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colcolor=#fff>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慶北大學校 齒科大學 KNU School of Dentistry | ||
| <colbgcolor=#DA2127> 설립 | <colbgcolor=#FFFFFF>1973년 12월 | |
| 학장 | 최연희 교수 | |
| 주소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177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 |
| <nopad> | ||
| 링크 | ||
1. 개요
경북대학교의 치과대학.1974년 경북대학교 문리과대학 치의예과로 출발하여, 1979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으로 신설되었다.
약 3천여 명의 치과의사를 배출하며, 오랜 역사와 탄탄한 기반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치과의료계를 선도하고 있다.
2. 역사
- 1973년 12월, 경북대학교 문리과대학 치의예과 인가
- 1973년 3월, 문리과대학 치의예과 신설
- 1976년 3월, 의과대학 치의학과 신설
- 1979년 3월,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승격(의과대학 치의학과에서 개편)
- 1979년 3월, 구외래 3층 전체 및 2층 일부에서 8개 진료과가 나누어 임상진료 실시
- 1979년 5월, 치과외래 확장 (8개 전문 과목)
- 1979년 12월, 대학원 치의학과 석사과정 개설
- 1980년 2월, 제1회 졸업생 28명 배출
- 1981년 3월, 치의예과 신입생 정원 80명 모집
- 1981년 11월, 대학원 치의학과 박사과정 개설
- 1981년 11월, EXIM차관 기자재 확충
- 1982년 3월, 치과 제2진료소 설치 (치주과, 치과교정과 및 소아치과 현 치대 2호관)
- 1982년 3월, 대학원 치의학과 전공 분리 (구강외과학 및 보존학)
- 1982년 12월, 치과 임상 8개분과 설치
- 1983년 7월, 의·치대 학생회관 건립
- 1984년 2월, 대학원 치의학과 전공분리 (구강외과학 및 치주과학, 치과교정학 및 소아치과학, 치과보존학 및 치과보철학, 구강진단학 및 치과방사선학)
- 1986년 8월, 치과대학건물 증축 (북측 강의동)
- 1988년 3월,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을 “경북대학교 병원”으로 개칭
- 1988년 7월, 대구대학교 부설 특수학교 자매결연 승인 (대구대부속보명학교, 광명학교, 덕희학교 및 영화학교)
- 1988년 11월, 8개 교실 승인(치과교정학교실, 구강외과학교실, 치과보존학교실, 치과보철학교실, 소아치과학교실, 치주과학교실, 치과방사선학교실, 구강병리학교실)
- 1989년 6월, 4층 실험실습실 임상실습대 설치가동 (OECF 차관)
- 1989년 9월, 전자현미경설치 (OECF차관)
- 1989년 12월, 일본 오사카대학 치학부와 학술교류협정체결
- 1990년 8월, 3차 OECF차관 기자재 도입 완료
- 1993년 3월, “경북대학교 병원” 법인 설치와 함께 임상 8개과 설치
- 1994년 7월, 강의동 5층 증축 완공
- 1995년 8월, 1개 교실 추가 승인 (구강내과학교실)
- 1995년 10월, 일본 도쿄의과치과대학 치학부와 학술교류협정 체결
- 1995년 12월, 일본 도쿠시마대학 치학부와 학술교류협정 체결
- 1996년 2월, 생체재료연구소 설립
- 1997년 8월, 7개 교실 추가 승인 (구강미생물학교실, 구강생리학교실, 구강생화학교실, 예방치과학교실, 구강해부학 및 조직학 교실, 치과약리학교실, 치과생체재료학교실)
- 1998년 7월, 대학원 9개 전공 재편 (구강내과학 및 구강악안면방사선학전공, 구강악안면외과학전공, 소아치과학전공, 치과교정학전공, 치과보존학전공, 치과보철학전공, 치주과학전공, 구강생물학전공, 예방치과학 및 치과생체재료학 전공)
- 1999년 12월, 치과대학 교사 신축사업 예산안 국회 통과
- 2000년 10월, 일본 오사카대학 치학부와 학술교류협정 재체결 (1999.12 ~ 2004.12)
