平縣), 평여현(平輿縣)

3.2.7. 회녕부(淮寧府)

회양군(淮陽郡). 진안군(鎭安軍) 절도부로, 본래 진주(陳州)였지만 1119년에 회녕부로 승격되었다.
    • 완구현(宛丘縣), 항성현(項城縣), 상수현(商水縣), 서화현(西華縣), 남돈현(南頓縣)[26]

3.2.8. 순창부(順昌府)

여음군(汝陰郡). 본래 방어주였다가 단련주가 되었고 973년에 다시 방어주가 되었고 1079년에 순창군(順昌軍) 절도주가 되었으며, 옛 명칭은 영주(潁州)였다가 1116년에 순창부로 승격되었다.
    • 여음현(汝陰縣), 태화현(泰和縣), 영상현(潁上縣), 심구현(沈丘縣)

3.2.9. 여주(汝州)

임여군(臨汝郡). 본래 방어주였지만 1114년에 육해군(陸海軍) 절도주가 되었다.
    • 양현(梁縣), 양성현(襄城縣), 엽현(葉縣), 노산현(魯山縣), 보풍현(寶豐縣)[27]

3.2.10. 신양군(信陽軍)

976년에 의양군(義陽軍)으로 강등되고 종산현(鐘山縣)이 폐지되었으며, 같은 해에 명칭을 신양군으로 고쳤다.
    • 신양현(信陽縣), 나산현(羅山縣)[28]

[1] 수나라 시기에는 의청현(義淸縣)이었다가, 976년에 중로현으로 고쳤다. 1135년에 남장현(南漳縣)으로 통폐합되었다.[2] 1044년에 방성현(方城縣)을 폐지하고 진으로 하여 통폐합시켰다가 1078년에 현으로 고치고 당주(唐州)로 이관시켰다.[3] 981년에 순양진(順陽鎭)을 현으로 승격시켰다.[4] 1068년에 광화현(光化縣)을 폐지하고 진으로 삼아 수현에 통폐합시켰다.[5] 966년에 육양현(淯陽縣)을 폐지하고 여기에 편입하였다.[6] 1073년에 폐지하고 진으로 삼아 서성현(西城縣)에 편입하였다가 원우(元祐) 연간에 복구하였다.[7] 973년에 치소를 회하의 옛 사당으로 옮겼다.[8] 1044년에 폐지되어 진이 되었고 등주 남양현에 편입하였다가, 1078년에 현으로 복구되었다.[9] 1072년에 하남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7년에 다시 복구되었다.[10] 1007년에 진에서 현으로 승격되었다.[11] 1042년에 폐지되었다가 1044년에 다시 복구되었고, 1072년에 구씨현(緱氏縣)에 통폐합되었다가 1075년에 다시 복구되었으며, 구씨현을 진으로 삼아 낙양현에 편입하였다.[12] 1042년에 폐지되어 진이 되었다가 1044년에 다시 복구되었다. 1069년에 등봉현(登封縣)으로 통폐합되었다가 1087년에 다시 설치되었다.[13] 1105년 정주(鄭州)에 두었다가 1120년에 다시 하남부 소속이 되었다.[14] 1072년 폐지되어 수안현(壽安縣)으로 통폐합되었다가, 1086년에 다시 설치되었다.[15] 1069년에 난천야진(欒川冶鎭)을 괵주(虢州) 노씨현(盧氏縣)에 편입시켰다. 1072년에 이궐현(伊闕縣)을 진으로 삼아 하남현에 편입시켰다가, 1073년에 다시 이양현에 편입시켰다.[16] 1037년에 철문진(鐵門鎭)을 연희진(延禧鎭)으로 개명하였다.[17] 1043년에 진으로 격하되었다가 1044년에 다시 현이 되었다.[18] 972년에 치소를 백파진(白波鎭)으로 옮겼고, 1075년에 철감(鐵監)을 설치하였다.[19] 1074년에 설치되어 동전의 주조를 맡았다.[20] 1071년에 허전현(許田縣)을 진으로 강등시키고 장사현에 통폐합하였다.[21] 본래 여주(汝州)의 하위 현이었으나 1105년에 영창부의 하위 현이 되었다.[22] 1070년에 영하현(靈河縣)이 폐지되어 백마현에 편입되었다.[23] 1072년에 폐지되어 하음현에 편입되었다가 1079년에 다시 설치되었다. 호로관이 이곳에 있었으며 당나라 시기의 명칭은 무뢰관이었지만 1011년에 행경관(行慶關)으로 명칭이 고쳐졌다.[24] 1072년에 하남부에서 맹주로 편입되었다.[25] 수나라 시기의 명칭은 낭산현(朗山縣)이었지만 1012년에 확산현으로 명칭이 고쳐졌다.[26] 1073년에 폐지되어 진이 되고 상수현과 항성현으로 각각 통폐합되었다가 1086년에 복구되었다.[27] 옛 명칭은 용흥현(龍興縣)이었으며, 1072년에 진으로 격하되어 노산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086년에 다시 설치되었다. 1120년에 명칭이 보풍현으로 고쳐졌다.[28] 976년에 폐지되었다가 985년에 다시 설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