- 2000년 10월, 일본 동쿄의과치과대학 치학부와 학술교류협정 재체결
- 2000년 12월, 치과대학 신축교사 설계 완료
- 2001년 11월, 중국 상해 제2의과대학교 치과대학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 2001년 11월, 전남대학교 치과대학과 학술교류협정 체결
- 2002년 1월, 치의학전문대학원제 도입을 결정
- 2002년 8월,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와 학술교류협정 체결
- 2003년 9월, 치과대학 신축건물(1호관) 개관 (6개 기초교실, 강의실, 실습실 및 행정실 이전)
- 2004년 2월, 식품의약품 안전청으로부터 치과재료시험평가센터 지정
- 2004년 5월, 치과대학 개교 30주년 기념행사 개최
- 2005년 3월, 치의학전문대학원 신설(신입생 60명 모집)
- 2005년 9월, 치의학전문대학원 도서관 분관 개관
- 2006년 1월, 중국 해남의학원과 학술교류협정체결
- 2006년 9월, 치의학전문대학원 BK21사업단 사업 개시
- 2007년 7월, 경조직-바이오치아 재생연구소 설립
- 2008년 2월, 태국 츌라롱콘대학과 자매결연
- 2008년 9월, 의과학연구센터(MRC) 두개안면 기능장애 연구센터 지정(10년, 총연구비 약 100억원)
- 2009년 9월, 경북대학교 의·치의학 BTL생활관(명의관) 개관
- 2009년 11월, 경북 의성군과 MOU체결
- 2009년 12월, 일본 오사카대학 치의학부와 학술교류협정 재체결
- 2010년 5월, 치의학전문대학원 복지후생동 개관식 및 이동치과진료차 발대식
3. 캠퍼스
대구광역시 중구 삼덕동에 경북대학교 치과병원과 함께 독립적으로 위치하고 있다.대구 도심 한복판에 있으며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경대병원역이 바로 근처에 있었다. 단, 치의예과 시절에는 북구 대구캠퍼스에서 수업을 많이 듣는 편이다. 교양 과목을 듣는 1~2학년 때는 대구캠퍼스 지리와 주변 음식점에 대한 정보를 알아두는 것이 좋다.
4. 교육과정 및 전공
전국 치과대학과 마찬가지로 교육과정 연한은 총 6년으로 예과 2년, 본과 4년으로 이루어져 있다.치의예과 시기에는 생리학, 병리학, 생화학 등 고등학교 과정보다 심화된 생명과학을 배운다. 이와 동시에 행동과학, 예술의 감상과 이해, 논리와 비판적 사고와 같은 과목들을 필수교양으로 듣기 때문에 과학에만 치중하지는 않는다.
예과 과정에서 중요한 이벤트 중 하나는 예과 2학년 2학기에 이루어지는 ‘치아형태학 및 실습’이다. 치의예과에 입학 후 처음으로 배우는 치아에 국한된 과목이기에 이 과목을 배우며 스스로가 치과대학에 다니고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또, 석고 모형을 조각하여 치아 모형을 만드는 실습에서는 고난도의 손기술이 필요해서, 많은 학생이 어려움을 겪고 진로와 관련된 혼란을 느끼기도 한다.
본과인 치의학과에 들어가면 해부학, 치과재료학, 구강조직학 등 임상과 가까운 학문을 접하게 된다. 본과 1학년 2학기에는 경북대학교 치과병원에서 임상을 관찰하는 실습과목도 존재한다. 본과 2학년 때는 주로 손을 사용하는 실습을 하며, 3학년에는 병원에서 원내생으로서 환자를 진료한다. 4학년 때는 대부분의 학생이 국가고시 준비를 위해 시간을 보낸다.
5. 행사
- 전국치과대학연합축제
- 치과대학의 행사 중에서 가장 큰 행사다. 전국의 11개 치과대학이 함께하는 이 축제는 각 대학이 돌아가면서 행사를 주관한다. 각 치과대학 학생들이 서로 교류하고 친목을 다지는 시간을 가진다.
- 니사금제
- ‘니사금’은 신라시대에 왕을 부르던 말로, 그 시대에는 ‘치아가 많으면 더 현명하다’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에 그때의 왕을 니사금이라고 불렀다.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강당의 이름은 ‘니사금홀’, 밴드 동아리의 이름은 ‘니사금’으로 경북대학교 치과대학만의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다. 니사금제에서는 교내 공연 동아리들의 공연이 진행되고, 보통 4~5월에 열린다.